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장사(壯士) 이기축(李起築) 부인(夫人) 정씨(鄭氏)
3
비단결 같은 금강(錦江)이 구비 구비 감돌아 흘르고 수려한 봉황산(鳳凰山)이 병풍같이 둘러쌓은 충남의 명도 공주(忠南 名都 公州)에는 지금으로부터 약 三百二十여년 전(宣朝末年頃)에 일개 여장부가 고고(呱呱)의 소래를 치고 탄생하였으니 그는 그곳 리방 부호(吏房 富豪)로 유명한 정모(鄭某)의 귀동딸이였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비범하야 문필이 능난하고 지감(知鑑)이 있는 데 겸하야 인물이 또한 어여뿌니 부모가 특별이 애지중지(愛之重之)할 뿐 아니라 일읍 사람이 모도 그를 칭찬하야 방년이 이팔에 이르매 마치 꽃향기를 맡은 벌떼 모양으로 이곳 저곳서 청혼이 빗발치듯 들어 왔었다. 그 청혼을 하는 이 중에는 자기네와 지벌이 깔고 돈이 많은 아전의 아들도 있고 가품 좋고 인물 구수한 촌양반의 아들도 있으며 심지어 군수 관찰의 아들이 양첩 혹은 후취로 장개 가겠다는 청까지 있었다. 자기의 부모는 속으로 기뻐하면서 어떠한 곳이던지 그중에 제일 좋은 곳을 선택하야 출가시키랴고 하였었다. 그러나 그 여자는 무슨 까닭인지 청혼이 들면 드는 쪽쪽 모도 퇴각하여 바리였다. 어떠한 양반이고 부호이고 미남자고 청혼이 들면 전부 거절을 하고 자기 부모에게 말하기를 나는 언제던지 내 눈에 들고 내 마음에 맞는 사람이 아니면 비록 청춘홍안(靑春紅顔)이 반백발이 될지라도 결코 시집을 가지 않는다구 맹서하니 부모도 또한 어찌하지 못하고 다만 그의 동정만 살필 뿐이였다.
4
어떤 해 가을이였다. 추수가 한참 림박한 때에 그 리방의 집에 두었든 머슴사리가 어대로 뛰여 나가고 새로 머슴을 한 사람 구하게 되었다. 하루는 어떤 떡거머리 총각이 그 집을 찾어 와서 머슴 살기를 청하는데 키가 구척 장승 같고 얼굴은 껌어투루룩한 것이 마치 숫가마에서 새로 나온 숫장수의 얼굴 같고 몸집은 크기가 깍지뎅이 같했다. 그 집 주인들은 그를 한 번 보고는 경풍을 하다싶이 깜작 놀낼 지경이나 그의 신체가 그와 같이 장대하니 물론 힘이 세이고 일도 잘 하리라 하야 집에 두고 일을 시키게 되였다. 그는 모양이 그와 같이 장대하게 생기니만치 힘이 또한 천하장사이여서 쌍수산성(雙樹山城) 같은 곳으로 나무를 하러 가면 남처럼 낫이나 독기를 가지고 가지 않고 그냥 맨손으로 가서 큰 나무를 무 배추 뽑듯이 쑥쑥 뽑아서 질머지고 오니 일읍 사람들이 모두 하품을 하고 놀랬섰다. 그러나 위인이 침묵하고 우직(愚直)한 까닭에 종일 가도 누구와 실없은 말 한 마듸를 아니하고 남이 시키면 시키는 그대로 일만 할 뿐이요 자기의 근본도 래력도 성명도 도모지 알지를 못하고 다만 기축년(己丑年)에 낳은 까닭에 이름을 기축이라고 할 뿐이였다. 그리 하야 남들이 별명 짓기를 바보 장사니 바보 기축이나 하고 조롱하며 그 집 주인과 심지어 하인들까지라도 그를 일 잘 한다구 칭찬할지언정 사람으로는 아조 할 수 없는 하우부리 바보로 알었었다. 그러나 그 집 주인의 딸은 그를 속으로 특별이 사랑하고 특별이 흠모하야 무슨 음식이던지 만난 것이 있으면 잘 걷어 먹이고 의복 같은 것이라도 해지면 다른 옷을 바꾸어 주었었다. 그러나 누가 보든지 그 처녀가 그를 사람으로 불상이 여기여서 그리 하지 그를 남달리 사랑해서 그리 하리라고는 뜻이나 하였으랴. 그러나 천만뜻밖에도 그 처녀는 기축이를 벌서 자기의 남편 될 사람으로 인정하고 상당한 시기에 정식의 결혼식을 하랴고 결심까지 다 하였었다.
5
(물론 기축과 다른 비밀 관계가 생긴 것은 아니다) 그의 부모는 그러한 사정도 모르고 하루는 어떠한 집과 약혼을 하려고 그 처녀에게 다시 의사를 물었었다. 얼마 전까지라도 자기와 맛는 사람이 아니면 결혼치 안는다든 그 처녀는 아주 대담하게도 부모에게 말하되 저는 벌서 남편 될 사람을 선택하여 놓았으니까 다만 결혼식 할 것이 문제이지 다른 곳과 약혼은 문제도 삼을 것이 없다고 하였다. 그의 부모는 깜작 놀라며 네가 미친년이란 말이냐 남편을 정하다니 부모도 모르게 무슨 남편을 정한단 말이냐 정하였다면 또 어떤 놈이란 말이냐 하니 처녀는 천연한 안색으로 대답하되
6
『대단 죄송하온 말씀이외다. 소녀의 남편 될 사람은 다른 사람 아니라 집에 머슴 노릇하는 기축이올시다 남이야 흉을 보든 새든 저는 그 사람과 결혼을 못 하게 된다면 차라리 약을 먹고 죽거나 그렇지 않으면 금강(錦江)에 가서 빠저 죽겠읍니다』
7
하였다. 그의 부모는 하도 어이가 없어서 아모 말도 못하고 있다가 다시 별의 별 말을 다 하였으나 이미 죽기까지 결심한 그 처녀는 절대로 부모의 말을 듣지 않었었다. 일이 이와 같이 되고 보니 부모도 또한 그를 죽일 수도 없고 하야서 다만 집안의 운을 한탄하며 결혼을 하게 하였다.
8
그러나 집안 사람과 일반 사람 소시에 하도 창피하니까 그의 부모는 그들 부부를 집에 두기가 창피하야 약간의 돈냥을 변통하야 주고 먼 지방으로 가서 죽던지 살던지 혼자들 가서 살고 다시는 부모 앞에 뵈지도 말나 하니 기축의 부부는 할 수 없이 그 집을 떠나 북으로 북으로 유리하야 온다는 것이 서울의 새문 밖 평동(平洞)이였다. 그는 월래 지감이 있어서 자기의 손으로 그 일을 만든 것이기 때문에 족음도 부모나 누구를 원망치 않고 도로혀 장래에 돌아올 행복을 기뻐하며 술장사 영업을 하게 되였다. 그들은 마치 옛날에 사마상여(司馬相如)와 탁문군(卓文君) 모양으로 부인은 친히 술을 붓고 기축은 전후 심브름을 하였었다. 남이 보면 기축은 역시한 술집 더부사리 같이 보였다. 그러나 그 부인은 조금도 그를 업수이 역이지 않고 공경하며 부지런이 영업을 하니 불과 일 년 동안에 미천도 상당이 몹게 되였었다.
9
그때에 광해조(光海朝)라는 임금이 여러 가지의 악정(惡政)을 하야 심지어 그의 모후(母后) 되는 인목대비 김씨(仁穆大妃 金氏 宣祖王妃)를 서궁에 가두고 자기의 아우 여러 형제를 또한 무참하게 죽이며 정부 대관(政府大官)은 모도 대북(大北) 일파가 차지를 하야 서인(西人)들은 꿈적도 못하게 되니 서인 중에 김류(金瑬), 최명길(崔鳴吉), 리귀(李貴), 장유(張維), 신경진(申景禛) 등의 여러 불평객들은 광해군을 드러내고 인조대왕(仁祖大王)을 새로 드러 세워 서인의 세력을 다시 회복하려고 혹은 강정(江亭)으로 혹은 절간으로 혹은 산속으로 모혀 다니며 음모를 하였는데 그때 서울에서 제일 수석(水石)이 좋고 제일 으슥한 곳은 창의문 밖이기 때문에 그들은 매일 노리 하러 가는 척하고 그곳으로 모히게 되였다.
10
하루는 우에 말한 여러 사람이 시회(詩會)를 하는 척하고 홍제원(弘濟院) 솔밭으로 모히게 되였다. 그때에 이기축의 부인은 발서부터 여러 사람들이 반정의 음모를 하는 것을 짐작하고 항상 그들의 동정을 살피더니 이 날은 그 부인이 술안주와 좋은 술이며 떡에 밥에 가진 음식을 특별히 작만하야 기축에게 한짐을 잔득 지워 주고 또 통감사권(通鑑 第四卷)을 주되 그 기중 한곽광(漢霍光)이 창읍왕(昌邑王)을 폐한 구절을 표하야 주며 부탁하되
11
『이 음식을 곱게 질머지고 저기 저기 무학자 고개를 넘어서 홍제원으로 가면 그 뒷 솔밭에 어떤에 선비들이 칠팔인 모혀서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을 터이니 아모 말도 하지 말고 그냥 말하기를 저는 촌사람으로 이 글을 배우고저 하야 약간의 음식을 차려 가지고 왔다 하고 그들에게 음식을 권하야 먹이며 그 책을 펴서 표한 곳을 무르되 만일 누가 보냈느냐 하거던 우리 집에서 내가 보냈다 하고 돌아올 때에 그들과 가치 우리 집으로 오라』
13
기축은 원래 우직한 사람인 까닭에 자기의 부인이 앉으라면 앉고 누으라면 누어서 일동일정을 꼭 그 부인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라 그날에도 그 부인이 시키는 대로 그곳을 차저 가서 아모 말도 없이 부인 부탁하든 그대로 말을 하니 여러 사람들이 대경대괴(大警大怪)하야 아모 말도 못하고 그 음식을 그대로 잘 먹은 다음에 서로 수군수군하며 말하기를 대체 그 여자는 귀신이 아니면 이인(異人)인즉 우리가 반듯이 차저 가서 보는 것이 옳다 하고 그 길노 기축을 따라 그 집으로 갔었다.
15
기축의 부인은 그들을 흔연이 마저 들여 종용한 방에 앉치고 말하되
16
『제가 비록 아는 것은 없아오나 여러분의 큰 뜻을 짐작한지 오래였읍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모힐 곳이 없어서 산곡이나 절간으로 각금 가시오니 그러다가 남에게 발각이 되어 대사가 랑패가 될 것 같으면 어찌 하겠읍니까 집이 비록 루추하오나 조용하고 술맛도 또한 좋으니 무슨 모힘이 게시면 안심하시고 저의 집으로 오십시요. 저의 남편 기축은 비록 못생겼으나 사람이 우직하고 힘이 천하장사라 여러분이 시키시면 무엇이던지 몸을 애끼지 않고 잘 할 터이오니 믿고 잘 써주시며 장래 대사를 이룬 뒤에 잊지나 마옵소서』
17
하였다. 여러 사람들은 그 부인의 지감이 탁월한 것과 기축의 힘 세인 것을 크게 감복하고 기뻐하야 그 후부터는 매사를 의논할 때이면 반듯이 그 집으로 모히게 되고 반정(反正)에 대한 여러 가지 계획도 그의 가라침이 많었다. 그중에 리서(李曙)라는 사람은 기축을 특별이 친애하야 형제같이 지내니 인조(仁祖)가 어명(御命)으로 리서의 종제로 삼고 성(姓)을 리가라 하며 기축(己丑)을 기축(起築)으로 곳치였다.
18
기축(이후부터 기축(己丑)은 기축(起築)으로 씀)은 원래 힘이 장사인 까닭에 장단부사 이서(長湍府使 李曙)의 부하에 있어서 여러 반정 공신과 통신을 하는데 장단에서 매일 서울을 왕래하야 일년 내에 말 허리를 세 필식 꺾었섰다. 그 뒤 반정할 때에는 리서군(李曙軍)의 선봉장이 되여 연서역(延曙驛)에 이르니 인조가 크게 기뻐하야 친히 어포(御袍)를 버서서 입히였다.
19
그때에 창의문(彰義門)을 독기로 패서 깨트린 사람은 세상에서 흔이 원두표(元斗杓)라 하지만은 사실은 이기축이 앞잡으로 서서 깨트린 것이다. 반정 뒤에 그는 정사 삼등공신(靖社 三等功臣)의 훈을 타고 완계군(完溪君)으로 봉작(封爵) 되였으며 그 부인은 또 정경부인(貞敬夫人)이 되니 전날에 그를 천히 여기고 박대하든 그의 부모 친척들이 모도 기뻐하야 비로소 그 부인의 지감을 탄복하였었다.
20
그 뒤 병자년에 기축은 인조를 모시고 남한산성(南漢山城)에 가서 호병(胡兵)과 싸우매 많은 적군을 죽이고 세자(世子)가 심양(瀋陽)에 벌메로 잡혀가는 치욕을 당할 때에는 팔장사의 한 사람으로 세자를 보호하고 심양까지 갔다가 병이 나서 먼저 돌아와 죽었는데 시호(諡號)를 양의(襄毅)라 하였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