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서울 가볼만한 곳 삼각산'길상사'는
|
|
|
|
|
|
본래는 '대원각' 이라는 이름의 고급 요정이었으나
|
|
|
|
|
|
요정의 주인이었던 고 김영한(1916 ~ 1999, 법명 길상화)이
|
|
|
|
|
|
법정 스님에게 자신이 소유한 요정 부지를 시주하여
|
|
|
|
|
|
사찰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
|
|
|
|
|
김영한은 일제 시대의 시인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에
|
|
|
|
|
|
등장하는 나타샤로 알려져 있으며,
|
|
|
|
|
|
백석은 연인이었던 그녀에게 자야(子夜)라는 애칭을 붙여주었다고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처음 1985년에 김영한으로 부터 자신의 재산을 희사해
|
|
|
|
|
|
절을 짓게 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법정은 이를 간곡히 사양하였으나,
|
|
|
|
|
|
김영한은 10년 가까이 법정을 찾아와 끈질기게 부탁했고
|
|
|
|
|
|
이에 법정 또한 이를 받아들여,
|
|
|
|
|
|
1995년 6월 13일 대한불교 조계종 송광사 말사인 '대법사'로
|
|
|
|
|
|
등록하며 처음 사찰이 되었다.
|
|
|
|
|
|
1997년에 '맑고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로
|
|
|
|
|
|
이름을 바꾸어 재등록되었고 같은해
|
|
|
|
|
|
2월 14일에 초대 주지로 청학이 취임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김영한은 평생 백석의 생일인 7월 1일에는 식사를 하지 않았고,
|
|
|
|
|
|
길상사에 기부된 김영한의 대원각 재산은 시가 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
|
|
|
|
|
그 많은 재산이 아깝지 않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
|
|
|
|
|
김영한은 "천억은 그 사람(백석)의 시 한 줄만 못하다"고
|
|
|
|
|
|
대답했다고 할 정도로 백석을 그리워했다고 한다.
|
|
|
|
|
|
1999년 11월 14일에 세상을 떠나면서
|
|
|
|
|
|
자신의 유해를 눈이 오는 날 길상사 경내에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
|
|
|
|
|
길상사 경내의 길상헌 뒤쪽 언덕에는 김영한의 공덕비가 세워졌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찰의 창건주였던 법정은 불문에 귀의한
|
|
|
|
|
|
김영한에게 길상화라는 법명을 주었고,
|
|
|
|
|
|
김영한 사후에도 길상사에서 정기법회를 열었으며,
|
|
|
|
|
|
2010년 3월 11일 길상사에서 78세(법랍 54세) 로 입적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길상사 맨 위족에 위치한 법정 스님 '진영각'에는
|
|
|
|
|
|
법정 스님의 유골이 꽃밭에 뿌려져 있으며
|
|
|
|
|
|
작은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
|
|
|
|
|
'진영각' 건물 마루옆에는 법정스님이 앉아 계셨던
|
|
|
|
|
|
나무의자가 홀로 외로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내에는 극락전, 지장전, 설법전 등의 전각이 있으며
|
|
|
|
|
|
행지실, 청향당, 길상헌 등의 요사가 존재한다.
|
|
|
|
|
|
2011년 이후 덕운이 주지로 취임하였으며,
|
|
|
|
|
|
불교 자선재단 '맑고향기롭게'의 근본 도량으로써
|
|
|
|
|
|
여러 가지 사회사업을 펼치고 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