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백과사전 > 인물 > 인물(대한민국)  
인물
자 료 실
지식분류
인물(대한민국)
인물(동양)
인물(세계)
about 인물


 

일치 근접
 

 ◇ 구성 목록 ◇
 
 
 
 
 
카테고리 (인물(대한민국)) 에서 검색
전체검색결과 : 1913    현재페이지 : 21 / 96
 
401 ENCY005299 김천택 (金天澤)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 ~ ?]조선 영조 때의 가객(歌客). 호는 남파(南波)이다. 1728년(영조 4년)에 시가집 《청구영언》을 편찬하여 우리 나라의 시조 작품을 처음으로 정리하였다.
402 ENCY005300 김초향 (金礎香)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899 ~ ?] 판소리의 명창. 경북 대구에서 태어났다.
403 ENCY005301 김춘택 (金春澤)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670 ~ 1717] 조선 숙종 때의 문인. 호는 북헌(北軒)이고,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종조할아버지 만중(萬重)이 지은 《구운몽》 《사씨남정기》를 한문으로 번역했고, 저서로 시문 10책과 만필 1책을 남겼다.
404 ENCY005302 김충 (金沖)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268 고려 시대의 무신.
405 ENCY005303 김취려 (金就礪)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234 고려의 장군.
406 ENCY040655 김취로 (金取魯)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682(숙종 8)∼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 자는 취사(取斯)이다.
407 ENCY040660 김치공 (金致恭) 인물 : 인물(대한민국)
일반항목 [1717(숙종 43) ~ 1785(정조 9)]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이며, 자는 장백(莊伯), 호는 문유재(文幽齋)이다. 조부는 검재(儉齋) 유(楺)이며, 부친은 만휴암(晩休菴) 약로(若魯)이고, 모친은 연안 이해조(李海朝)의 딸이며, 처는 은진 송요하의 딸이다.
408 ENCY040659 김치만 (金致萬)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697(숙종 23) ~ 1753(영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 자는 회일(會一), 호는 고은당(高隱堂)이다. 할아버지는 전라감사(全羅監司) 징(澄)이고, 아버지는 참판 희로(希魯)이며,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딸이다.
409 ENCY040416 김치양 (金致陽)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 ~ 1009] 고려 시대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다.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송조(松祚)이다. 본관은 서흥(瑞興)이고, 목종의 어머니 헌애왕후(獻哀王后) 황보씨(皇甫氏)의 외족(外族)이다.
410 ENCY040657 김치양 (金致讓)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725(영조 1) ~ 1793(정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여득(汝得)이다. 전라감사를 역임한 징(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제학 유(楺)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을 역임한 상로(尙魯)이다. 어머니는 임천(林川) 조정만(趙正萬)의 딸이며, 부인은 연일(延日) 정익하(鄭益河)의 딸이다.
411 ENCY005305 김치인 (金致仁)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716(숙종 42)∼1790(정조 14)]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 자는 공서(公恕), 호는 고정(古亭)이다. 전라감사 징(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구(構)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재로(在魯)이며, 어머니는 심징(沈瀓)의 딸이다.
412 ENCY040648 김치후 (金致垕)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692(숙종 18)∼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 자는 사중(士重), 호는 사촌(沙村)이다.
413 ENCY005306 김태준 (金台俊)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905~1949 국문학자· 사상가.
414 ENCY005307 김태현 (金台鉉)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261~1330 고려 후기의 학자· 문신.
415 ENCY005308 김택영 (金澤榮)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850 ~ 1927] 조선 말기의 학자. 호는 창강(滄江)이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나라의 장래를 통탄하다가 1908년에 중국으로 망명, 통주에 살면서 학문과 문장 수업으로 여생을 보냈다.
416 ENCY005309 김통정 (金通精)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273 고려 원종 때 삼별초(三別抄)의 장군으로 원종 11년(1270년) 배중손을 중심으로 강화에서 봉기해 항몽(抗蒙)의 기치를 들어 진도를 거점으로 몽골과 고려 정부에 항거하다 진압된 뒤 제주도로 달아나 계속하여 몽골에 저항하였다.
417 ENCY005313 김하락 (金河洛)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846~1896 한말의 의병장.
418 ENCY005314 김학규 (金學奎)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900~1967 독립 운동가.
419 ENCY040650 김학성 (金學性)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807(순조 7)∼1875(고종 12)]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 자는 경도(景道), 호는 송석(松石)이다.
420 ENCY040790 김한구 (金漢耉) 인물 : 인물(대한민국)
미지정 [1723 ~ 1769]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김선경의 아들이자 정순왕후, 김귀주의 아버지이다. 호조참판을 지낸 김한기(金漢耆)의 형이고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자(字)는 국로(國老), 호는 기졸재(寄拙齋), 시호는 충헌공(忠憲公)이다.

이전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일치 근접
 

▣ 상위 디렉터리
(C) 지식분류
지식디렉터리
지식
지역
시대
부가디렉터리(I)
인물
작품
사건
기관/단체
부가디렉터리(II)
자연계
자연/문화유산
사물/장비
기타
미지정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6년 6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