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데스 마스크(death mask)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데스 마스크 (death mask)
사람이 죽은 직후에 그 얼굴에서직접 본을 떠서 만든 안면상(顔面像)으로 유족들이 고인의살았을 때 모습을 남겨 둘 목적으로 만들거나, 위대한 사람들에대한 육체적 기록을 남기기 위해 만든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데스 마스크 (death mask)
▣ 백과사전
사람이 죽은 직후에 그 얼굴에서 직접 본을 떠서 만든 안면상(顔面像)으로 유족들이 고인의 살았을 때 모습을 남겨 둘 목적으로 만들거나, 위대한 사람들에 대한 육체적 기록을 남기기 위해 만든다. 보통 밀랍이나 석고 등을 얼굴에 붙여서 만드는데, 현대에는 식물 아교 와 같은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데스 마스크를 만드는 보편적인 방법은 석고를 사용하는 것이다. 먼저 사람이 죽은 후 바로 그의 얼굴을 깨끗이 닦아 내고 머리카락 등도 단정하게 정리한 다음 크림이나 포마드와 같은 기름 성분을 가진 물질을 얼굴에 바르는데, 이것은 나중에 석고를 얼굴에서 떼어 낼 때 도움을 준다. 그 다음 붓을 가지고 앞 얼굴면에다 석고를 발라서 우선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것을 거푸집으로 삼아서 그 안에다 석고 를 부어 넣어 겉모양을 만든다. 최초의 데스 마스크가 언제 만들어졌으며, 어떤 이유로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서양에서는 예로부터 죽은 사람의 초상을 만들어 무덤가에 장식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아마도 이 풍습의 일환으로 사람들이 과학의 발달을 힘입어서 데스 마스크를 만들게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어쨌든 기원전 24세기 초에 고대 이집트에서 행하여졌고, 기원전 14세기에는 초상화의 모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7세기~기원전 6세기에는 에트루리아에서 죽은 자를 숭배하기 위하여 밀랍을 사용하여 죽은 사람의 얼굴 모양의 본을 떠낸 다음 초상 조각의 원형으로 삼았다. 또, 로마에서도 데스 마스크 가 조상을 숭배하거나 가족의 제례를 지내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3세기부터 조각가들이 묘비에 새겨 넣을 초상을 만들기 위해 데스 마스크를 떠서 모델로 삼았고, 중세 시대에 영국이나 프랑스와 같은 나라들은 왕실 장례식에 안치하는 조각상을 아예 데스 마스크 자체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혁명을 겪으면서 데스 마스크 가 모두 파괴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영국의 데스 마스크 만 볼 수 있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데스 마스크는 에드워드 3세의 데스 마스크이며 가장 휼륭한 작품으로는 헨리 7세의 데스 마스크가 꼽히고 있다. 15세기 피렌체에도 데스 마스크 가 존재하였는데, 아룬타치아 교회는 유명한 마스크들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그 때 이후로 유명한 사람들의 데스 마스크를 만드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우리에게 데스 마스크 로 잘 알려진 사람은 루드비히 판 베토벤·나폴레옹 보나파르트·아이작 뉴턴 등이 있으며, 차이코프스키의 얼굴도 데스 마스크 를 통해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데스 마스크는 일종의 석고상이지만 죽은 사람의 얼굴을 작가가 예술적인 감각 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 얼굴 모습 그대로를 떠내는 것이기 때문에, 고인의 형체 기록일 뿐이고 예술 작품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일은 조각가가 아닌 석고 기술자가 맡고 있다. 한편, 살아 있는 사람의 얼굴 에서 본을 떠내어 마스크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을 데스 마스크에 대하여 라이프 마스크라고 한다. 제임스 매디슨이나 헨리 클레이의 라이프 마스크가 유명하다. 또, 신체의 본을 뜨는 것을 보디 캐스팅이라고 하며 이것도 서유럽에서는 역사가 오래 되었다. 현대에는 Y. 클라인이나 G. 시갈 등과 같이 전문적으로 보디 캐스팅을 이용하여 작품을 만드는 사람들도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