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도르곤(多爾袞)
도르곤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도르곤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도르곤 (多爾袞)
[1612 ~ 1650] 청나라 초기의 황족으로, 후금의 초대 한이자 청나라의 초대 황제 누르하치의 열네 번째 아들이며, 누르하치의 네 번째 정실 효열무황후의 소생이다. 작위는 예친왕(睿親王)이며, 시호는 충(忠), 정식 시호는 예충친왕(睿忠親王)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도르곤 (多爾袞) 후금 누르하치 순치제 청 태종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오삼계 (2) 백과
▣ 백과사전
[1612 ~ 1650] 청나라 초기의 황족으로, 후금의 초대 한이자 청나라의 초대 황제 누르하치의 열네 번째 아들이며, 누르하치의 네 번째 정실 효열무황후의 소생이다. 작위는 예친왕(睿親王)이며, 시호는 충(忠), 정식 시호는 예충친왕(睿忠親王)이다.
 
청년 시절부터 이복형 홍타이지를 따라 여러 전쟁에서 전공을 세웠으며, 그 공으로 친왕에 책봉되었고, 팔기군 중 정백기와 양백기를 관장하였다. 1643년(숭덕 8년) 홍타이지가 급사하자, 조카이자 홍타이지의 장자 숙친왕 후거와 황위를 놓고 경쟁을 벌였으나, 결국 어린 조카인 순치제를 대신 옥좌에 올리고 자신은 섭정왕이 되어 죽을 때까지 국사를 결정하고 대권을 행사하였다.
 
이후 명나라가 멸망하고 입관(入關)하여 중원을 차지하였고, 청나라의 중원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권력 강화를 위해 또다른 섭정왕이었던 정친왕 지르갈랑의 실권을 빼앗고, 경쟁자인 후거 역시 제거하여 옥사케 하였으며, 황부(皇父), 즉 황제의 아버지라 자칭하는 등 순치제의 섭정이란 명분으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다가 1650년(순치 7년)에 죽었다.
 
사후 황제로 추숭되어 묘호는 성종(成宗)이고 시호는 무덕수원광업정공안민입정성경의황제(懋德修遠廣業定功安民立政誠敬義皇帝)라 올려졌으나, 곧 친정을 개시한 순치제에 의해 묘호와 시호를 포함한 모든 명예를 추탈당하고 부관참시되었다. 그러나 사후 100년이 넘은 1778년(건륭 43년)에 다시 복권되어 친왕의 작위와 시호를 추증받았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