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CAM 식물(CAM植物)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CAM 식물 (CAM植物)
광합성 식물을 세 가지로 구분할 때,밤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말산을 합성한 후 밤새 저장하였다가,낮에는 다시 말산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탄수화물을 만들어 내는 데 이용하는 식물.
▣ 지식지도
◈ 지식지도
CAM 식물 (CAM植物)
▣ 백과사전
광합성 식물을 세 가지로 구분할 때, 밤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말산을 합성한 후 밤새 저장하였다가, 낮에는 다시 말산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탄수화물 을 만들어 내는 데 이용하는 식물. CAM이란 명칭은 돌나물과 식물의 유기산 대사(crassulacean acid metabolism)의 약자에서 따온 말이다. 캠식물은 대개 돌나물과 같은 다육 식물로서 건조한 사막 지방에 주로 사는데, 이들은 건조한 환경 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가능한 한 수분을 빼앗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온도가 높은 낮 동안에는 기공 을 닫아 기공을 통한 수분 손실을 막고 비교적 서늘한 밤 동안 대기 중 상대 습도가 포화점에 다다르면, 기공을 열어 수분과 함께 광합성을 위한 탄산 가스를 흡수한다. 그러나 밤에는 빛 에너지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광합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다음 날 낮까지 밤에 흡수한 탄산 가스 를 식물체 내에 잘 저장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밤과 낮의 식물 세포액의 산도가 크게 변화한다. 즉, 밤에는 흡수한 탄산 가스로부터 유기산을 합성하여 세포 내 기관 인 액포에 모아 저장함으로써 산도가 낮아지고, 낮에는 다시 유기산으로부터 탄산 가스가 분리되어 나옴에 따라 산도가 올라간다. 밤 동안 탄산 가스가 고정되어 만들어지는 유기산은 말산이며, 이러한 과정은 탄산 가스 고정 회로 인 C"(4) 회로를 통해 고정된다. C"(4) 회로란 C"(4) 식물 (벼과식물)이 엽육 세포에서 광합성을 할 때 이용하는 과정으로 낮 동안에만 일어난다. 밤에 만들어진 말릭산은 낮 동안 분해되면서 탄산 가스가 분리되어 나와 엽록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 과정을 통해 당분을 만든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