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카탈라우눔 전투(Catalaunum戰鬪)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카탈라우눔 전투 (Catalaunum戰鬪)
451년 카탈라우눔에서벌어진 훈족-서로마 간의 싸움.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카탈라우눔 전투 (Catalaunum戰鬪)
▣ 백과사전
451년 카탈라우눔에서 벌어진 훈족-서로마 간의 싸움. '샬롱의 싸움'이라고도 한다. 카탈라우눔은 프랑스 샹파뉴의 옛날 이름이다. 고대 (古代)에 로마는 유럽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다스린 커다란 나라였다. 번영하였을 때는 정치와 사회가 매우 안정되었고, 문화도 발전하였다. 그러나 4세기에 와서 로마 사회는 매우 혼란해졌다. 황제들은 사회의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서 애를 썼지만, 로마는 이미 분열되고 있어서 황제들의 힘이 미치지 못하였다. 이 때 동쪽에서 서고트족 이 로마로 쳐들어왔다. 서고트족은 훈족이 자기네 땅으로 침입해 오자 그 힘에 밀려 로마로 들어오게 된 것이었다. 서고트족은 발칸 지방까지 쳐들어와 로마를 위협하였다. 로마의 황제 테오도시우스는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서고트족을 달래고, 로마 제국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395년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로마를 동과 서로 나누어, 동로마는 맏아들인 아르카디우스에게, 서로마는 둘째 아들인 호노리우스에게 주어서 각자 다스리게 하였다. 로마 제국 이 둘로 나뉘게 될 것은 이미 예정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동로마와 서로마의 분리는 결정적인 사실이 되었다. 5세기에 들어와서 훈족과 서고트족은 다시 로마에 침입하였다. 410년에는 서고트족이 서로마를 약탈하였고, 451년에는 훈족이 서로마 제국의 영토로 물밀듯이 쳐들어왔다. 훈족은 원래 중앙 아시아에서 부족을 이루어 살던 유목 민족이다. 이들은 기질이 사나워 주변의 여러 부족과 나라를 침입하여 약탈하면서 살고 있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서쪽에 있던 서고트족을 침입하였다. 그러나 451년에는 자신들이 직접 서로마로 쳐들어왔다. 당시 훈족의 왕은 아틸라였다. 아틸라왕은 훈족의 군대를 이끌고 갈리아(지금의 프랑스)에 침입하였다. 그는 갈리아의 중요한 지역인 오를레앙에 진지를 세우고 그 지역을 에워쌌다. 위기를 느낀 서로마의 장군 아에티우스는 서고트족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당시 서고트족은 서로마와 평화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로마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서로마의 장군 아에티우스와 서고트족의 왕 테오도리크는 군대를 이끌고 갈리아 지방으로 진격해 들어갔다. 이 소식을 들은 훈족의 아틸라왕은 일단 오를레앙의 포위망을 풀고 트루아로 물러났다. 그러나 트루아 지방에서 가톨릭 주교 로 있던 루프스는 자신의 지역에서 떠나 줄 것을 부탁하였다. 이에 아틸라는 군대를 이끌고 카탈라우눔과 트루아의 중간에 있는 카탈라우눔 평야에 진지를 세웠다. 훈족은 서로마 전체를 손아귀에 넣으려고 하고 있었다. 아에티우스는 서고트족 외에도 갈리아 지방에 있던 프랑크족과 지금의 독일 지역에 있던 부르군트족에게도 도움을 청하였다. 아에티우스 장군이 이끄는 서로마군, 테오도리크왕이 이끄는 서고트족, 그리고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은 힘을 합하여 갈리아 로 밀고 들어갔다. 훈족은 서로마 근처에 있었던 민족들 가운데서도 힘이 가장 컸던 민족으로, 이들의 싸움은 매우 격렬하였다. 이 싸움을 두고 서로마의 역사가인 요르다레스는 "비옥한 들판이 여러 민족의 탈곡장으로 바뀌었다."라고 말하였을 정도이다. 이 싸움으로 서고트족의 테오도리크왕은 전사하였다. 그러나 서로마군은 가까스로 훈족을 물리쳤고, 훈족은 싸움에 져서 자기네 땅으로 도망쳤다. 이 싸움에서 서로마는 동양 민족인 훈족에게 승리함으로써 유럽의 문화 는 그대로 지켜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뒤 455년 서로마는 반달족이 쳐들어와서 약탈당하였다. 이제 서로마에는 이들의 침입을 막고 나라를 유지해 나갈 힘이 없었다. 476년 마지막 황제인 아우구스툴루스는 게르만의 용병 대장인 오도아케르 에 의하여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고, 서로마는 썩은 나무가 쓰러지듯이 멸망하였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