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서푼짜리 원고상(原稿商) 폐업 ◈
카탈로그   본문  
미상
조명희
1
서푼짜리 원고상(原稿商) 폐업
 
 
2
5년 전이다. 내가 동경에서 조선으로 처음 올 때에 24자 양면 원고지로 팔, 구십매 가량되는 희곡 원고를 하나 가지고 나왔었다. 그때 그 희곡이 물론 습작으로도 쓴 것이지만 한 달 동안이라는 시일을 허비하여 가며 힘들여 쓴 것이었다. 그것을 가지고 나오는 나의 마음은 그것을 발표도 하고 싶은 마음에, 원고료도 받아먹고 싶은 마음에 보따리 속에 끼여 가지고 온 것이다.
 
3
서울은 나에게 있어서 서투른 곳이다. 신문, 잡지사나 출판업자 하나 아는 곳이라고는 없었다. 아는 친구도 하나 둘 밖에는 더 없었다. 그리하여 그때에는 오직 하나였던 친구 ○형이 소개하여 줄 양으로 같이 어느 서점을 찾아 갔었다.
 
4
“이 양반은 내 친구고 전날에 글도 많이 써 오던 이인데 지금 써 가지고 온 이 희곡이 매우 재미스러워서 잘 팔릴 듯싶으니 하나 출판해 보시오.”
 
5
이것이 ○형이 서점 주인에게 소개하는 말이었다. 그 서점 주인은 일견 봉건시대 조선 종로거리의 장사아치 그대로이다. 나는 속으로 저것이 무슨 희곡이고 무엇이 그를 분별할 만한, 적어도 선진국의 문명했다는 상인쯤이나 되겠느냐 하고 멸시하는 생각도 났었다. 아니나 다를까.
 
6
“희곡이라니요?”
 
7
“앗다, 각본……연극하는데 쓰는 각본 말이오.”
 
8
○형과 서점 주인이 서로 주고 받는 말이다.
 
9
“예 ─ 각본 말이오. 그런데 각본은 소설과 달라서 잘 안 팔린다는데 …….”
 
10
“그렇지만 이 각본은 재미스러워서 잘 팔리리다.”
 
11
“글쎄요, 온…….”
 
12
“글쎄가 아니라 잘 팔릴 터이니 해 보시오.”
 
13
한참 동안이나 말없이 잔뜩 빼고 앉았던 주인은 그제야 입을 열어,
 
14
“좌우간 두고 가시지요. 한번 읽어 보고서요.”
 
15
이 말에 나는 역증이 슬그머니 나며,
 
16
‘보기에는 제가 무엇을 봐. 출판을 할려면 할 것이요, 아니 할려면 않을 것이지 보고 말고가 어디 있어…… 주제 넘게…….’
 
17
하는 생각이 났으나 어디 두고 보자는 작정으로 그 원고를 주인에게 맡기어 두고는 밖으로 나오며,
 
18
“창피스러운 걸…….”
 
19
하였더니 ○형은 내가 아직도 조선 사정을 잘 모른다는 듯이
 
20
“창피야 하지마는 조선이란 데는 아직도 일반의 정도가 아까 보던 그 꼴과 같으니까…….” 하며 피차 한탄만 하고 말았다.
 
21
이러고 난 뒤 1개월이나 지나서 ○형과 나는 그 서점을 또 찾아가서,
 
22
“그동안에 어떻게 결정하셨소?”
 
23
“예, 바빠서 못 보았어요.”
 
24
에, 이것 참 기막힌 일이다. 소위 글 쓴다는 사람이 대단해서 대접을 억지로 받자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사람의 물건이기로 물건을 사겠다고 하여 놓고 사람 대접을 하기로도 이같이 하는 수는 없는 일이다. 나는 그만 골이 나서,
 
25
“그 원고 이리 내오. 창피스러워서 참 …….”
 
26
얼굴을 붉히며 원고를 찾아서 들고는 ○형이 등을 밀어 밖으로 나오고 말았다.
 
27
이 뒤에 ○형이 소개로 그때 조선서는 다만 하나이었던 어느 잡지사에 찾아갔었다. 그 잡지사 주간격 되는 이를 처음 만나서 인사를 하고 원고를 내어 밀었다.
 
28
“○씨에게 말을 들었지요. 한데 작품내용이 너무 과격해서는 실릴 수 없는 걸요.
 
29
“아니, 과격하다고 하는 곳은 별로 없는 걸요. 좀 염려스러운 곳은 ×표를 쳐 놓았으니 괜치 않을 줄로 아는데요.”
 
30
“좌우간 두고 가시지요. 그런데 이 달에는 벌써 원고 모집 기간이 지나고 이 달 말이나 또 그담 호에나 내게 될 듯 하외다.”
 
31
이도 또한 기막힌 노릇이다. 원고를 손에 들고 나서면 곧 돈하고 바꾸어질 듯 하던 마음, 원고를 갔다 주기만 하면 즉석에서 돈이 나오겠다던 마음, 궁(窮)에 쪼들려 어디 어디다 돈을 나누어 쓰겠다고 예산까지 하여 놓고 돈을 기다리던 마음이 푸대접에 불쾌도 하고 돈 생길 기한이 하도 엄청나게 멀어져 간이 뚝뚝 떨어지는 마음으로 뒷덜미를 두드리며 발길을 돌려왔었다.
 
32
한 달이 지난 뒤부터는 전화다.
 
33
“여보세요. 그 원고를 이 달호에는 내십니까?”
 
34
“이 달에는 못 내겠는 걸요. 요 담 달에는 내지요.”
 
35
또 한달이 지나갔다.
 
36
“그 원고를 이 달호에는 내십니까?”
 
37
“예 ─ 좀 그런 사정이 있어서요. 담 달로 미루게 되었습니다.”
 
38
“이 달에는 실리게 되나요?”
 
39
“이 달에는 내기로 작정하고 편집까지 해 놓았습니다.”
 
40
옳다! 인제는 되었다 생각하고는,
 
41
“원고료를 좀 주시겠습니까?”
 
42
“원고료요? 그것은 잡지가 나온 뒤에 주는 것이 규정입니다.”
 
43
나는 잡지나 나오기를 손꼽아 기다리었다. 잡지가 나온 뒤에 두번, 세 번 졸라서 몇 십원 돈이란 것을 간신히 얻어 쓰게 되었었다.
 
44
‘참 무던히 힘들다. 원고 하나 팔아먹기가 이 같아서야 어디 문필업이란 것으로 살아나갈 수가 있나?…… 제기 …… 그러나 앞으로는 시세가 좀 나아갈 터이지.’
 
45
하며 시세를 기다렸었다. 그러나 좋은 시세란 것은 영영 오지 않고 말았다. 그러나 한 해가 지나고 또 한 해가 지날수록 좀 나아지는 것만은 사실이었다. 그러나 언제든지 서푼짜리 원고의 가격과 상인 대접만은 면치 못하였다. 누구나 다 그러니까 나 혼자서 탓할 것은 없지만은 조선 같은 곳에서 대중의 문화 정도가 얕고 경제력이 핍절(乏絶)하여 가니 문단의 황금시대는 이 모양 같아서는 영영 없으리라는 절망을 갖게 되었었다. 아니다 다를까, 작금(昨今)양년(兩年)을 통해서 보면 신문에 실리는 연재소설 이외에는 좀 처럼 원고료 맛이라고는 볼 수 없는 형편이다.
 
46
작년 여름 일이다. 돈 생각이 몹시 나기에 되나 안 되나 써 놓앗던 작품 몇 개를 추려 놓고서 출판할 곳을 물어보니까 어느 친구의 말이 그것을 그대로 가지고는 완전한 상품이 되지 못하니까 먼저 출판 검열을 치러 놓으라고 한다.
 
47
그래서 나는 그것을 부랴부랴 하고 책을 매어『낙동강』이라는 제목을 붙여서 출판 허기까지 맡아 놓고 출판을 곳을 몇 군데 알아 보았으나 출판할 곳을 얻지 못하였다.
 
48
나중에는 그야말로 서푼짜리 원고상 노릇을 톡톡히 하느라고 원고를 들고 다녔다.
 
49
‘푸대접이 다 무엇이냐, 창피가 다 무엇이냐, 그것은 다 몇 해 전 감정이 살았을 때 일이다.
 
50
그런 곳에 날카롭게 쓰던 신경은 벌써 묵은 호박 덩굴의 권수(卷鬚)같이 마르고 꾀어 들어 갔다.’
 
51
하는 생각으로 이 책고(冊庫) 저 책고를 혹은 내가 찾아가기도 하고 혹은 누구를 놓아서 보내기도 하였었다. 그렇다가 한군데 걸려들었다. 서점 주인이라는 대(大)상인에게 이 따위 원고 행상인쯤으로 의례(依例)껏 명령을 아니 들을 수 없는 일이다.
 
52
“원고를 두고 가시오.”
 
53
하면 그저 원고를 맡기고 올 따름이오,
 
54
“언제 오시오.”
 
55
하면 그저 그때 갈 뿐이다. 창피는 둘째다. 원고료만 나오면 그만이다 생각하고 요 다음 또 요 다음 하며 수없이 찾아갔었다. 그러나 그도 실패다. 필경에 퇴박을 당하고 말았다.
 
56
그 다음에는 시골 어느 곳에다 출판하기로 작정이 되었다. 인쇄에 부쳤다는 말을 들은 뒤부터는 원고료 독촉이다. 대금(大金) 50원을 목에 침이 마르도록 기다린 지 7,8개월이다. 이 핑계 저 핑계 인제 독촉할 근력도 없다.
 
57
“인제는 아주 서푼짜리 원고상 폐업이다.”
 
58
라고 선언한다. 선언하면서 또 이 글을 쓴다.
【원문】서푼짜리 원고상(原稿商) 폐업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수필〕
▪ 분류 :
- 통계자료 없음 -
( 신규 )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조명희(趙明熙) [저자]
 
  수필(隨筆)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서푼짜리 원고상(原稿商) 폐업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1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