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현대 영화의 감각 ◈
카탈로그   본문  
1956.1.27
박인환
1
현대 영화의 감각
 
2
- 착잡한 사고와 심리 묘사를 중심으로
 
 
3
영화는 보는 사람의 생각에 따라 그 작품이 지니고 있는 감각은 여러 가지로 변하는 것이지만 본질적인 그 영화의 ‘센스’를 알지 못하고 자기의 주관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편견일 따름이다. 현대에 와서 영화의 역사 50년에 있어 최근 10년간의 영화의 발달은 과학 및 기술의 진전을 제외하고서라도 그 감각의 발전은 놀랄 만한 것이었다.
 
4
종합적인 예술로서의 영화의 사명은 다른 장르의 예술이 그러한 것과 같이 그 시대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현실적인 제(諸) 요소인 감각성을 지니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가까운 예로서는 지난번 재상영된 줄리앙 뒤비비에의 「무도회의 수첩」을 다시 한 번 볼 때 15~16년의 세월이 걸린 이 작품이 지금 우리에게 준 매력은 단지 옴니버스의 구성이나 왕년의 명우(名優)들이 앙리 장송과 몇 사람의 훌륭한 대사를 외우는 것뿐이며 그 감각성은 현재의 우리와는 참으로 먼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작품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즉 15~16년 전의 이 영화는 감각성에 있어 가장 첨단을 가는 것이었고 그때의 강렬한 인상은 아직도 우리에게 남아 있다. 막상 영화를 다시 대하고 나니 그때와 같은 감명은 사라지고 말았다.
 
5
2차 대전 이후 외국 영화계에는 몇 사람의 놀랄 만한 현대적 감각을 지닌 영화 작가들이 나타났다. 대전 전부터 저명했던 르네 끄레르, 줄리앙 뒤비비에, 에른스트 루비치, 스탐바그와 같은 작가들은 죽지 않았으면 대체적으로 작품 활동을 하지 못한 데 비하여 카롤 리드, 르네 클레망, H. G. 클루조, 이브 아레그레, 장 콕토, 이태리의 데 시카, 로셀리니, 아메리카의 존 휴스턴, 에리아 카잔 등(물론 이외에도 많으나) 가장 현대적 감각의 작품을 발표했었다.
 
6
그럼 영화에 있어서 현대적 감각이란 무엇이냐? 몇 마디로 말할 수 있다면 먼저 그것은 현대의 인간이 지니고 있는 착잡한 사고나 심리의 표현이고 불안과 공포의 허덕이는 사회와 그 심상 풍경을 영화가 어떻게 묘사하느냐 하는 데 있는 것이다.
 
7
「제3의 사나이」에 있어서 카롤 리드는 황폐한 전재(戰災)의 고도(古都) 빈을 배경으로 그곳에서 전개되는 정치적 갈등과 인간의 교착(交錯)한 단면을 제대로 묘출(描出)시키고 있으며 또한 영화 기술로서 시퀀스 속에 있는 경면(景面)들을 형성하는 소리등을 정확하게 나타나게 하여 놀랄 만치 치밀한 감각으로 이 작품을 만들었다. 더욱이 작품은 전후적(戰後的)인 사회와 인간의 심리를 압축시켰으며 영화의 기법에 있어서도 지금까지의 어떠한 영화보다도 가장 훌륭한 예술성을 가진 것이다.
 
8
다시 말하자면 영화의 감각을 즉 예술적인 가치로서의 현대성이며 그 예술성이 과연 현대의 제 요소를 어떻게 함축시키고 있느냐가 논의될 따름이다. 이러한 것과는 달리 장 콕토의 「오르페」도 현대 영화의 하나의 감각성을 말하는 것이다.
 
9
천국에서 들려오는 숫자의 방송(放送) 유리 속으로 사라져 버리면 천국으로 가고 또한 사자(死者)가 다시 소생된다는 것과 같은 몹시 비현실적이나 이것은 작가의 의도를 우리가 ‘센스’로 이해하여야만 된다. 이러한 때 필요한 것은 관객의 작품을 보는 감각성이며 영화뿐만이 아니라 현대의 시나 회화에 있어서도 동일한 일이다.
 
10
살바도르 달리의 쉬르리얼리즘 회화나 피카소의 제 작품을 결코 우리가 설명하지 못하는 것처럼 콕토의 영화를 또한 그의 감각을 우리는 설명할 수가 없으며 단지 마음으로 또한 각자의 이성으로 어떻게 느끼고 받아들이느냐는데 있는 것이다.
 
11
존 휴스턴의 처녀작 「말타의 매」와 「아프리카의 여왕」은 현대인의 하드보일드한 심정과 템포를 알려주고 있다.
 
12
현대의 문명은 속도의 문화라고 누가 말한 것처럼 휴스턴은 비정한 인간의 마음을 영화의 속도 속에서 계산하고 있으며 신의 전개가 참으로 빠른 템포로써 이어 나가고 있다.
 
13
H. G. 클루조의 절박한 막다른 길에 이르는 인간의 심리 묘사, 로셀리니의 리얼리즘적인 강인성, 맨키위츠의 현대 사회 생활에 대한 풍자, 에리아 카잔의 강력한 터치에 의한 연출 기법등 현대 영화의 감각은 결국 이러한데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14
또한 영화는 아메리카 영화에서 본다면 그 국민의 생활 양식이나 기계 문명을 표현할 때가 많은데 이것도 역시 하나의 현대적 감각이라고 우리는 볼 수 있으나 역시 여기서 요청되는 것은 그 속에 사는 인간이나 사회의 움직임이 현대성을 더욱 지녔을 때 그것은 영화로서 성공할 수 있는 것이다. 현대 영화의 감각을 말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영화를 보는 눈, 다시 말하자면 스스로의 감각성을 가져야 되며 이것만이 그 영화의 감각의 세계를 분동(分棟)할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다.
 
 
15
-『국제신보』, 1956. 1. 27.
【원문】현대 영화의 감각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평론〕
▪ 분류 :
- 통계자료 없음 -
( 신규 )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현대 영화의 감각 [제목]
 
  박인환(朴寅煥) [저자]
 
  # 국제신보 [출처]
 
  1956년 [발표]
 
  평론(評論) [분류]
 
  # 영화평론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현대 영화의 감각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8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