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봉성군(鳳城君)
봉성군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봉성군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봉성군 (鳳城君)
[1528 ~ 1547] 조선전기 제11대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왕자. 을사사화때 사사되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봉성군 (鳳城君) 4대 사화 갑자사화 위사공신 1545년 1547년 윤원형 윤임 조선 중종 임백령 송인수 김수동 김안로 남곤 단경 왕후 문정 왕후 박원종 조선 성종 성희안 송시열 조선 연산군 윤은보 이기 이이 조선 인종 임억령 장순손 정광필 정순붕 조광조 장경 왕후 정난정 동호문답 을사사화 기묘사화 무오사화 중종 반정 정미사화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을사사화 (2) 백과
▣ 백과사전
[1528 ~ 1547] 조선전기 제11대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왕자. 이름은 이완(李岏). 자는 자첨(子瞻). 아버지는 중종이고, 어머니는 희빈홍씨(熙嬪洪氏)이며, 부인은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영의정 정유인(鄭惟仁)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5년(인종 1) 인종의 병사를 계기로 정세를 만회한 이기(李芑)·윤원형(尹元衡) 등은 정권의 기반을 굳히고자 을사사화를 일으켜 사림을 제거하고, 아울러 종친 중에서 명망이 있었던 봉성군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임백령(林百齡)은 때마침 하옥된 이덕응(李德應)을 위협하여 봉성군을 추대하여 역모를 꾀하였다고 거짓 자백하게 하여 죄를 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국왕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이기는 “인종의 병이 위독할 때 윤임(尹任) 등이 봉성군으로서 왕위를 이으려고 하다가 형세가 불가하여 명종에게 전위하였다.”고 참소하는가 하면 1546년 가을에는 김명윤(金明胤)이 밀계로서 익명서를 올려 모역을 고변하니, 양사(兩司: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대의로 처벌을 논의, 마침내 울진에 유배되고, 이어서 송인수(宋麟壽)의 옥사로 인하여 사사되었다.
 
1570년(선조 3) 이준경(李浚慶)의 계청(啓請)으로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고 복관되었다. 시호는 의민(懿愍)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부 : 중종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