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대용품을 얘기하기보다는 우선 적용폼(適用品)의 내력을 말해 보겠소. 장신구로 말하면 양복이나 오버가 모두 연전(年前)에 장만한 것이 되어서 속(俗) 소위 '스무'란 한 올도 섞이지 않았소.
3
그런데 첫여름에 교피(鮫皮) 구두를 한 켤레 신어 본 일이 있었는데, 그 덕에 여름 비가 그다지 많이 왔는가 싶어 금나 벗어버리고 지금은 없소, 식용품에는 가배에 다분히 딴놈을 넣는 모양이나 넣을 때 보지 않는만큼 그냥 마십니다마는 그도 심하면 아침에 미쓰꼬시에 가서 진짜를 한 잔 합니다. 버터는 요즘 대개는 고놈 '헷드'니 '라아드'니 하는 것을 주는데 아무튼 고수한 맛이 없더군요. 그래서 잼이나 마마레드는 먹고 고놈은 그냥 버려 둡니다.
4
그런데 대용품이라면 요즘은 모두 시국(時局)과 불가분의 관계로 생각하는 모양인데 사실은 옛날부터 이 대용품이 있었습니다. <사례편람(四禮便覽)>에 보면 대부(大夫)의 제(祭)에는 오탕(五湯)을 쓰는 법이었는데, 그 오탕 중에는 생치탕(生雉湯)이 한몫 끼이는 법이나, 제사가 여름이면 생치탕이 없으므로 계탕(鷄湯)을 대용하는 것이며, 술도 옛날에 자가용(自家用)을 빚을 수 있을 때는 맨 처음 노란 청주(淸酒)를 떠서 제주(祭酒)를 봉(封)하고 난 뒤에 손을 대접하곤 했으나, 자가용 주(酒)가 없어진 뒤는 술을 사온 것은 부정(不精)하다고 예설(禮設)에 있는 대로 냉수를 청주 대신 '현주(玄酒)'라고 쓰는 법이 있었는데, 이것은 신을 속이기 쉽다는 것보다 그들의 신에 대한 관념이 '양양히 그 위에 계신 듯' 하다는 말로 보면, 나도 술대신 현주를 마시고 혼연히 취한 듯하다고 생각해 볼까하오.
5
그리고 옛날 어떤 선비는 청빈한 집이라 등잔을 켤 형세가 못 돼서 여름이면 반딧불을 잡아서 글을 읽었고, 때로는 달빛을 따라 지붕 위에서 글을 읽은 이도 있었다 하니 이도 말하자면 대용품인 것은 틀림없으나 그럴 듯 풍류이기도 하지 않소, 요즘은 화학자들이 이 반딧불과 월광을 화열(火熱), 전열(電熱) 등 모든 열광의 대용품으로 자자(孜孜)히들 연구하는 모양인데, 이러한 냉광(冷光)이 비록 완성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나는 벌써부터 애용하고 있는 터이오. 지금도 나는 휘황찬란한 전열 밑에서 보다는 무엇을 사색할 필요가 있을 때는 월광(月光)을 따라 성 밑이나 산마루턱을 혼자 거닐기도 하오. 그것도 한겨울 눈이 하얗게 쌓인 위를 밤 깊이 걸어다니면 그야말로 냉광은 질식된 내 영혼을 불러 살리는 때가 있는 것이오.
|
|
|
|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
글쓰기
】
〔수필〕
|
|
|
▪ 최근 3개월 조회수 :
2
|
- 전체 순위 : 3506 위 (4 등급)
|
- 분류 순위 : 540 위 / 1170 작품
|
|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
▣ 참조 지식지도
|
▣ 기본 정보
|
|
|
◈ 기본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