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비합리주의(非合理主義)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비합리주의 (非合理主義)
인간의 삶을 오성(悟性)· 이성·개념 등의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것보다 감정· 직관·본능 등을 사고(思考)의 원리로 삼았을 때 더 풍부하게이해할 수 있다는 입장의 19세기 철학 사조.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합리주의 (非合理主義)
▣ 백과사전
인간의 삶을 오성(悟性)· 이성 ·개념 등의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것보다 감정· 직관· 본능 등을 사고(思考)의 원리로 삼았을 때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입장의 19세기 철학 사조. 비합리주의 는 인간이 경험한 특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본능이나 감정 · 의지 등을 형이상학적인 이성보다 중요하게 취급하고 이성에 대립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 용어는 유럽의 대륙 철학자들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극단적으로 흘러가는 합리주의 체제에 반대하여 등장하였으며 그 사상 형태는 그것이 적대시하는 합리적 체계의 양상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그와 대립되는 합리주의가 있기 때문에 그 존재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비합리주의에서 주장하는 견해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세계에는 합리적인 구조나 의미·목적이 없다. 둘째, 이성은 인식론적으로 본질적인 결함이 있으므로 세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왜곡하게 된다. 셋째, 객관적인 도덕 규범이란 거짓 신화에 불과하므로 윤리학에서 볼 때 부질없다. 넷째, 인간의 본성에서 본질적으로 취급되어야 할 것은 비합리적인 부분들이다. 비합리주의의 출현은 19세기 이전부터 찾아볼 수 있는데, 피타고라스· 엠페도클레스· 플라톤 같은 철학자들에게서도 비합리주의적인 면이 발견된다. 데카르트의 합리주의가 지배하던 근대 초기에는 파스칼 이 '마음'은 이성이 알지 못하는 '자신만의 이유를 갖는다'고 주장했다. 낭만주의 문학도 이성을 중요시한 것에 대한 반발로 비롯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비합리주의는 합리적인 과학으로 다룰 수 없는 것을 인간의 역사와 정신으로부터 찾으려고 노력하였으며, 다윈과 프로이트 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경험의 생물학적·무의식적 뿌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8세기 감각주의를 주장한 E.B. 콩디야크와 감정주의를 내세운 J.J. 루소는 대표적 비합리주의자들로 이들은 오직 순수한 사유(思惟)만을 신봉하는 데카르트주의에 반대하여 감각이나 감정의 복권(復權)을 주장하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세계는 이성에 의해 지배된다고 생각하는 헤겔주의에 반대하여 이성으써는 설명될 수 없는 것, 비합리적인 것을 긍극적인 것으로 보는 본격적인 비합리주의 가 대두되었다. 19세기의 대표적인 비합리주의자의 한 사람인 쇼펜하우어는, 세계의 가장 내적인 본질로서 '생에 대한 맹목적인 의지'를 주장하였다. 빌헬름 딜타이는 개인의 역사적 관점에 의해 지식이 결정되므로 정신 과학의 중요성을 주장하였으며, 요한 게오르크 하만은 느낌· 신념· 경험 등으로부터 진리를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는 지적 지식보다는 신앙의 확실성을 우위에 두었다. 또, 프리드리히 셸링과 앙리 베르그송은 인간 경험의 특유성 연구에 몰두하여, 우주를 꿰뚫고 끊임없이 창조적 진화를 하는 실재를 엘랑 비탈, 즉 생명의 비약으로 이해하는 등, 과학으로서는 알아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는 직관주의를 주장하였다. 니체는 자연계를 지배하는 근본적인 힘을 '힘에 대한 의지'로 해석하여 신은 죽었으며, 인간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낼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라고 생각했다. 실존주의(實存主義)는 인간의 존재에 대하여 지금 여기에 사실상 존재하고 있을 뿐, 부조리하고 우연적인 '실존'으로 이해하였는데, 이들 모두가 합리주의의 영역 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실존주의자인 쇠렌 키에르케고르 나 장 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등은 부조리한 세상에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없고, 또 그 의미를 찾는 것을 불가능한 것으로 보아 각각 신념의 비약, 근본적인 자유, 영웅적인 반항 등을 이성에 대한 대안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비합리주의는 근대 합리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극단적이고 형식적인 합리주의의 추구에서 초래된 근대 사회의 기계화·비인간화 과정에 대한 반항으로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엄격히 따져 보면 양자간에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는 중세에 등장한 부정 신학(否定神學)이나 독일의 신비주의 도 신학상의 입장에 대한 반동으로 생긴 것이므로 비합리주의 속에 포함시킬 수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