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김삿갓 이야기 ◈
카탈로그   본문  
1925.8
박달성
1
김삿갓 이야기
 
 
2
덥고 땀나고 목마르고 답답하고 지루하니 이번에는 시원시원하고 선들선들한 장난꾼 이야기를 하나 합시다.
 
3
여러분이 할아버지나 아버지나 형님에게 혹 들으셨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마는 이 이야기야말로 조선에 유명한 누구나 다 아는 김삿갓 이야기입니다. 글 잘 하고 장난 잘 하고 돌아다니기 잘 하고 봉변도 많이 당하고 욕도 실컷 얻어먹는 유명한 글쟁이 유명한 김삿갓입니다.
 

 
4
김삿갓은 이로부터 한 100년 전 사람인데 그의 본명은 병련(炳鍊)이 입니다. 본래 서울 유명한 양반의 자손으로 인물 잘 나고 글 잘 하는 그는 그만 그 할아버지의 잘못으로 그만 역적의 자손이란 이름을 가지고 한 세상을 불평과 낙망으로 지내게 되였습니다.
 
5
그 할아버지는 김익순(金益淳)이라는 서울 양반으로 그 때에 선천 방어사(宣川防禦使)를 해 가지고 선천에 가서 관원 노릇을 하였습니다. 그 때에 마침 유명한 홍경래란 이가 평안도에서 일어나게 되여 여러 고을이 함락되는 바람에 선천 방어사로 있던 김익순이는 할 수 없이 홍경래에게 항복을 하고 말았습니다. 그 뒤에 난리가 평정되고 나라에서 공신은 공신대로 올려 세우고 역적은 역적으로 몰게 될 때에 이 김삿갓의 할아버지 김익순도 물론 역적 측에 들게 되여 그 자손은 대대로 벼슬도 못하고 행세도 못하게 되였습니다. 그러니까 인물도 잘 나고 글도 잘 하고 지체도 좋았으나 할아버지의 역적 죄명 아래에서 김삿갓은 과거도 못 보고 벼슬도 못하고 그저 불평과 낙망만 가지고 이리 저리 다니며 세상 구경이나 하다가 죽을 밖에 없게 된 신세였습니다. 그래서 부끄럽다 하야 어디를 가든지 삿갓을 쓰고 다니었습니다. 삿갓을 늘 쓰고 다닌 고로 세상 사람이 불러 주기를 김삿갓이라 하였습니다.
 

 
6
자-이제부터는 김삿갓이 장난하던 이야기를 두 마디 해 봅시다. 삿갓을 쓰고 지팡이를 끌고 거지 모양으로 이곳저곳으로 다니며 인정풍속(人情風俗)도 살피고 글도 짓고 장난도 하다가 한 곳을 가니까 조그마한 촌이 있고 수무나무가 있는 큼직한 집 한 채가 있습니다. 날은 저물고 배는 고프고 그래서 그 수무나무 있는 집을 찾아가서 밥을 청하였습니다.
 
7
주인이 나와 보니까 어떤 놈이 커다란 삿갓을 쓰고 거지 비슷이 차리고 와서 밥을 청하거든요. 단바람
 
8
“밥 업소. 가오.”
 
9
하고 문을 딱 닫고 들어갔습니다. 할 수 없어 다른 집으로 가서 또 그 모양으로 밥을 청했습니다. 또 그 모양으로 쫓겨났습니다. 서너 집을 다니며 그 모양으로 밥을 청했습니다. 그러다 못하여 이번은 수무나무 있는 집으로 또 갔습니다. 가서 또 요란스럽게
 
10
“주인 계시오. 밥 좀 주시오.”
 
11
하고 야단을 쳤습니다. 그러니까 주인 놈은 두 번째 와서 시끄럽게 자꾸 야단을 하니까 할 수 없어서
 
12
“그럼 한 술 줄게 먹고 가라.”
 
13
하고는 먹다 남은 쉰 찬밥 덩어리를 더럭 내 주었습니다. 받아 들고 냄새를 맡아보니까 퀘퀘 쉰 찬밥이거든요. 우습기도 하고 골도 나서
 
14
“에라 이놈 욕이나 실컷 해주고 가자.”
 
15
하고 이어 밥그릇에다가
 
16
‘二十樹下三十客 四十家中五十飯(이십수하삼십객 사십가중오십반)’
 
17
이라고 글 한 구를 지어 들여보냈습니다. 즉 무슨 말인고 하니,
 
18
‘수무나무 아래 서른 손이(슬픈 손님이라는 뜻) 마흔 놈의(망한 놈이라는 뜻)의 집에 쉰밥’
 
19
이라는 욕입니다. 주인이 받아 보니까 이런 욕이 없거든요.
 
20
‘야 이놈 봐라 글 잘 하는 거지로구나!’
 
21
하고 따라 나와 보니까 벌써 달아났더랍니다.
 

 
22
또 한번은 어떤 곳을 가니까 큼직한 촌중이 있고 그 촌중에는 서당(글방)이 있더라나요. 그런데 마침 비가 오더랍니다.
 
23
‘에라 이놈의 서당에나 찾아가 훈장 놈이나 놀려 보자’
 
24
하고 슬금슬금 글방으로 찾아갔습니다. 글방 얘들은 김삿갓을 보고
 
25
“어떤 농사꾼이 글방을 찾아 오노? 막 비가 오니까 비를 그어 가려나 보다.”
 
26
하고 모두 쑤군쑤군 하더랍니다.
 
27
“에헴 좀 쉬어 갑시다.”
 
28
하고 글방 윗목으로 엉덩이를 들이밀었습니다. 아랫목에 앉은 훈장인가 한 작자가 정자(丁字)관을 쓰고 흔들흔들 하고 앉아서
 
29
“애들아 오늘은 희우(喜雨)라고 문제를 내가지고 글을 지어라. 마침 비가 잘 오니.”
 
30
하고 농사 때 마침 기쁜 비가 오니까 ‘희우’라고 문제를 내더랍니다. 문제를 내놓고 모두 글을 짓노라고 흥얼흥얼 하는 판인데 어떤 아이가
 
31
“선생님 아무리 생각해도 글이 안 나와요. 첫 구 하나만 불러주세요.”
 
32
하고 청하더랍니다. 그러니까 훈장은
 
33
“그걸 못 지어. 그럼 한 구만 불러 줄게…… 자 - 받아써라.”
 
34
하고,
 
35
‘今日雨來見(금일우래견)하니 誰家者不喜(수가자불희)리오’
 
36
라고 부르더랍니다. 즉 무슨 말인고 하니
 
37
‘오늘날 비 오는 것을 보니 뉘 집 놈인들 기뻐 아니 하리요’
 
38
라는 말입니다. 불러 놓고는 잘 지은 듯이 한번 읊어보면서 제법 수염을 쓰다듬더랍니다. 이 꼴을 본 김삿갓은 어찌도 우스운지
 
39
‘에라 이놈, 욕이나 한번 해 주자’
 
40
하고 슬그머니 다가앉으면서
 
41
“여보시오 선생님 저도 한 구 지읍시다.”
 
42
하니까 훈장 놈은 물끄러미 보더니
 
43
“자네도 글 지을 줄 아나? 그럼 한 구 불러 보게.”
 
44
하고 아주 우습게보더랍니다. 그래서 김삿갓은
 
45
“실례합니다마는 부를 테니 받아쓰십시오.”
 
46
하고 훈장 놈의 글과 같은 음으로
 
47
“금일에 우래견하니 수가자불위”
 
48
라고 불렀습니다. 훈장 놈은
 
49
“아 이 사람아 그것은 내가 지은 글 아닌가?”
 
50
하고 붓대를 놓고 성을 내더랍니다. 그러니까 김삿갓은
 
51
“아니올시다. 음은 같지만 글자는 다릅니다.”
 
52
하고 훈장 놈의 글에서 비 우(雨)자를 우연 우(偶)자로, 기쁠 희(喜)자를 될 위(爲)자로 두자만 갈면서 욕하는 글로 불렀습니다. 즉
 
53
‘今日偶來見하니 誰家者不爲’
 
54
라고 다시 말하면
 
55
‘오늘날 우연히 와 보니 뉘 집 놈인지 되지 않았더라’
 
56
라고 욕한 글입니다. 이것을 본 훈장 놈은 골이 상투 끝까지 나서
 
57
‘이놈 봐라’
 
58
하고 야단을 치려고 했습니다. 김삿갓은 벌써
 
59
‘이 자식 엿 먹어라’
 
60
하고 달아났습니다.
【원문】김삿갓 이야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동화〕
▪ 분류 : 근/현대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23
- 전체 순위 : 1205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123 위 / 682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시우에게
• (1) 향수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김삿갓 이야기 [제목]
 
  # 박달성 [저자]
 
  1925년 [발표]
 
  동화(童話) [분류]
 
  # 위인전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소설 카탈로그   본문   한글 
◈ 김삿갓 이야기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6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