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단원(單元)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단원 (單元)
어떤 주제를 놓고 학습하거나 체계화할 때 편의상 하나씩 별도화한 단위. 각 단위를 구분하는 기준은 전체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단계별로 주제가 독립될 수 있거나 그 내용이 비슷한 것들끼리 모은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단원 (單元)
▣ 백과사전
어떤 주제를 놓고 학습하거나 체계화할 때 편의상 하나씩 별도화한 단위. 각 단위를 구분하는 기준은 전체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단계별로 주제가 독립될 수 있거나 그 내용이 비슷한 것들끼리 모은다.
 
모든 학습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능률을 기울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교육 내용을 적절한 단위로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헤르바르트 학파의 T. 칠러가 단원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며, '방법적 단원'이라는 교육학의 한 갈래를 만들어 낸 사람이기도 하다. 이것은 헤르바르트파의 학습 단계법을 형식화한 것으로, 명료·연합·계통·방법이라는 4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곧, 모든 학습이 완전하게 연마되기 위해서는 어떤 하나의 방법이 일관성 있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가 학습을 진행하기에 앞서 미리 학생의 학습 과정 단계를 예상하고 준비해 나가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는 견해이다.
 
단원이라는 것은 결국 학습 과정의 단계를 어떻게 나누는가에 따라서 규정된다는 것이며, 이 이론들은 후에 J. 듀이나 W.H 킬패트릭 등 반대적인 입장을 가진 교육 학자들에 의해 새로운 학습 이론을 낳게 하였다. 먼저 J. 듀이의 이론 은 문제 해결법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문제의 파악→ 가설의 정립→ 가설의 검증→ 가설의 긍정→ 문제 해결이 그 단계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W.H. 킬패트릭은 목적 설정→계획→실행→평가를 학습 단계의 주요소로 설정하였다. 이는 헤르바르트파와는 전혀 다른 관점을 가지고 학습 과정을 설명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단원은 그 성격상 몇몇 단원으로 나누어진다.
 

교재 단원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지식, 기술적인 차원에서의 기능을 전달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을 말한다. 이는 방법적 단원 에 속한다. 교재 단원을 구성하는 일은 비교적 간단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식적인 학문적 지식, 기능의 종류에 따라 구성한다.
 

경험 단원

학습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반영하는 면이 강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원하는 학습 요구 사항이나 목적들이 중심이 된다. 이 경우는 다시 문제 단원·활동 단원·작업 단원으로 나누어진다.
 
① 문제 단원 : 현실적인 사회 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물건값은 왜 오르고 떨어지는 현상을 가지는가?와 같은 문제이다.
②활동 단원 : 학생 본래의 성향이나 기질과 연관된 것으로, 개인적인 흥미 중심이다.
③작업 단원 : 이것은 학생 자신에게 당면한 실제적인 활동에 대한 것 즉, 현실적인 문제 단원에 비해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집안 청소하기나 수업 계획표 짜기 등이다.
 
경험 단원의 구성은 교육 목표의 설정, 교육 과정의 확정 등을 검토한 후에 학습 문제를 선정하게 되며 이 후부터 본격적인 전개 단원이 이루어진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