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도통가(道統歌) ◈
카탈로그   본문  
1748년
권섭(權燮)
이 작품은 권섭이 1748년 78세의 노년에 쓴 총 56구의 도학가사이다. 도학의 맥락을 짚어서 밝힌 작품으로 천지가 개벽된 것에서부터 시작해 공자의 도가 우리나라의 이이李珥를 거쳐 송시열宋時烈에 이르기까지의 계승된 상황과 소회를 읊었다. 조선시대 도학의 발전양상을 노래하면서 이이·송시열 그리고 큰아버지인 권상하의 학풍을 드높이고자 한 작품이다.
1
도통가(道統歌)
 
 
2
兩儀와 一太極이 相乘相隨 여시니
3
뉘라셔 이 造化를 일흠하여 버렸고
4
乾坤이 에 화 子丑의 開闢니
5
聖人이 首出여 萬姓의 君師ㅣ로다
6
三皇의 混沌世界 太古의 熙皞ㅣ러니
 
7
* 兩儀(양의) : 음(陰)과 양(陽). 또는 하늘과 땅.
8
* 一太極(일태극) : 성리학에서 존재와 가치의 근원이 되는 궁극적인 실체.
9
* 相乘相隨(상승상수) : 상승(相乘)은 곱셈을 말하고 상수(相隨)는 서로 따른다는 뜻. 두 수를 곱한 것처럼 서로 의지하여 떨어지지 않음을 말함.
10
* 乾坤(건곤) : 하늘과 땅을 말함. 천지가 처음으로 생김을 말함.
11
* 三皇(삼황) :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세 임금. 대체로 수인씨(燧人氏)·복희씨(伏犧氏)·신농씨(神農氏)를 가리킴.
12
* 混沌世界(혼돈세계) : 천지가 개벽할 때에 사물의 구별이 뚜렷하지 아니한 세계.
13
* 熙皞(희호) : 임금과 신하와 백성이 화락하게 잘 지내는 것.
 
 
14
四五帝 나신 後의 人文이 魏然여
15
舟車衣食으로 萬品이 자시니
16
浩浩如天샤 입으로 形容가
17
唐虞 揖遜이 어이여 그만고
18
夏禹氏 殷王成湯 傳子傳孫 돗던고
19
슬프다 伯夷叔齊 天命을 모르던가
20
文武周公 디난 일이 몃 나 되엿니
21
尼丘山 져 氣運이 大聖을 낼 쟉시면
22
天心이 엇더여 素王이 되시거니
23
天下의 撤還 大道를 펴실넌가
24
絶筆은 어이고 空言을 들이온고
25
弟子 三千中의 七十子 엇던턴고
26
嵬嵬신 四亞聖이 統緖를 니으시니
 
27
* 舟車衣食(주거의식) : 생활필수품 일체를 말함.
28
* 唐虞(당우) : 중국의 도당씨(陶唐氏)와 유우씨(有虞氏)로 요순시대를 함께 이르는 말로 태평시대를 뜻함.
29
* 夏禹氏(하우씨) 殷王成湯(은왕성탕) : 하우씨(夏禹氏)는 중국 하(夏)나라의 우(禹)임금을 이르는 말이고 은왕성탕(殷王成湯)은 은(殷)나라 탕왕(湯王)을 말하는 것으로 모두 중국 고대 태평성대를 이르는 성군임.
30
* 伯夷叔齊(백이숙제) : 은나라 고죽군의 두 아들 은자의 대명사. 성군인 주 무왕이 은 주왕(紂王)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굶어 죽은 일이 있음.
31
* 文武周公(문무주공) : 주나라의 문왕과 무왕. 그리고 무왕의 아들 성왕을 도와 주의 태평성대를 계승했던 주공을 말함.
32
* 尼丘山(이구산) :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 동남에 있는 산으로 공자가 탄생한 곳임.
33
* 素王(소왕) : 왕자는 아니나 왕자의 덕을 갖춘 사람으로 여기서는 孔子를 말함.
34
* 撤還(철환) : 수레를 타고 돌아다님.
35
* 四亞聖(네 아성) : 네 사람의 아성. 아성은 성인 다음가는 큰 현인을 말함. 여기서는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를 말함.
 
 
36
齊梁이 落落니 孟子인들 엇지리
37
周濂溪 二程子ㅣ 紫陽의 傳시니
38
禮樂文物이 즘도 즐시고
39
一心의 天德王道 다름이 이실손가
40
彛倫 經義를 等閑이 議論가
41
蒼莽 이 世上이 叔季世 되어시니
42
五百年 命世才를  어듸 가 어더 올고
43
落落 墜緖를 뉘라서 니어낼고
44
高麗末 我國初의 數三公이 니러나니
45
朱子와 孔子道를 사마다 알거고
46
堂堂한 禮儀邦이 城中의 또 잇가
47
和山의 再拜니 九敎八條ㅣ 어제로닷
48
神功 聖德이야 라나 볼 거이고
49
濟濟한 五君子는 병이 잇고 업고
50
慘憺한 百六運이 善人은 무슨 厄고
 
51
* 齊(제) 梁(양) : 제와 양은 중국 남북조(南北朝) 시대 남조의 대표적인 두 나라로 맹자가 전국시대 때 두 나라를 다니며 유학을 설파하였던 일을 뜻함.
52
* 周濂溪(주염계) : 송(宋)대의 학자이자 성리학의 시조인 주돈이(周惇頤)를 말함. 염계는 그의 호.
53
* 二程子(두정자) : 북송 때의 성리학자인 정명도(程明道)와 정이천(程伊川) 형제를 말함.
54
* 紫陽(자양) : 송나라 때 주자가 세운 서원이 있던 곳.
55
* 禮樂文物(예악문물) : 예악과 문물. 성리학에서는 예악의 예는 사회의 질서를 바로 잡고, 악은 인심을 화락하게 한다고 해서 중요하게 여겼음.
56
* 天德王道(천덕왕도) : 공자는 천도(天道)를 주장했고, 맹자는 왕도(王道)를 주장한 것을 말함.
57
* 彛倫(이륜) 經義(경의) : 이륜은 사람으로 떳떳이 지켜야 할 도리인 人倫을 말하고 경의는 경전의 뜻을 말함.
58
* 九敎八條(구교팔조) : 기자가 구교와 팔조로 백성을 교화한 것을 말함.
59
* 百六運(백륙운) : 재액을 당할 운수.
 
 
60
西南의 兩大賢이 一代예 니어시니
61
하이 이 斯文를 아니돕다 못노다
62
所以發 燭照物在 一言이 고 아
63
新奇한 이 큰 功이 師友間의 發揮니
64
太極極面 날生字를 뉘라서 是非리
65
聖學輯要 一部書는 一生의 精力이라
66
名目도 奇特하고 次序도 됴흘시고
67
그 희 늙은 先生 私淑여 나닷 말가
68
一百卷 지은 글이 篇篇이 朱子ㅣ로다
69
罔極 大禍根이 門屛이 니러날샤
70
天地間 一直者를 後學의 맛지거다
71
華陽 萬東廟를  바다 지으시니
72
萬古 綱常이 떠러질 적 이실손가
73
遺風이 漸漸 멀고 時俗이 次次 지니
74
一脈 吾道 어가 부쳐실고
 
75
* 兩大賢 : 서쪽에 퇴계 이이가 있고, 남쪽에는 이황이 살았다는 사실로 서남의 대현이라고 한 것임.
76
* 所以發(소이발) :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뜻함.
77
* 聖學輯要(성학집요) : 이이의 저서로 1575년(선조 8) 제왕의 학문 내용을 정리해 바친 책.
78
* 늙은 先生 : 송시열(宋時烈)을 말함. 송시열이 이이의 학통을 이은 것을 뜻함.
79
* 私淑(사숙) :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서 도나 학문을 닦음.
80
* 罔極(망극)한 大禍根(대화근) : 숙종 때(1689년) 왕세자 책봉문제로 송시열이 제주도로 유배를 가고 사약을 받게 된 일을 말함.
81
* 門屛(문병) : 대문이나 중문 안에 가로 막은 담으로 여기서는 송시열 일문을 말함.
82
* 天地間(천지간) 一直者(일직자) : 주자의 정신을 이어받은 송시열이 제자 권상하에게 전수한 “직자결”의 가르침에서 온 말임.
83
* 華陽(화양) 萬東廟(만동묘) : 송시열이 권상하에게 유언하여 세워진 사당으로 1717년에 명나라 신종(神宗)을 위한 사당. 충북 청천면 화양동에 있음.
84
* 綱常(강상) : 사람이 행해야 할 도덕으로 삼강과 오상.
 
 
85
床頭의 나아 안쟈  일이 젼혀 업서
86
詩書 庸學書와 孔孟의 七篇書의
87
心經 近思錄과 羲文의 大易書와
88
麟經의 大一統과 綱目의 尊攘義를
89
反復하여 뒤져기고 鼓扇여 닑은 말이
90
煙雲이 漠漠고 日月이 蒼蒼니
91
戱歔 歎息고 一笻을 빅여셔셔
92
千萬疊 綠水靑山 短長歌를 노라.
 
93
* 羲文(희문) : 주역의 8괘를 만든 복희씨와 후대에 주역의 괘사와 팔괘도 등을 만들어 주역을 다듬은 주 문왕을 말함.
94
* 麟經(인경)의 大一統(대일통) : 인경은 공자가 쓴 역사서 《춘추(春秋)》의 별칭이며 대일통은 일통(一統)을 중히 여긴다는 의미로 《춘추(春秋)》에서 나온 말.
95
* 綱目(강목)의 尊攘(존양) : 강목은 주희가 편찬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별칭이며 존양은 왕실을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존왕양이(尊王攘夷)를 말함.
【원문】도통가(道統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2
- 전체 순위 : 7219 위 (5 등급)
- 분류 순위 : 267 위 / 267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도통가 [제목]
 
  권섭(權燮) [저자]
 
  # 옥소고 [출처]
 
  1748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도통가(道統歌)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8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