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노장(老長)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노장 (老長)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송파 산대놀이 · 양주 별산대놀이 등과 같은 가면극에서 중의 역할로 등장하는 인물.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노장 (老長) 가면극 무형 문화재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송파 산대놀이 양주 별산대 놀이
▣ 백과사전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송파 산대놀이 · 양주 별산대놀이 등과 같은 가면극에서 중의 역할로 등장하는 인물.
 
검은색 바탕에 점이 많이 박힌 탈을 썼는데, 이는 수도 생활을 오래하는 가운데 파리똥이 내려앉은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그에 따라서 입고 나오는 복장과 가지고 등장하는 소도구가 차이가 있다.
 
봉산 탈춤에서는 네 번째 마당에 등장하며, 높이 28㎝, 나비 20㎝ 크기의 종이로 만든 탈을 쓴다. 탈은 검은 바탕에 흰 점과 금색 점이 얼굴 전체에 찍혀 있으며, 흰색 털로 눈썹을 붙였으며 눈자위도 흰색으로 표시하였다. 입술은 붉은색으로 칠하고, 눈썹 과 눈썹 사이에 2개, 볼에 2개, 아래턱에 3개의 혹을 만들고 금색 종이를 붙였다. 몸에는 약간 푸른빛이 도는 회색 장삼에 붉은 가사를 걸쳤으며, 머리에는 송낙이라는 모자 를 썼다. 왼손에는 부채와 염주를 들고, 오른손에는 육환장을 들었다. 육환장이란 승려들이 들고 다니는 고리가 6개 달린 지팡이를 말한다.
 
양주 별산대놀이에서는 여섯 번째 마당에 등장하며, 높이 26㎝, 너비 21.4㎝ 크기의 바가지나 소나무, 또는 종이로 만든 탈을 쓴다. 탈은 검은 바탕에 흰 점과 붉은 점이 불규칙하게 찍혀 있으며, 머리에는 송낙을 썼다. 목에는 긴 염주를 걸고, 손목에는 작은 염주를 걸고 있다. 한 손에는 그림이 그려진 부채를, 다른 손에는 아홉 마디의 대나무 지팡이를 짚었으며, 노름할 때 쓰는 투전도 가지고 나온다.
 
강령 탈춤에서는 열 번째 마당에 등장하며, 검은 바탕에 금색 반점이 찍혀 있는 탈을 쓰고, 회색 장삼과 바지를 입었으며 붉은색의 가사를 걸쳤다. 양손에는 염주 와 육환장, 꽃을 그린 부채를 들고 나온다.
 
송파 산대놀이 에서는 검은 바탕에 흰 점이 두루 찍혀 있고 붉은 입술 에 주름살을 그린 탈을 쓰고 나온다. 몸에는 해와 달, 그리고 그 밑에 호랑이를 그린 검은색의 장삼을 걸치고, 머리에는 송낙을 쓰고 목에는 염주를 걸었으며, 꽃을 그린 부채와 육환장을 들고 나온다.
 
노장이 이들 가면극에서 맡은 역할은 파계승이다. 노장은 수도 생활을 하다가 속세에 내려와서 소무(小巫)를 만난다. 소무는 옛날 가면극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로서 이 남자 저 남자에게로 옮겨다니며 놀아나는 기생이나 첩의 역할을 한다. 소무에게 반한 노장은 파계를 하고 소무와 살림을 차린다. 그러나 취발이가 등장하여 소무를 차지하기 위하여 노장과 대결하고, 이 대결에서 노장이 지게 된다. 노장이 추는 춤은 대사가 없이 몸짓과 춤으로만 표현한다. 먼저 염불 장단에 엎드려서 일어나는 춤으로 시작하여, 굿거리장단으로 소무와 어울려 논다. 그러다가 취발이가 등장하면 소무의 치마 가랑이 속으로 들어가 부채만 내놓고 얼굴을 감춘다. 취발이와 어울려 대결하다가 취발이에게 패하여 무대에서 퇴장한다.
 
노장이 추는 노장춤은 느릿한 한삼춤을 추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대사를 하지 않고 몸짓과 춤으로만 성격 과 줄거리를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어렵고 무게가 있어야 한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과거에 우리 나라에서 주로 결혼하지 않은 채 죽은 남자와 여자의 시체를 길 복판이나 길가에 매장하여 장사지낸 일. 혼인할 나이가 지났는데도 결혼하지 못한 처녀나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된 사람 등 소원대로 살지 못한 사람의 시체를 사람들이 자주 왔다갔다하는 곳에 묻음으로써 간접적으로나마 남성과 접촉을 가지게 하였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