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정사(正使)
정사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정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정사 (正使)
조선 시대에 중국이나 일본 등의 외국으로파견하였던 사신들 가운데 우두머리.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정사 (正使) 북학파 실학 박지원 홍대용 박규수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이서구 박종채 박선수 담헌연기 열하일기 양반전 연암집 을병연행록 허생전 호질 과농소초 의산문답
▣ 백과사전
조선 시대에 중국이나 일본 등의 외국으로 파견하였던 사신들 가운데 우두머리. 조선은 외국으로 파견하는 사신으로 정사· 부사· 서장관을 두어 임무를 나누어 맡겼는데, 이를 ' 삼사'라고 한다. 정사는 이들 가운데 우두머리로서 '상사'로 불리기도 하였다.
 
조선의 외교 정책은 '사대 교린'을 기본 방침으로 하였는데, 이는 큰 나라를 섬기고 이웃 나라와는 화평하게 사귄다는 정책이었다. 이에 따라 조선은 기본적으로 명나라·청나라 등 중국에 대해서는 사대 정책을 취하였고, 일본· 여진·유구 등에 대해서는 교린 정책을 취하였다.
 
그래서 명나라·청나라에 보내는 사신은 각각 '조천사', '연행사'라 하고 일본에 보내는 사신은 '통신사'로 구분하여 불렀으며, 이에 따라 파견되는 사신의 지위도 달랐다. 즉, 명·청나라에 보내는 조천사·연행사의 정사는 정2품의 위치에 있는 관직자를 임명하였는데 임시로 종1품으로 칭하였으며, 일본에 파견하는 통신사의 정사는 정3품에서 정5품 사이의 관직에 있는 사람 가운데서 임명하였던 것이다.
 
나라에서 외국으로 사신을 파견하는 것은 안으로는 정치적인 안정을 도모하고, 밖으로는 이웃 나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조선이 명나라에 파견한 조천사는 명나라가 정통 왕조이기 때문에 천조에게 조회한다는 의미가 있었으나, 청나라에 대해서는 정복 왕조이므로 주종 관계에서 어쩔 수 없이 사신을 파견하게 되었다. 또 일본의 경우는 조선에 비하여 문화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었으나, 금구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한 가지 방편으로 사신을 파견하였다.
 
중국으로 파견되었던 정사는 4~5명의 자제 군관·자벽 군관을 거느렸다. 이들이 무관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군관으로 불린 것은, 사행을 따를 때는 문관일지라도 무관복을 입도록 정해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정부에서 임명하는 것이 아니라, 정사가 임의로 자제나 가까운 친척 가운데서 뽑은 다음 정부의 승인을 받아 동행하게 하였다.
 
특히, 자벽 군관의 경우는 글을 잘하는 젊은 학자들 가운데서 선출함으로써, 사행에 대한 훌륭한 기록을 남기기도 하였는데, 홍대용 이 저술한 《담헌연기》라든지 박지원이 남긴 《열하일기》 등은 바로 그와 같은 사행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사행의 편성에서도 정사가 거느린 군관과 중국에 보내던 사신 일행의 모든 기구를 감수하는 타각이 항상 맨 앞에 자리하도록 하였는데 이를 '상방'이라 하였다. 한편, 일본에 보내는 통신사의 경우는 중국의 경우와는 차이가 있었다. 정사의 경우 지위뿐만 아니라 중국에 파견되던 정사가 현직 관원인 것에 반하여, 일본에 파견되는 정사는 대부분 경험 이 풍부한 전직 관원 가운데서 임명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들은 학식보다는 인물이나 풍채가 준수한 자를 우선으로 보아서 선출하였다. 어떤 때는 사절단 가운데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 사람이 포함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일종의 회유책으로 한 나라의 힘을 빌어 다른 나라를 제어하는 이이 제이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조선 시대 선조대에서 인조대에 걸쳐 활동하였던 시인인 노계 박인로(1561~1642)가 지은 시조. 박인로의 문집인 《노계집》에 실려 현재 전해 오고 있다.
불도 수행자의 주거지나 정신을 수양하고 학문을 가르치는 곳.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