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영아(嬰兒)는 나다 ◈
카탈로그   본문  
1942.7
채만식
1
嬰兒[영아]는 나다
 
 
2
3월 5일
 
3
감기로 사(社)에 나가지 못했다.
 
 
4
정오경, 아침 열시에 남아를 순산하였다는 기별이 나왔다. 기쁘다거나 반갑다는 생각보다 일종의 마음 어둠을 느꼈다.
 
 
5
밤에『아름다운 새벽』2회분.
 
6
피곤한 것을 무리하면서 오전 세시까지 쓰다. 몸이 지탱치 못할 줄 알면서도 무가내하다. 일곱시부터 세시까지니 범 칠팔 시간이다. 이 칠팔 시간을 겨우 2회분을 쓰느라고 고생을 하는 것이다. 대예술을 낳기 위함이 아니요 한갓 말과 문장을 가다듬는 것뿐이다. 딱한 노릇이다.
 
 
7
3월 6일
 
8
사에 나오는 길, 병원에 들러보니 작일 산후의‘자궁혈종(子宮血腫)’으로 출혈이 심했고, 수술을 했다고 한다. 링게르 주사까지 하고, 위험상태인 모양이다.
 
9
신생아의 생김새는 그리 탐탁한 것이 아니었다.
 
 
10
3월 7일
 
11
산모 경과 여전. 다행히 발열은 없다.
 
12
『반도지광(半島之光)』에의 계속원고 4월호분을 웅초(雄超, 삽화)에게로 직접 넘기다.
 
 
13
3월 8일
 
14
밤 늦도록 집필. 몹시 피로하여 가지고 두시에 자리에 눕다.
 
15
“문(文)은 고(苦)로다!”
 
16
이런 말을 문득 생각.─
 
 
17
〈三千里[삼천리] 1942년 7월호〉
【원문】영아(嬰兒)는 나다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수필〕
▪ 분류 :
- 통계자료 없음 -
( 신규 )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부엉이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영아는 나다 [제목]
 
  채만식(蔡萬植) [저자]
 
  삼천리(三千里) [출처]
 
  1942년 [발표]
 
  수필(隨筆)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영아(嬰兒)는 나다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2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