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강도몽유록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강도몽유록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강도몽유록 (江都夢遊錄)
작자·연대 미상의 몽유록계 한문소설.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강도몽유록 (江都夢遊錄) 한문 소설 정묘호란 1636년 김시습 박지원 봉림 대군 소현 세자 임경업 임제 금오신화 산성 일기 양반전 원생몽유록 허생전 호질 예덕선생전 병자호란 남한 산성
▣ 백과사전
작자·연대 미상의 몽유록계 한문소설.
 
 

내용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1책짜리 유일본이 소장되어 있는데, 『피생명몽록(皮生冥夢錄)』과 함께 묶여 있다. 병자호란 당시 강도(江都: 강화도)가 청(淸)의 군병에 의해 함락됨으로써 죽게 된 많은 여인의 원령(怨靈)이 주인공의 꿈에 나타나, 조정 대신과 강화 수비를 맡았던 관리들을 비난하는 것이 작품의 내용으로, 그 지어진 연대는 병자호란 이후 멀지 않은 시대인 것으로 여겨진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적멸사(寂滅寺)의 청허선사(淸虛禪師)가 강도에서 죽은 수많은 사람들의 시신을 거두기 위해 연미정(燕尾亭) 기슭에 움막을 짓고 지낸다. 어느 날 꿈에서, 병자호란 당시 강도에서 죽은 열다섯 여인의 혼령이 한 곳에 모여 울분을 토로하는 광경을 엿보게 된다.
 
첫번째로 말하는 여인은 당시 영의정을 지낸 김류(金瑬)의 부인으로서, 남편이 능력 없는 아들 김경징(金慶徵)에게 강도 수비의 책임을 맡겼고, 아들은 술과 계집에 파묻혀 강도가 쉽게 함락되게 하였다며, 남편과 아들을 함께 비난한다.
 
두번째 여인은 김경징의 아내로서, 자기 남편이 강도가 함락되게 만든 책임으로 죽임을 당한 것은 마땅하나, 같은 죄를 진 이민구(李敏求) · 김자점(金自點) · 심기원(沈器遠)은 전쟁 후 오히려 벼슬이 오른 것은 공평치 못한 일이라고 비난한다.
 
세번째 여인은 왕후의 조카딸로서, 남편은 전쟁 중에 눈이 멀고 그 부모도 돌아가셨다며 애통해 한다. 네번째 여인은 왕비의 언니로서 중신(重臣)의 아내였는데, 적군이 들어오기도 전에 어질지 못한 자기 아들이 먼저 칼을 내던졌고 자신도 자결(自決)한 것이 아닌데, 정렬(貞烈)로 표창케 한 사실을 어이없어한다.
 
다섯번째 여인은 강도가 함락된 데에 자신의 남편이 책임이 있음을, 여섯번째 여인은 강도 유수를 맡았던 시아버지의 책임을, 일곱번째 여인은 아들의 책임을 각각 말하며 개탄한다. 여덟번째 여인은 남편이 오랑캐의 종이 되어 상투를 잘랐다며 비난한다. 아홉번째 여인은 서울로부터 홀로 강도에까지 피난을 왔다가 무참히 죽임 당한 원통함을 토로한다.
 
열번째 여인은 지휘관이었던 자기 남편의 잘못과, 이름 있는 관리의 아내이면서도 오랑캐에게 몸을 내준 동생의 실절(失節)을 비난한다. 열한번째 여인은 마니산 바위굴에 숨었다가 오랑캐의 겁박을 피해 절벽에서 투신한 여인으로서, 으깨어진 비참한 몰골로 원한을 토로한다.
 
열두번째 여인은 결혼한 지 두 달만에 전쟁을 만나 물에 빠져 죽었으나, 남편은 그 사실을 모르고 아내가 오랑캐 땅에 들어갔는지, 길에서 죽은 것인지 의심하고 있다며 탄식한다. 열세번째 여인은 자신의 시아버지가 강하게 척화(斥和)를 주장하여 대의(大義)를 드러냄으로써, 자신이 그 공로로 하늘 궁전에서 선녀로 노닐게 되었음을 자랑한다.
 
열네번째 여인은 그 할아버지의 고결한 지조의 공로로 인해 천당에 들어가 있게 되었다고 한다. 열다섯번째 여인은 기생으로서, 뒤늦게 정절을 지키려 하였으나 전쟁을 만나 목숨을 버렸다는 얘기를 하면서, 전쟁 중에 절의 있는 충신은 하나도 없고, 늠렬(추위가 살을 에이는 듯함)한 정절은 오직 여인들만이 보여 주었다고 개탄한다. 여인들의 통곡소리에 청허선사는 꿈에서 깬다.
 

의의와 평가

몽유록 유형의 작품들은 그 내용에 따라, 꿈속에서 이상세계를 구현하는 작품들과 현실모순의 문제를 날카롭게 드러내 비판하는 작품들로 나눌 수 있는데, 『강도몽유록』은 17세기 전반 외적과의 전쟁을 배경으로 한 다른 몽유록 작품들과 함께 후자에 속한다.
 
『강도몽유록』에 등장하는 여인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전쟁 중에 허무하게 죽어간 것을 한탄하는 여인들, 그리고 가장 많은 것으로서, 전쟁에 임하여 관료로서의 책무와 인간적인 본분을 다하지 못한 남편 · 자식 · 시아버지의 행위를 비난하는 여인들, 그리고 시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척화(斥和)를 주장한 공로로 자신들이 하늘 세계에서 선녀로 있게 된 것을 자부하는 여인들이다.
 
이렇게 볼 때, 이 작품에는 당시 인조반정의 공신세력에 대한 비공신 세력의 반발이 담겨 있는 듯하다. 당시 비난받은 공신 세력의 허물은 인사의 문제, 군사력의 사적인 소유, 경제적 침탈 행위, 그리고 병자호란 때에 화의론을 내세움으로써 임금이 무릎 꿇고 항서를 올리는 치욕을 겪게 한 것 등이다.
 
공신들의 허물을 공격하면서, 공신세력의 부인 혹은 며느리를 통해 비난하도록 구성한 수법은 특이한 것이다. 이 작품에는 척화의 대의와 여인의 정절을 높이 평가하는 관점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작자·연대 미상의 몽유록계 한문소설.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