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經(시경)》 『小雅(소아)』 祈父之什 (기부지십)
|
|
|
|
|
2
我行其野, 蔽芾其樗. (아행기야, 폐불기저)
3
내가 벌판을 걸으며, 가죽나무 무성하게 그늘졌구나
4
昏姻之故, 言就爾居. (혼인지고, 언취이거)
6
爾不我畜, 復我邦家. (이불아축, 부아방가)
7
그대 나를 돌보지 않아, 다시 내 고향 내 친척에게 돌아가려네
8
我行其野, 言采其蓫. (아행기야, 언채기축)
10
昏姻之故, 言就爾宿. (혼인지고, 언취이숙)
12
爾不我畜, 言歸思復. (이불아축, 언귀사부)
13
그대 나를 돌보지 않아, 돌아가리라 다시 돌아가리라
14
我行其野, 言采其葍. (아행기야, 언채기복)
16
不思舊姻, 求爾新特. (불사구인, 구이신특)
17
이미 혼인한 것 생각 않고, 그대는 신부를 다시 구한다
18
成不以富, 亦祇以異. (성불이부, 역기이이)
19
그녀 재산이 많아서가 아니라, 그대가 다만 괴팍해서라네
|
|
|
|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
글쓰기
】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