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문 
◈ 勿稽子(물계자) ◈
카탈로그   본문  
고려 충렬왕 때
일연
1
三國遺事 卷第五
2
避隱 第八
 
 

1. 勿稽子

 
4
第十<奈解王>卽位十七年壬辰, <保羅國>(今<固城>)‧<史勿國>(今<泗州>)等八國, 倂力來侵邊境, 王命太子<㮈音>‧將軍<一伐>等, 率兵拒之, 八國皆降. 時, <勿稽子>軍功第一, 然爲太子所嫌, 不賞其功. 或謂<勿稽子>: 「此戰之功, 唯子而已, 而賞不及子, 太子之嫌君其怨乎?」 <稽>曰: 「國君在上, 何怨人臣?」 或曰: 「然則, 奏聞于王幸矣.」 <稽>曰: 「伐功爭命, 揚己掩人, 志士之所不爲也. 勵之待時而已.」 十年乙未, <骨浦國>(今<合浦>也)等三國王, 各率兵來攻<竭火>(疑<屈弗>也, 今<蔚州>), 王親率禦之, 三國皆敗. <稽>所獲數十級, 而人不言<稽>之功. <稽>謂其妻曰: 「吾聞仕君之道, 見危致命, 臨難忘身, 仗於節義, 不顧死生之謂忠也. 夫<保羅>(疑<發羅>, 今<羅州>)‧<竭火>之役, 誠是國之難. 君之危, 而吾未曾有忘身致命之勇, 此乃不忠甚也. 旣以不忠而仕君, 累及於先人, 可謂孝乎? 旣失忠孝, 何顔復遊朝市之中乎!」 乃被髮荷琴, 入<師彘山>(未詳), 悲竹樹之性病, 寄托作歌, 擬溪澗之咽響, 扣琴制曲, 隱居不復現世.
【원문】勿稽子(물계자)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미분류〕
▪ 분류 : 한국역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2
- 전체 순위 : 5207 위 (4 등급)
- 분류 순위 : 119 위 / 18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고전 > 한국고전 > 한국역사 카탈로그   본문   한문 
◈ 勿稽子(물계자)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