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영화이론과 비평의 근본적 의의 ◈
카탈로그   본문  
1931.1
윤기정
목   차
[숨기기]
1
영화이론과 비평의 근본적 의의
 
2
― 영화영역의 악영행 극복
 
 
 

1

 
 
4
예술운동의 ××××× 즉「----- 예술의 확립」은 우리들이 당면한 가장 중대한 중심적 과제이다.
 
5
1930년은 이상에 지적한 중심적 과제를 제기한 점으로 보아 예술운동사상에 특기할 도약적 계기를 지은 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제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실천에 있지 않으면 안 된다.
 
6
그러므로 1931년을 당한 우리들은 역량을 집중하고 가능성을 이용하여 의식적으로 예술운동을 통제 있게 일보 전진시킬 것이다!
 
 
 

2

 
 
8
예술운동에 있어서 다른 부문도 그러하지마는 영화부문에 있어서는 더구나 작품제작이 없이는 영화운동의 전(全)의의가 없어지는 것이다.
 
9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1930년의 과거 1년간에 영화영역에 있어서 영화작품 제작보다도 영화이론이나 영화비판 등을 일부에서는 전적으로 유일한 운동인 것 같이 해석하고 그 결과 작품제작의 문제가 오히려 부차화하게 되는 최악 경향을 나타낸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중대한 오류가 어디서 발생하였는가 하면 그 이유로 세 가지를 들 수 있으니
 
10
1. 객관적 정세의 불리와 경제적 조선의 불비, 또한 정당한 계급적 영화인의 조직이 말할 수 없이 빈약하였기 때문에 우리가 요구하는 영화작품은 제작하기 불가능하였다는 것.
 
11
2. 저널리즘을 이용해서 최고의 개인주의적 공명심과 이기심을 충족시키려는 〇〇〇영화이론가와 소위 계급 영화인 등인 소 부르주아군의 무질서적 언행으로 통제착란에까지 이른 것.
 
12
3. 영화운동의 점차적 제이의적 역할을 감행할 수 있는 영화이론과 기성영화에 대한 영화비판이 무조직적 무계획적 무통제적으로 발표되었던 것.
 
13
이상에 지적한 세 가지 조건이 영화운동사상에 〇〇수 없는 오점을 남긴 불순한 경향이 원인을 가지고 오게 된 것이다.그러나 이것을 극복함으로서만이 부분적으로 영화운동의 일보를 전진할 수 있는 것이다.
 
 
 

3

 
15
 
16
과거 일년 간에 악영향과 불순한 경향을 극복함에는 영화이론의 본질과 영화비평의 근본적 의의를 원칙적으로 구명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17
그러므로 영화이론과 비평 등이 영화운동 상 여하한 역할을 하는가를 간단히 구명하겠다.
 
 
18
1) 영화이론
 
19
한 개의 영화이론은 직접 제작 사업에 도움이 있지 않고는 이론적 의의와 가치가 전혀 없는 것이다. 영화이론의 영향은 작품제작의 정당한 코스를 결정하는 것이니 내용과 형식 다시 말하면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에 입각한 백 퍼센트의 정당한 스토리와 최가능의 기술 ××적으로 표현하는 데 있지 않으면 안 된다.
 
20
우리의 영화이론은 제작사업 이외에 새로운 기술자 조직과 ××획득등인 ---사업의 공작이며 그 실천적 기초공사가 될 수 있다. 또한 문예작품에 있어서도 침투의 방법으로 ×××을 문제는 것과 같이 영화에 있어서도 반드시 상영이 문제됨으로 조선과 같이 객관적 조건이 불리한 곳에서 영사망을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그러므로 여기에 관한 이론전개가 필요하다.
 
21
이와 같이 직접 실천적 이론이 아니고는 영화운동에 있어서 제이의(第二義)이요 부차적인 역할도 도저히 감행할 수 없다.
 
 
22
2) 영화비평
 
23
신흥영화가 제작상영하지 못하는 한에서는 영화비평가는 하는 수없이 기성 영화내용의 폭로, 비판, 묵살 등을 감행하게 된다. 영화에 있어서 영화비평가의 대상은 유감이나 기성영화였던 것은 숨길 수 없는 사실이다. 신흥영화 비평가의 제일보를 시작하였던 것은 초기에 있어서 필연적 과정이다. 그러나 우리들의 과제는 신흥영화제작과 그 발전을 위하여 전 노력을 집중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부르주아 비판으로부터 우리들의 전진을 위한 자기비판의 방향으로 전화되어야한다. 여기서 비로소 우리 영화비평가의 본무대가 전개되는 것이니 신흥영화비판의 근본적 역할은 생산되는 작품, 직접 제작사업에 위조되는 동시에 기성영화에 대한 예리한 비판의 ××가 되어야 한다. 영화비평을 그 이상 평가하다는 것은 소시민적 심리에서 나오는 무모한 자기도취 환상적 과중평가이다.
 
 
 

4

 
 
25
원칙적 이 무엇인지 ×× 통제가 무엇인지 운동의 본질이 무엇인지 전혀 알지 못하는 무지한 - 입으로는(××)을 운운하고 문필로는 최좌익적 언사를 〇분하는 소위 계급적 영화이론가? 서광제군류(類)(서군의 ××× 행동은 다른 지면을 빌어 철저히 비판하겠다)의 행동은 이론이나 비평 같은 것은 영화운동 전체인 것 같이 생각하고 우리들 〇〇〇〇〇〇〇〇〇고까지 노력하였다. 신문이나 잡지에 기재(幾個)의 영화이론과 영화비평이 게재되었다고 신흥영화운동이 상당히 성장하고 또한 비약적 발전을 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절대로 인식부족이 아니면 소부르주아적 환상이다. 그리고 영화이론이나 영화비평을 과대평가함으로써 소시민적 심리의 발로인 공명심과 명예욕을 만족시키려함이다.
 
26
영화운동에 있어서 부차적이요 제이의적인 영화이론이나 영화비평은 기성영화에 대한 부단(不斷)의 엄혹한 비판의 무기인 동시에 앞으로는 일층 우리들의 영화제작 사업의 원조를 위하여 노력하는 역할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27
『조선지광』, 1931년 1월
【원문】영화이론과 비평의 근본적 의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평론〕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2
- 전체 순위 : 7159 위 (5 등급)
- 분류 순위 : 1687 위 / 1791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윤기정(尹基鼎) [저자]
 
  # 조선지광 [출처]
 
  1931년 [발표]
 
  평론(評論) [분류]
 
  # 영화평론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영화이론과 비평의 근본적 의의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10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