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서정별곡 (西征別曲) ◈
해설   본문  
귀암 박권(朴權)
1
西征別曲(서정별곡)
 
 
2
명시(明時)에 득죄(得罪)야  /  전야(田野)의 도라와셔
3
일곡(一曲) 셤호(蟾湖)의  /  모옥(茅屋)을 지어 두고,
4
연(煙沙) 월적(月磧)의  /  경조(耕釣)를 일을 삼아
5
(紫陌) 홍진(紅塵)의  /  일염(一念)이 쳐더니,
6
건곤(乾坤)니 (再泰)하고  /  일월(日月)이 다시 밝가
7
탈니(脫離) 유잠(遺簪)을  /  일시(一時)의 수습(收拾)하니,
8
쳥강(淸江) 셕(白石)의  /  어조(魚鳥)를 이별고,
9
옥셔(玉署) 금화(金華)의  /  완노(鵷鷺)를 로더니,
10
연경(燕京) 만리(萬里)길을  /  (使价)로 명시니,
11
룡누(龍樓)의 직(下直)고,  /  일긔(馹騎)를 이 모라
12
영은문(迎恩門) 지나 다라  /  홍졔원(弘濟院) 다라니,
13
고구(故舊) 친척(親戚)이  /  숀고 일은 말이
14
풍상(風霜) 외(塞外)의  /  됴히 녀 도라오쇼.
15
동지(冬至) 긴긴 밤을  /  벽제(碧蹄)셔 계유 와
16
임진(臨津)을 건너리라.  /  송악산(松岳山) 라보니,
17
오백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의  /  기세(氣勢)도 웅쟝(雄壯)다.
18
선쥭교(善竹橋) 나린 물이  /  지금(至今)의 오열(嗚咽)니,
19
졍포은(鄭圃隱) 쳔고원(千古怨恨)  /  여긔 아니 부쳣가?
20
만월(滿月臺) 너분 터의  /  쇠(衰草)만 나마시니,
21
인간(人間) 흥폐(興廢)  /  일너  듸 업거니와
22
고국(故國) 풍연(風煙)의  /  수(客愁)를 도도놋.
23
평산(平山)을 겨유 지나  /  총슈(葱秀站) 드러가니,
24
주쳔사(朱天使) 구유쳐(舊遊處)의  /  승젹(勝跡)만 나마 이셔
25
챵(蒼崖)의 인 글  /  묵젹(墨蹟)이 어제론 듯
26
황강셩(黃崗城) 드러가니,  /  일(白日)이 노파셰라.
27
통판(通判)이 다졍(多情)여  /  별연(別莚)을 노피 베퍼
28
금슬(琴瑟) 쳥쥰(淸樽)으로  /  원(遠客)을 위로(慰勞)
29
고누(高樓) 야심후(夜深後)의  /  츌곡(出塞曲)을 노피 브니
30
일촌(一村) 니은 간장(肝臟)  /  여기선 다 쳣다.
31
층빙(層氷)은 강(塞江)고,  /  젹셜(積雪)은 만산(滿山)듸,
32
연광졍(鍊光亭) 오푼 집의  /  풍일(風日)도 낙(冷落)다
33
듕화(中和)의 잠 어  /  긔셩(萁子城) 드러가니,
34
영명(永明寺) 부벽누(浮碧樓)을  /  아니 보려 랴마
35
왕정(王程)이 유한(有限)니,  /  훗긔약(期約)을 머무로니라
36
숙영관(肅寧館) 밤 쉬어  /  청천강(淸川江) 건너 드니,
37
남누(南樓) 셜월(雪月)의  /  금영(錦筵)을 버려,
38
(百隊) 홍장(紅粧)이  /  좌우(左右)의 버러시니,
39
타향(他鄕) 평수(萍水)의  /  낙라 련마
40
졀(絶色) 금가(琴歌)  /  여(旅限)을 바아놋다.
41
남녀(藍輿)를 눅게 메여  /  상누(百祥樓)의 올나가니,
42
일(一帶) 빙강(氷江)이  /  벽뉴리(碧琉璃) 가
43
셜마(雪馬)를 빗기 모라  /  조쟝(祖帳)의 드러가니,
44
금(金杯)의 가득 부어  /  권(勸)야 일 말이
45
젼산(前山)의 일모(日暮)고,  /  노(客路)의 쳔(天寒) 니,
46
냥관(陽館)을 나간 후(後)면,  /  고인(故人)이 뉘 이리?
47
가산(嘉山)길 오십니(五十里)를  /  몽듕(醉夢中)의 드러가서
48
납쳥젼(納淸殿) 잠간(暫間) 보고  /  신안관(新安館) 드러가서
49
영츈당(永春堂) 놉푼 집의  /  봄빛 어듸 간고?
50
운흥관(雲興館)넌 보고,  /  고션셩(古宣城) 드러가니,
51
의검졍(倚劒亭)놉 우의  /  단벽(丹碧)이 어릐엿다.
52
쳥유당(聽流堂) 져문 날의  /  곡난간(曲欗干)의 비겨시니,
53
홍군(紅桾) 쉬(醉袖)들이  /  어름 우의 희롱*戱弄)니,
54
냥쥬(陽州) 연 쳥동(白蓮靑銅)  /  보경(寶鏡)을 지엿 듯
55
무릉계(武陵溪) 삼월 도화(三月桃花)  /  유수(流水)의 여 듯
56
만곡슈(萬斛水)긴 눈셥  /  거의 아니 펴이거냐?
57
용만관(龍灣館) 여 드러  /  통군졍(統軍亭)을 올나 보니,
58
호쳔(胡天) 지쳑(咫尺)의  /  의슈(衣帶水)의 가려시니,
59
쳥구(靑丘)일역(一域)이  /  여긔 와 진(盡)탄 말가?
60
장(行裝)을 졈겸(點檢)야  /  압녹강(鴨綠江) 건너리라.
61
여가(驪歌)다 부니,  /  셕양(夕陽)이 거의로다.
62
졍거(征車)의 (醉)코 올나  /  고향(故鄕)을 도라보니,
63
종남산(終南山) 일쳔리(一千里)의  /  구이 머흐럿다.
64
삼강수(三江水)다 지나셔  /  구련셩(九連城) 도라드니,
65
음풍(陰風)은 권지(捲地)고  /  삭셜(朔雪)이 영장(盈丈),
66
황모(黃茅) 위간(白葦間)의  /  포막(布幕)을 나쵸 치고,
67
일점(一點) 한등(寒燈)이  /  침변(枕邊)의 발가시니,
68
강두(江頭)의 (醉) 술이  /  하마면 다 거다.
69
공명(功名)도 그름갓고,  /  부귀(富貴)도 츈몽(春夢)이라.
70
인(人生)이 언마완,  /  형역(形役)이 되야 이셔
71
고당(高堂) 학발(鶴髮)의  /  온졍(溫情)을 못밧들고
72
운(白雲) 쳔말(天末)의  /  방촌(方寸)만 서기고?
73
왕준(王遵)은 즐어(喞御)고,  /  모의(毛義) 봉격(奉檄)니,
74
군친(君親)이 일쳬(一體)여니,  /  충효(忠孝)ㅣ 어이 다를소냐?
75
금셕산(金石山) 지나거냐?  /  셜암(雪巖)이 어오.
76
봉황산(鳳凰山) 겻 두고,  /  안시셩(安市城) 여긔로다.
77
당가(唐家) 만병(百萬兵)이  /  예 와셔 (敗)탄 말가?
78
산쳔(山川)은 의구(依舊),  /  인걸(人傑)은 어 간고?
79
져근 듯 비러다가  /  셩쥬(聖主)긔 드리고져.
80
요동(療東) 옛 지계(地界)를  /  거의 회복(回復) 련마
81
쳔츄(千秋)의 챵망(悵望)니,  /  속졀 업슬 이로다.
82
팔도하(八渡河) 나린 물이  /  몃 구비나 서렷고?
83
쳥셕영(靑石嶺) 회평영(恢平嶺)이  /  놉고도 험시고.
84
졍형(井陘)이 이러며,  /  구졀(九折)인들 비길소냐?
85
연산역(連山驛) 조반 후(後)의  /  낭산(娘子山) 너머가니니,
86
요양역(遼陽驛) 어듸요?  /  탑(白塔)이 여긔로다.
87
천연(千年) 화표주(華表柱)  /  오히려 나마시되,
88
만고(萬古) 정영위(丁令威)  /  어 가고 놋오던고?
89
흥망(興亡)을 뭇 나,  /  옛일을 뉘 알소니?
90
평원(平原)이 극목(極目) 고,  /  쵸(白草) 연천(連天)
91
북풍(北風)이 높이 불려  /  부운(浮雲)을 다 거드니,
92
건곤(乾坤)이 묘막(杳漠)야  /  졔(涯際)를 모로놋다.
93
사봉(沙河峰) 지나 다라  /  심양(瀋陽)의 드러가니,
94
성지(城地)도 졀험(絶險)고,  /  젼우(殿宇)도 굉려(宏麗)다.
95
황긔포(黃旗浦) 기포(白旗浦)  /  소흑산(小黑山) 신광년(神光嶺)이
96
지명(地名)도 고 만코,  /  도리(道理)도 요원(遙遠)다.
97
여양역(閭陽驛) 건너편의  /  십삼산(十三山)이 버러시니,
98
우공(愚公)이 졔 왓가?  /  우부(愚斧)로 가가?
99
무산(巫山) 육봉(六峰)이  /  언제 나라 저 왓고?
100
쇼능하(大小陵下) 겨우 건너  /  고교포(高橋浦)의 다다라니,
101
운간(雲間)의 비긴 모히  /  의무려(醫巫閭) 아니런가?
102
쳔봉(千峰)이 두발(斗拔)고,  /  반공(半空)의 다아시니,
103
오악(五岳)이 뫼도곤  /  놉 말 못노라.
104
졍참(征驂)을 주(暫駐)고, 발(渤海)를 구버보니,
105
장풍(長風)의 놀낸 물결  /  은옥(銀玉)이 아(嵯峨)다.
106
노련(魯連子) 다시 살아  /  금셰(今世)의 날작시면,
107
창명(滄溟)이 깁다 나,  /  필연(必然)이 바라려니,
108
연산역(連山驛) 조반후(朝飯後)의  /  영영(永寧寺)  보고,
109
거마(車馬)를 밧비 모라  /  영원위(寧遠衛) 드러가니,
110
금탕(金湯)이 굿다 들  /  쇄약(鎖鑰)을 뉘 알쇼니?
111
붕셩(崩城) 벽(破壁)의  /  옛 긔지(基址)만 나마셔라.
112
통구(通衢) 십노(十字路)의  /  석문(石門)니 최외(崔嵬)다.
113
조장군(祖將軍) 사셰은영(四世恩榮)  /  환혁(煥赫)도 다마는
114
이소경(李少卿) 농서가성(隴西家聲)  /  뉘라서 일카라리?
115
관동(關東)은 육십니(六十里)라.  /  양하슈(兩河水) 몃춧 가라
116
망부셕(望夫石) 즈리라.  /  뎡여(貞女祠) 올나가니,
117
네 원(怨恨) 각거든  /  녹감즉도 다마
118
쳔츄(千秋) 풍우(風雨)의  /  눌 위야 셔 잇다?
119
산관(山海館) 거의로다.  /  만리성(萬里城) 바라보니,
120
쳔구(千衢) 비 후(後)의  /  옥홍(玉虹)이 빗겨닷
121
츄쳔(秋天) 발근 졔  /  은한(銀漢)이 둘너다.
122
진황졔(秦皇帝)의 어린 계교(計巧)  /  쳔고(千古)의 웃건마
123
당시(當時)의 보던 셔(讖書)  /  과연(果然) 오늘 마도다.
124
유관(楡關)을 월(越)리라.  /  창여(昌黎祠) 드러가니,
125
슈양산(首陽山) 어듸요  /  고쥭국(孤竹國)이 여긔로다.
126
층(層臺)의 막대 집허  /  이제묘(夷齊廟) 드러가니,
127
쳥풍(淸風)이 늠열(凜烈)야  /  셰(百世)의 리닷
128
난하수(灤河水) 말근 고  /  일(一杯)를 가득 부어
129
산두(山頭)의 올여 노코  /  재(再拜)야 일은 말이
130
산중(山中)의 나 미궐(薇蕨)  /  마다 풀으거든
131
슬푸다! 금셰(今世) 람  /  올 줄 모로다.
132
사하역(沙河驛) 고 지나  /  풍윤(豊潤)을 가셔라.
133
계셩(薊州城) 드리다라  /  와불(臥佛寺)의 올나가니,
134
삼층(三層) 각(翠閣)의  /  금상(金像)이 최외(崔嵬)다.
135
금산(金山寺) 장육신(丈六身)을  /  뉘라셔 놉다터니?
136
이제묘(夷齊廟) 보게 되면,  /  소사미(少沙彌) 되리로다.
137
상(床) 우의  부쳐  /  몇 겁(劫)을 누어 이셔
138
셔쳔(西天)을 가?  /   줄를 모로고?
139
삼하슈(三河水) 다 디나셔  /  통강(通州江) 니,
140
장범(檣帆)이 독립(獨立)고,  /  읍니(邑里)도 은셩(殷盛)다.
141
동악묘(東岳廟)의 옷슬 가라  /  치화문(致華門)드러가니,
142
황조(皇朝) 옛 궁궐(宮闕)이  /  완연(宛然)니 잇다마
143
한관(漢官) 위의(威儀)를  /  어듸 가  보리?
144
오봉문(五鳳門) 너머 드러  /  태화젼(太華殿) 라보니,
145
금화(金華) 벽(翠壁)은  /  조일(朝日)을 라이고,
146
수각(水閣) 누(丹樓)  /  운(彩雲)이 어엿다.
147
경쳔(擎天) 옥쥬(玉主)  /  일(一雙)이 마조 셔코,
148
가공(架空) 은교(銀橋)  /  다시 버러 잇다.
149
지(太液池) 말근 물이  /  만수산(萬壽山) 둘러시니,
150
곤명(昆明)이 넙다 들  /  쳥결(淸潔)미 이러랴?
151
인공(人功)이 극딘(極盡)니  /  민역(民力)이 견딀쇼냐?
152
존망(存亡)이 유슈(有數)니  /  폐홍(廢興)이 유덕(有德)이라.
153
궁(窮奢) 극치(極侈)고  /  장구(長久)니 뉘 잇던고?
154
옥하관(玉河館) 깁흔 고  /  벗업시 혼 누어
155
졍(行程)을 묵산(黙算)니,  /  쳔니(四千里) 밧기로다.
156
수방(殊方) 니(客裏)의  /  츈(春色)이 도라오니,
157
유(遊子) 쳔(天涯)의  /  쵼심(寸心)이 로와라.
158
챵젼(窓前) 효월(曉月)은  /  여침(旅枕)을 여어 보고,
159
젹니(笛裏) 양유(楊柳)  /  몽(客夢)을 놀놋다.
160
교두(橋頭)의 우 물이  /  동(東海)로 갈작시면,
161
향누(思鄕淚) 려야  /  고원(故園)의 붓치고져.
162
언졔면 쳥츈(靑春)으로  /  벗슬 마 됴히 도라가리요?
【원문】서정별곡 (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17
- 전체 순위 : 2835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156 위 / 265 작품
지식지도 보기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서정별곡(西征別曲) [제목]
 
  박권(朴權) [저자]
 
  1694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백과사전 으로 가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해설   본문   한글(고어) 
◈ 서정별곡 (西征別曲)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5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