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선비(士)
선비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선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선비 (士)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에 대한 호칭으로, 특히 유교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 또는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선비 (士)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백과사전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에 대한 호칭으로, 특히 유교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 또는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선비의 어원

선비는 한자어의 사(士)와 같은 뜻을 갖는다. 어원적으로 보면 우리 말에서 선비는 ‘어질고 지식이 있는 사람’을 뜻하는 ‘선’라는 말에서 왔다고 한다.
 
‘선’의 ‘선’은 몽골어의 ‘어질다’는 말인 ‘sait’의 변형인 ‘sain’과 연관되고, ‘’는 몽고어 및 만주어에서 ‘지식이 있는 사람’을 뜻하는 ‘박시’의 변형인 ‘이’에서 온 말이라고 분석되기도 한다.
 
이에 비하여 한자의 사(士)는 ‘벼슬한다’는 뜻인 사(仕)와 관련된 말로서, 일정한 지식과 기능을 갖고서 어떤 직분을 맡고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사(士)의 글자 뜻을 ‘일한다’ 또는 ‘섬긴다’(士, 事也)’는 뜻으로 보아, 낮은 지위에서 일을 맡는 기능적 성격을 지적하였다.
 
동시에 ‘士’는 ‘十’(수의 끝)과 ‘一’(수의 시작)의 결합으로 된 회의문자(會意文字)로 보고 있다. 곧 ‘十’을 미루어 ‘一’에 합한다고 풀이하면 넓은 데에서 간략한 데로 돌아오는 박문약례(博文約禮)의 교육방법과 통하고, ‘一’을 미루어 ‘十’에 합한다고 풀이하면 하나의 도리를 꿰뚫는다(吾道一以貫之)는 뜻과 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의미에서 ‘사(士)’는 지식과 인격을 갖춘 인간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만큼 우리말의 선비와 뜻이 통한다.
 
중국에서 ‘사’는 은대(殷代)에도 관직명칭으로 나타나지만 주대(周代)에서는 봉건계급 속의 한 신분계급으로 드러났다. 곧 왕(천자) · 제후 · 대부 · 사 · 서인의 5등 봉건신분계급에서 ‘사’는 ‘대부’보다 낮고 ‘서인’보다 높은 신분이며, 관류의 직분으로서는 가장 하위에 속하는 계급이다.
 
또한 ‘사’는 특히 학업과 관련시켜 언급되는 사실을 볼 수 있다. 『예기(禮記)』에는 ‘오사제도(五士制度)’가 보인다. 마을에서 학업에 뛰어난 ‘수사(秀士)’를 가려서 사도(司徒)에게 추천하면 ‘선사(選士)’가 되고, 사도가 선사 가운데서 뛰어난 자를 국학(國學)에 추천하면 ‘준사(俊士)’가 되며, 선사와 준사 가운데서 학문이 성취된 자를 ‘조사(造士)’라 하고, 대악정(大樂正)이 조사 가운데 뛰어난 자를 왕에게 보고하고 사마(司馬)에게 추천하면 ‘진사(進士)’가 되며, 사마가 진사 가운데 현명한 자를 가려서 관직에 임명하는 것이다.
 
‘사’의 성격은 춘추전국시대에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유교사상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관직과 분리되어 인격의 측면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은 자신을 ‘사’의 집단으로 자각하였다. 그들은 관직을 목적으로 추구한 것이 아니라 도(道)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았기 때문에, 유교이념을 실현하는 인격을 선비로 확립하였다.
 
공자는 도에 뜻을 두어 거친 옷이나 음식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인격을 선비의 모습으로 강조하였다. 제자인 자공(子貢)에게 “자신의 행동에 염치가 있으며 외국에 사신으로 나가서 임금의 명령을 욕되게 하지 않으면 선비라 할 수 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면서 당시 정치에 종사하는 사람을 가리켜 “좀스러운 인물들이니 헤아려 무엇하랴.”라고 비평하였던 것도 선비는 관직이나 신분계급을 넘어서서 인격적인 덕성을 갖춘 존재임을 지적하는 것이다.
 
선비의 인격적 조건은 생명에 대한 욕망도 초월할 만큼 궁극적인 것으로 제시된다. 공자는 “뜻 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살기 위하여 어진 덕을 해치지 않고 목숨을 버려서라도 어진 덕을 이룬다.” 하였다.
 
증자(曾子) 또한 “선비는 모름지기 마음이 넓고 뜻이 굳세어야 할 것이니, 그 임무는 무겁고 갈 길은 멀기 때문이다. 인(仁)으로써 자기 임무를 삼았으니 어찌 무겁지 않으랴. 죽은 뒤에야 그칠 것이니 또한 멀지 않으랴.”라고 하여 인(仁)의 덕목을 지적하였다.
 
자장(子張)도 “선비가 위태로움을 당하여서는 생명을 바치고, 이익을 얻게 될 때에는 의로움을 생각한다.”고 하여 의로움의 덕목을 강조하였다. 맹자는 “일정한 생업이 없이도 변하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은 선비만이 할 수 있다.”고 하여 지조를 선비의 인격적 조건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사’는 신분계급적 의미를 넘어서 유교적 인격체로 파악되고 있으며, 우리 말의 선비가 지닌 인격적 성격과 일치할 수 있는 것이다. 선비는 유교이념을 담당한 인격이라는 뜻에서 ‘유(儒)’로도 쓰인다.
 
‘사’는 신분적 의미에서는 바로 윗계급인 대부와 결합하여 사대부(士大夫)라 일컬어진다. 곧, ‘사’와 대부는 신분의 상승과 하강이 가능한 연속적 관계이므로, 통합하여 하나의 계급으로 삼은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사’가 인격적 의미에서는 유교적 인격체인 군자(君子)의 호칭과 결합되어 사군자(士君子)로 일컬어진다.
 
유교의 인격개념에서도 계층적 단계를 엿볼 수 있다. “사는 현인을 바라고, 현인은 성인을 바라고, 성인은 하늘을 바란다.”는 주돈이(周敦頤)의 말에서도 ‘사’는 현인의 아래 단계로서 군자를 향하여 상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는 사회기능적 의미에서 독서로 학문을 연마하여 관료가 될 수 있는 신분이다. 이런 점에서 ‘사’는 일반의 생산활동인 농업 · 공업 · 상업에 종사하는 사람과 병칭되어, 사 · 농 · 공 · 상의 이른바 사민(四民) 속에서 첫머리에 놓인다.
 
선비는 백성과 결합하여 사민(士民)으로 일컬어지기도 하고, 서인들과 결합하여 사서인(士庶人)으로 일컬어지는 사실은 선비가 지배계층으로 올라갈 수도 있지만, 대중들과 함께 피지배층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여러 의미 속에서도 우리 말의 선비개념은 사군자의 인격적 성격을 핵심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고대 아시아 민족의 하나. 중국 동북 지방에서 몽고 지방에 걸쳐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몽고, 퉁구스계에 속한다.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