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내분비(內分泌)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분비 (內分泌)
몸 안에서 생긴 호르몬을, 도관(導管)을 거치지 않고 직접 혈액이나 체액 속에 보내는 작용. 액성 물질이 도관을 통하여 몸의 표면이나 또는 소화관 내로 분비되는 외분비에 대응되는 말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내분비 (內分泌)
▣ 백과사전
몸 안에서 생긴 호르몬을, 도관(導管)을 거치지 않고 직접 혈액이나 체액 속에 보내는 작용. 액성 물질이 도관을 통하여 몸의 표면이나 또는 소화관 내로 분비되는 외분비에 대응되는 말이다.
 
내분비라는 것은 프랑스의 생리학자로서 실험 의학과 일반 생리학의 창시자인 클로드 베르나르(1813~1878)가 제창한 개념이다. 베르나르는 간으로부터 글루코오스가 혈액으로 보내진다는 것을 발견하고, 간정맥이 간동맥보다 혈당치가 높다는 것에 착안, 혈액에 글루코오스를 직접 보내는 내분비라는 개념을 주장하였다. 내분비선에서 내보내지는 분비물인 이 특이한 호르몬은 다른 특정 기관이나 조직에 대하여 형태적·생리 화학적 작용을 끼친다. [신경계와의 관계] 최근에는 신경의 말단에서 내보내지는 내분비물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내분비 현상을 ' 신경 분비'라고 한다. 신경계의 특징은 외계나 몸 속의 변화 정보를 어떤 특정한 기관에 즉시 전달하는 것인데, 내분비계는 전달되어 온 이들 변화를 호르몬에 의해 혈관을 이용하여 몸의 모든 부분에 보낸다. 이 때 특정한 호르몬이 특정한 기관에 반응한다. 특정 호르몬에 특정하게 반응하는 기관을 그 호르몬의 표적 기관이라 한다. 호르몬에 의하여 전달되는 정보의 속도 는 신경계의 그것과는 달리 늦은 편이다. 이전에는 신경계와 내분비계는 별도의 것으로 인식되었는데, 두 기능이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특정한 신경 세포 집단이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사실은 관심을 끌고 있다. [ 호르몬 만들기와 실어 나르기] 동물의 내분비선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호르몬이 분비 되고 있다. 내분비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동물의 종류마다 화학적 구조는 다르지만, 같은 종류의 내분비선에서 분비 되는 호르몬의 작용은 같은 표적 기관에 대해서 비슷하다. 호르몬은 일반적으로 아주 적은 양이 분비되지만, 그것은 생명 현상 과정의 어딘가에 관계되어 있다. 즉, 생식·성장· 분화· 물질 대사· 신경이나 근육의 활동· 분비 등 생명 현상의 모든 과정에 약간씩이나마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호르몬은 내분비선 세포 내의 작은 과립 안에 존재하는데, 그것은 아주 미세하기 때문에 전자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종의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즉 생장 호르몬(STH)·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ACTH)·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여포 자극 호르몬(FSH)· 황체 형성 호르몬(LH)·젖 분비 자극 호르몬(LTH)은 각각 다른 크기의 과립에 들어 있으며,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은 지름 약 400Å의 과립에 들어 있다. 과립의 크기는 동물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 호르몬이 분비될 때 세포 속에서 과립이 파괴되는데, 세포막을 통해서 호르몬이 모세관 내에 분비되는 경우와, 세포막에서 과립 상태로 혈관벽으로 나와 혈관벽에서 파괴되어 호르몬이 모세 혈관 속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분비 되는 방식은 내분비선마다 각기 다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