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 신미록(辛未錄) ◈
카탈로그   본문  
1861년(철종 12)
미상
1
신미록(辛未錄)
 
2
대쳥(大淸) 가경(嘉慶) 십뉵(十六) 년(年)은 곳 아됴(我朝) 셩샹(聖上) 십일(十一) 년(年)이라 이  평안도(平安道)ː쳥븍(淸北)이 누년(屢年) 겸셰 만나 쇼민(小民)이 업(生業)을 일우디 못디라 황예우민(荒穢愚民)이 셩명(聖明)신 덕(德澤)을 아디 못고 외람(猥濫)이 텬위(天威) 거리니 엇디 차(嗟)홉디 아니리오 이  뇽강(龍岡) 홍경(洪景來)와 가산(嘉山) 니희졔(李禧著)와 곽산(郭山) 우군측(禹君則)이 서로 모의(謀議) 가산(嘉山)ː다븍동(多福洞)은 슈목(樹木)이 무셩(茂盛)고 동학(洞壑)이 깁고 널너 가(可)히 쳔만(千萬) 인(人)을 용납(容納)디라 날마다 무뢰지(無賴之輩) 뫼호기 일삼고 패역(悖逆) 말노 소일(消日)더니 일일(一日)은 희졔(禧著) 군측(君則)려 왈(曰)
 
3
"우리 대(大事) 도모(圖謀)연 디 오래더니 이제 쳥북(淸北)이 년(災年)을 당(當)야 인심(人心)이 대변(大變)니 이  타 션(先生)은 묘계(妙計) 각라"
 
4
군측(君則) 왈(曰)
 
5
"이제 셩(百姓)이 긔갈(飢渴)을 견디 못야 망명(亡命) 쟤(者) 만흐니 심복지인(心腹之人)을 여 말을 뎐파(傳播)되 은뎜(銀店)을 셜(排設)야 역가(役價) 후(厚)히 준다 야 사을 뫼흔 후(後)의 일변(一邊) 긔계(奇計) 초와 몬져 박쳔(博川)ː진두(津頭)의 나아가 일을 도모(圖謀)미 엇더뇨"
 
6
희졔(禧著) 대희(大喜)야 즉시(卽時) 말 잘 사을 여 가산(嘉山) 박쳔(博川) 등디(等地)의 보내엿더니 수일(數日)이 못야 누(屢百) 명(名)이라 다 니러 본즉 은뎜(銀店)은 아니오 난(亂)을 짓 줄 아되 임의 무뢰지(無賴之輩)오 적괴(賊魁) 등(等)이 간사(奸邪) 말노 만단(萬端) 유셰(誘說)고 일변(一邊)으로 병긔(兵器) 화주며 군복(軍服)을 마련 머리예 호피(虎皮)로 말이 모양(模樣) 티 라 홍셩젼(紅星氊)으로 우흘 두고 쳥화포(靑華袍)로 각각(各各) 등거리  벌식 야 닙히니 그 모양(模樣)이 호병(胡兵) 더라 이 날군측(君則) 등(等)이 술을 쥰비(凖備)고 우양(牛羊)을 잡아 군(軍士) 호궤(犒饋)고 군측(君則)이 스로 모(謀士) 되야 호(號) 우션(禹先生)이라 며 홍경(洪景來)로 대원슈(大元帥) 삼고 곽산(郭山) 김룡(金士用)으로 부원슈(副元帥) 삼고 진(進士) 김챵시(金昌始)로 모(謀士) 삼고 홍총각(洪總角)은 좌션봉(左先鋒)이 되고 개쳔(价川) 니졔초(李濟初) 후군쟝(後軍長)이 되여 각각(各各) 됴발(早發) 군측(君則)은 뉸건(輪巾)을 고 학챵의(鶴氅衣) 닙고 우션(羽扇)을 드러시며 경(景來) 금(白金) 투고의 홍금갑(紅金甲)을 닙으며 댱창(長槍)을 들고 슈긔(手旗)예 시되 평셔대원슈(平西大元帥) 명이라 고 졔쟝(諸將)을 지휘(指揮) 김룡(金士用) 니졔초(李濟初)로 일지병(一支兵)을 거려 곽산(郭山) 박쳔(博川) 텰산(鐵山) 션쳔(宣川) 네 고을을 티라 고 경(景來) 졔쟝(諸將)을 거려 일지병(一支兵)을 모라 밤의 가산(嘉山)을 (取) 이  신미(辛未) 납월(臘月) 념간(念間)이라
 
7
몬져 가산(嘉山) 좌슈(座首) 윤원셥(尹元燮)의게 통(通)야 응(內應)을 삼고 이 날 밤 삼경(三更)의 효셩녕(曉星嶺) 뒷길로 군(軍士) 모라 가산(嘉山)의 니니 월(月色)이 희미(稀微)고 경졈(更點)이 깁헛디라 경(景來) 등(等)이 동헌(東軒)의 니러 대호(大呼) 왈(曰)
 
8
"군슈(郡守) 니 항복(降服)야 의병(義兵)을 마즈라 블연즉(不然則) 네 머리 버히리라"
 
9
군슈(郡守) 뎡시 야흐로 이 깁헛다가  가온대 놀나 야 급히 창(窓)을 여니 화광(火光)이 튱텬(衝天) 가온대 홍갑(紅甲) 닙은 놈이 댱창(長槍)을 들고 수(數百) 군(軍)을 거려 둘넛 면(四面)의셔 항복(降服)라 웨 소 진동(震動)니 군(郡守) 심(內心)의 혜오 리 몸이 죽어 우흐로 나라흘 갑고 아래로 신(臣子)의 졀(節)을 온젼(穩全)히 리라 고 인(因)야 적쟝(賊將)을 크게 지저 왈(曰)
 
10
"엇던 패악(悖惡) 도적(盜賊)이 감(敢)히 이리 챵궐(猖獗)다"
 
11
적쟝(賊將) 왈(曰)
 
12
"우리 등(等)이 텬시(天時) 조차 의병(義兵)을 니혓니 잔명(殘命)을 앗기거든 니 항복(降服)라"
 
13
군(郡守) 대로대즐(大怒大叱) 왈(曰)
 
14
"국운(國運)이 블(不幸)야 너희 등(等)이 비록 챵궐(猖獗)나 엇디 도적(盜賊)의게 무룹흘 러 살기 도모(圖謀)리오 너희 다만 죽일 이라"
 
15
경(景來) 대로(大怒)야 창(槍)을 들고 라드러 인신병부(印信兵符) 아스려 거 군(郡守) 좌슈(左手)의 병부(兵符) 쥐고 우슈(右手)의 인신(印信)을 잡아 짓기 마디 아니대 경(景來) 창(槍)을 드러 디니 군(郡守)  것구러디거 그 머리 버히니 군슈(郡守)의 아이 실(冊室)에 잇다가 드레 소의 놀나 나을《올》 즈음에 적쟝(賊將)이   칼로 머리 버히니 두 신톄(身體) 당샹(堂上)의 구러저 류혈(流血)이 낭쟈(狼藉)디라 이  군슈(郡守)의 아이 이 깁헛다가 요란(擾亂) 소의 놀나 야 급(急)히 나오더니 도적(盜賊)이  창(槍)으로 디니 당하(堂下)의 것구러져 듕(重)히 샹(傷)여시나 오히려 죽기 면(免)디라 이  본군(本郡)에  관비(官婢) 이시니 일홈은 운낭(雲娘)이라 가무(歌舞)와 (姿色)이 츌즁(出衆) 고(故)로 군(郡守) 도임(到任) 후(後)에 갓가이 두어 듀야(晝夜) 나디 아니더니 이 날 밤의 동헌(東軒)에 잇다가 적변(賊變)을 당(當)매 창검(槍劍)을 두려 은신(隱身)엿다가 도적(盜賊)이 믈너가믈 보고 젼도(顚倒)히 동헌(東軒)의 나아가 보니 쵹영(燭影)이 혼암(昏暗) 가온대 머리 업슨 신톄(身體) 방듕(房中)의 잇거 운낭(雲娘)이 시 보니 이 곳 군슈(郡守)의 시톄(屍體)라 븟들고 통(哀慟)믈 마디 아니타가 우을 그치고 닙엇던 치마 버서 그 신톄(身體) 거둔 후(後)에 눈믈을 머금고 슬프믈 강잉(强仍)더니 믄득 후면(後面)의셔 신음(呻吟) 소 잇거 운낭(雲娘)이 급(急)히 나아가 보니 방(冊房)이 도적(盜賊)의 창(槍)을 마자 류혈(流血)이 낭쟈(狼藉)고 몸을 요동(搖動)티 못디라 더옥 놀나 그 샹(傷) 곳을 어만져 왈(曰)
 
16
"쳡(妾)은 곳 운낭(雲娘)이로소이다"
 
17
방(冊房)이 계요 졍신(情神)을 혀 동헌(東軒) 소식(消息)을 무니 운낭(雲娘)이 눈믈을 흘니며 그 참(慘哀) 말을 고(告)대 방(冊房)이 일셩댱통(一聲長慟)의 혼졀(昏絶)거 운낭(雲娘)이 급(急)히 븟드러 업고 제 집에 도라가 지셩(至誠) 구호(救護)니 이러므로 명(命)을 보젼(保全)니라 이 날 경(景來) 등(等)이 가산군슈(嘉山郡守) 죽인 후(後)의 본군(本郡) 김대량(金大亮)으로 뉴딘쟝(留陣將)을 삼고 좌슈(座首) 윤원셥(尹元燮)으로 군슈(郡守) 삼아 인신(印信) 병부(兵符) 주어 딕희라 고 이튼날 미명(未明)의 군(行軍)려 다가 군(軍士) 쉬오미 올타 야 창곡(倉穀)을 내야 군(軍士) 호궤(犒饋) 후(後)에 군(行軍)야박쳔(博川)ː진두(津頭)의 니니  졍(正)히 삼경(三更)이라 그곳의 뉴딘(留陣)고 경(景來) 군(軍士)로 야곰 녀염(閭閻)의 나아가 량미(糧米) 구(求)야 군(軍士) 먹이니 진두(津頭) 셩(百姓)이 도적(盜賊)의 겁칙을 만나 살기 도모(圖謀)야 산분주(四散奔走)며 혹(或) 적당(賊黨)의 투쇽(投屬)디라 경(景來) 등(等)이 진두(津頭)의셔 밤을 지내고 이튼날 평명(平明)의 군(軍)을 모라 박쳔(博川)으로 향(向)니라 이  박쳔(博川) 향댱(鄕長) 등(等)이 가산(嘉山) 적변(賊變)을 듯고 군슈(郡守) 임셩고(任聖皐)의게 보(報)니 군(郡守) 왈(曰)
 
18
"이제 난(亂)이 잇다 니 남난(南亂)이냐 븍난(北亂)이냐 이 블과(不過) 겸셰(歉歲) 당(當)야 먹기 구(求) 도적(盜賊)이라 태평시졀(太平時節)에 인심(人心)을 소요(騷擾)케  쟈(者) 맛당히 참(斬)리라"
 
19
고 밋디 아니터니 십구일(十九日) 오후(午後)에 향댱(鄕長) 등(等)이  댱(張) 공문(公文)을 드리거 군(郡守)즉시(卽時) 여러 보니 본군(本郡)고 도감 김셩각으로 별군(別軍) 관 졍(定) 톄문이라 그  대원(大元帥)라 고 슈결(手決)을 두엇거 군(郡守) 대경(大驚)야 그제야 병난(兵亂)인 줄 알고 문왈(問曰)
 
20
"이 흉셔(凶書) 엇던 놈이 가져 왓뇨"
 
21
좌위(左右) 왈(對曰)
 
22
"가산(嘉山) 발군(撥軍)이 가져왓이다"
 
23
거 군(郡守)발군(撥軍)을 하옥(下獄)고 일변(一邊) 졀도영(節度營)의 보(報)며 일변(一邊) 군긔(軍器) 졍졔(整齊)고 셩(百姓)을 모(聚募)니 셩(百姓)이 다 도망(逃亡)고 업디라 군(郡守) 일업서 관속(官屬)으로 더부러 (內行)을 거려 영쳔의 나아가 안졉(安接)고 졀도영(節度營)으로 (行)야 오니라
 

 
24
각셜(却說) 홍경(洪景來) 일지병(一支兵)을 모라 박쳔(博川)을 엄습(掩襲)니 이  납월(臘月) 이십(二十) 일(日)이라
 
25
새 이 지지 아니고  날이 미명(未明)이라 경(景來) 공텽(公廳)의 좌긔(坐起)고 본군(本郡) 쟝교(將校) 호령(號令)야 부니 신임(新任) 쟝교(將校) 한일환(韓一煥)이 텽녕(聽令)고 하(臺下)의 부복(俯伏)거 경(景來) 분부(分付)야 왈(曰)
 
26
"네 원 잇 곳을 자 드리라 만일 위령(違令)면 참(斬)리라"
 
27
고 역마(役馬)  필(匹)을 주거 일환(一煥)이 녕(令)을 거디 못야 을 녀 영쳔로 갈 적딘(賊陣) 션긔쟝(善騎將) 이일환(一煥)으로 더부러 영쳔의 니니 졀벽(絶壁) 이의 수간(數間) 암(庵子) 잇고 두 낫 즁은 식(齋食)을 쥰비(凖備)며 비(婢子) 수삼(數三) 인(人)은 창(窓) 밧긔 이셔 창황거 션긔쟝(善騎將)이 탐문(探問)니 이곳 박쳔(博川) (內行) 은신(隱身) 곳이라 션긔쟝(善騎將) 이일환(一煥)으로 더부러 (內行)을 자바 가고져 니 군슈(郡守)의 별방(別房)이 대부인(大夫人)인 톄고 도적(盜賊)을 향(向)야 무수(無數)히 공갈(恐喝)며 결(自決)코져 거 션긔쟝(善騎將)이 인(因)야 잡아가 경(景來) 주니 경(景來) 분부(分付)야 아직 보슈(保囚)라 니라 이날 박쳔군슈 임셩괴(任聖皐) 영쳔 나 밤을 타 즁셜(重雪)을 무고 간노(間路)로 조차 졀도영(節度營)을 향(向)더니 믄득  사이 급(急)히 로며 니로
 
28
"대부인(大夫人)이 적당(賊黨)의게 잡혓다"
 
29
거 군(郡守) 졍신(情神)이 아득야 혼졀(昏絶)엿더니 도적(盜賊)이 라와 군슈(郡守) 결박(結縛)야 도라가 경(景來)의게 바치니 경(景來) 왈(曰)
 
30
"본관(本官)은 급(急)히 항(降)야 잔명(殘命)을 보젼(保全)라"
 
31
군(郡守) 대로(大怒) 왈(曰)
 
32
"내 엇디 살기 도모(圖謀)야 개 놈의게 항(降)리오 네 니 날을 죽여 튱졀(忠節)을 일티 아니케 라"
 
33
고 짓기 마디 아니니 경(景來) 대로(大怒)야 무(武士) 명(命)야 참(斬)라 대 모(謀士) 우군측(禹君則)이 간왈(諫曰)
 
34
"이 사이 튱졀(忠節)이 놉흐니 죽이디 말고 유(開諭)야 항복(降服) 밧으미 가(可)가 이다"
 
35
경(景來) 올히 너겨 좌우(左右)로 여곰 결박(結縛) 거슬 그 후(後)에 유(開諭)야 왈(曰)
 
36
"그 날을 도아 부귀(富貴) 가지로 미 엇더뇨"
 
37
군(郡守) 왈(曰)
 
38
"너 다만 죽일 이라 무 잡말이 이시리오"
 
39
고 마 굴(屈)티 아니니 경(景來) 일업셔 관속(官屬)의 집의 보슈(保囚)니라 이 날 경(景來) 김셩각으로 권지군(權知軍使) 이고 일환(一煥)으로 뉴딘쟝(留陣將)을 삼은 후(後)에 창고(倉庫) 여러 셩(百姓)을 진휼(賑恤)고 일환(一煥)을 후(厚)히 샹(賞賜)니 일환(一煥)이 녈읍(列邑)에 횡(橫行)며 그 샹(賞賜)믈 쟈랑더라 이 날 군(郡守) 관속(官屬) 일졍(一正)의 집의 나와 창황 듕(中) 졍신을 혀 인신(印信) 병부(兵符) 각니 도적(盜賊)의게 핍박(逼迫) 제 아인 배 된디라 그 분(憤)믈 이긔디 못더라 이곳 통인(通引) 니긔영(李箕永)이 군슈(郡守) 뫼셧다가 밤을 타 도적(盜賊)의 형셰(形勢) 긔록(記錄)야 병영(兵營)의 밀통(密通)니라 이튼날 경(景來) 군(軍士) 모라 진두(津頭)의 나아가 뉴딘(留陣)고 쟝졸(將卒)을 호궤(犒饋) 후(後)의 군측(君則)려 계교(計巧) 무대 군측(君則) 왈(曰)
 
40
"부원슈(副元帥) 김룡(金士用)으로 군(軍)을 거려 뒤흘 막아 후병(後兵)을 못오게 고 우리 알프로 나아가 병영(兵營)을 티미 엇더뇨"
 
41
경(景來) 올히 너겨 군(軍)을 모라 안쥬(安州)로 향(向) 송님(松林)의 니러 날이 져문디라 송님(松林)의 드러 밤을 지 군측(君則) 이송님(松林) 셩(百姓)을 블너 분부(分付) 왈(曰)
 
42
"너희 등(等)이 각각(各各) 홰 나식 가지고 송님(松林) 면(四面)으로 가 블을 혀라"
 
43
대 경(景來) 문왈(問曰)
 
44
"이 무 계(計巧)뇨"
 
45
군측(君則) 왈(曰)
 
46
"이 관군(官軍)으로 여곰 우리 군병(軍兵) 다쇼(多少) 혜아리디 못게 미라"
 
47
니 경(景來)그 신긔(神奇)믈 탄복(歎服)더라 이  졀도(節度使) 동헌(東軒)의 안잣더니 믄득  군(軍士) 봉셔(封書) 드리거 혀 보니 박쳔(博川) 통인(通引) 니긔영(李箕永)의 밀셰(密書)라 그 글에 여시되
 
48
일홈 업슨 도적(盜賊)이 가산(嘉山)으로 브터 니러나 가산군슈 버히며 박쳔군슈 사로잡고 당(黨)을 거려 병영(兵營)으로 향(向)이다
 
49
엿거 졀도(節度使) 니위(李海愚) 대경(大驚)야 셩문(城門)을 구지 딕희고 일변(一邊) 나라 장문(狀聞)며 감영(監營)의 보(報) 후(後)에 병부(兵符) 주어 후영쟝(後營將) 윤욱녈(尹郁烈)과 우영쟝(右營將) 오치슈(吳治修)의게 보내여 각각(各各) 군마(軍馬) 거려 나아오되 만일 지완(遲緩)면 군법(軍法)을 시(施行)리라 더라 시(此時) 함죵(咸從) 부(府使) 윤욱녈(尹郁烈)과 슌텬(順天) 군슈(郡守) 오치(吳治修) 병부(兵符) 본 후(後)에 대경(大驚)야 각각(各各) 병마(兵馬) 됴발(早發)야 병영(兵營)으로 향(向)니라 이  졀도(節度使) 샹누(白祥樓)의 좌졍(坐定)고 군(軍士) 뫼화 련습(練習)며 셩문(城門)을 구지 다닷거 두 사이 니러 녕젼(令箭)을 통(通)니 이윽고 문(門)을 여러 군마(軍馬) 영졉(迎接)대 냥인(兩人)이 드러와 군례(軍禮)로 뵈고 도적(盜賊)의 형셰(形勢) 뭇거 졀도(節度使) 로
 
50
"도적(盜賊)이 가산(嘉山) 군슈(郡守) 부(父子) 버히고 박쳔(博川) 군슈(郡守) 사로잡아 (死生)이 됴모(朝暮)의 잇다 고 쳥븍(淸北) 졔읍(諸邑)과 각(各) 진보(鎭堡)에 발매(撥馬) 긋치여 길을 통(通)티 못 고(故)로 변보(變報) 듯디 못매 각쳐(各處) 소식(消息)을 아디 못디라 이제 도적(盜賊) 이송님(松林)의 둔(屯聚)여시매 그 다쇼(多少) 아디 못되 밤이면 블을 키니 블 혀 수(數) 보건대 그 수(數) 엇디 혜아리리오"
 
51
고 냥쟝(兩將)을 촉야 니 도적(盜賊)을 파(破)라 대 냥쟝(兩將)이 군(軍)을 모라 쳥텬강(淸川江)의 니러 급(急)히 강(江)을 건너 십(十) 니(里) 나아가니  뫼희 잇디라 그 뫼흘 등지고 믈을 님(臨)야 결딘(結陣)니 적딘(賊陣)으로 더부러 삼(三百) 보(步) 격(隔)엿더라 이  곽산군슈 니영식(李永植)이 적쟝(賊將) 김룡(金士用)의 엄살(掩殺)믈 니버 인신(印信)과 병부(兵符) 도적(盜賊)의게 일코 도망(逃亡)야 간노(間路)로 조차 졀도영(節度營)의 니러 적변(賊變)을 시 고(告)대 병(兵使) 더옥 대경(大驚)야 셩명(聖命) 보젼(保全)믈 치하(致賀)니 군(郡守) 왈(曰)
 
52
"원(願)컨대 일지병(一支兵)을 빌니시면  번 나아가 도적(盜賊)의 머리 버혀 휘하(麾下)의 드리리이다"
 
53
병(兵使) 텽필(聽畢)의 즉시(卽時) 이쵸(二哨) 군(軍)을 주며 왈(曰)
 
54
"그 힘을 다야 도적(盜賊)을 파(破)라"
 
55
니 군(郡守) 인(因)야 병(兵)을 거려 바로 함죵(咸從) 딘(陣)에 나아가 션봉(先鋒)이 되엿더라 이  홍경(洪景來) 송님(松林)의 뉴딘(留陣)연 디 수일(數日)이로 안쥬셩(安州城)을 앗디 못야 군측(君則)으로 더부러 셩(城) 틸 일을 의논(議論)더니 믄득 탐매(探馬) 보(報)호
 
56
"쳥쳔강(淸川江) 셔편(西便) 뫼 아래 무수(無數) 관병(官兵)이 딘(陣)텻이다"
 
57
경(景來) 의갑(衣甲)을 초고 군듕(軍中)의 뎐녕(傳令)야 졉젼(接戰) 일을 쥰비(凖備)더라 이  함죵부 윤욱녈(尹郁烈)이 도적(盜賊)으로 더부러 딘(對陣)매  (刻)의 키디 못믈 (恨)야 이에 의갑(衣甲)을 초고 각딘(各陣)에 호령(號令)을 리와 방포(放砲) 일셩(一聲)의 뇌고납함(擂鼓吶唅)고 츌젼(出戰)을 촉니 쟝졸(將卒)이 풍셜(風雪)을 무고 나 시 나아가더니 젹딘(賊陣) 듕(中)의셔 일셩(一聲) 포향(砲響)의 딘문(陣門)을 크게 열고 적병(賊兵)이 일시(一時)의 내라 일(一字) 딘(陣)을 일우고 함죵(咸從) 딘(陣)을 싀살(弑殺)니 함셩(喊聲)이 텬디(天地) 진동(震動)더라 졀도(節度使) 샹누(白祥樓)에 놉히 안자 냥딘(兩陣) 승패(勝敗) 보더니 적셰(賊勢) 졍(正)히 셩거 즉시(卽時) 우후 니승(李海昇)으로 일쳔(一千) 졍병(精兵)을 거려 니 나가 졉응(接應)라 니우휘 쟝녕(狀令) 바다 북문(北門)으로 조차 쳥쳔강(淸川江)을 건너 송님(松林)의 니러 삼쟝(三將)이 함《합》녁야 적병(賊兵)을 즛티니 경(景來) 등(等)이 져당(抵當)티 못야 군측(君則)으로 더부러 군(軍)을 두루혀 븍(北)을 향(向)야 도망(逃亡) 경(景來) 피란(避亂) 셩(百姓)을 모라 군총(軍摠)의 너흐며 패잔군(敗殘軍)을 슈습(收拾)니 계요 이여(二百餘) 인(人)이라 즉시(卽時) 진두(津頭)의 니러 놀난 을 진졍(鎭靜)고 경(景來) 마샹(馬上)의셔 블너 왈(曰)
 
58
"우션(禹先生)아 이제 뒤 튜병(追兵)이 급(急)고 알 갈 길이 업스니 엇디 리오"
 
59
군측(君則)이 황망(慌忙) 듕(中) 왈(對曰)
 
60
"뎡쥬셩(定州城)이 장 됴흘가 이다"
 
61
경(景來)왈(曰)
 
62
"이 계(計巧) 장 묘(妙)거니와 만일(萬一) 셩문(城門)을 구지 닷고 쥰비(凖備)미 이시면 엇디리오"
 
63
군측(君則) 왈(曰)
 
64
"쟝군(將軍)은 념녀(念慮) 말나 내 이제 뎡쥬목(定州牧使)의게 격셔(檄書) 뎐(傳)고 버거 좌슈(左水) 김니(金履大)와 니침(李琛) 등(等)의게 밀통(密通)야 응(內應)을 삼을 거시니 뎡쥬셩(定州城) 엇기 여반쟝(如反掌)이라"
 
65
대 경(景來) 대희(大喜)야 진두강(津頭江)을 건너 가산(嘉山)으로 드러가 군병(軍兵)을 호궤(犒饋)고 읍듕(邑中) 셩(百姓)을 블너 니로
 
66
"튜병(追兵)이 급(急)히 로며 니 곳마다 셩(百姓)을 살해(殺害)니 너희 이 곳의 잇다가 해(害) 면(免)티 못리니 우리 라 뎡쥬셩(定州城)으로 드러가면 잔명(殘命)을 보젼(保全)리라"
 
67
니 셩(百姓)이 이 말을 듯고 로 쟤(者) 만터라 이 날 경(景來) 군(軍士) 촉야 효셩녕(曉星嶺)을 너머 박쳔(博川)의 니니 셩(百姓)이 다 피란(避亂)고 집이 븨엿거 경(景來)분부(分付)야 밥을 지어 군(軍士) 먹인 후(後)에 인총을 펴 보니 가산(嘉山)과 박쳔(博川) 셩(百姓) 로 쟤(者) 남녀노쇼(男女老少) 합(合)야 수여(數百餘) 인(人)이라 기듕(其中)의 건장(健壯) (類)뉴  군총(軍摠)의 츙수(充數)고 밤을 지낼 경(景來) 군측(君則)려 왈(曰)
 
68
"뒤 튜병(追兵)이 급(急)니 만일(萬一) 이 곳의 잇다가 사로잡힌 배 될가 두리노라"
 
69
군측(君則) 왈(曰)
 
70
"원슈(元帥) 엇디 용병(用兵)을 모로시나뇨 관병(官兵)이 비록 급(急)히 로나 효셩녕(曉星嶺)의 니러 아등(我等)의 복병(伏兵)을 의심(疑心)야 감(敢)히 로디 못리니 그 이 이 곳의셔 군(軍士) 잠간(暫間) 쉬오고 명일(明日) 군(行軍)미 됴흘가 이다"
 
71
경(景來) 대희(大喜) 왈(曰)
 
72
"비록 송님(松林)의 패(敗)미 이시나 승패(勝敗) 병가(兵家)의 샹(常事)라 이제 션(先生)의 놉흔 의논(議論)은 귀신(鬼神)도 측냥(測量)티 못리로다 그러나 부원슈(副元帥)의 대군(大軍)이 븍(北)으로 엄살(掩殺)니 그 형셰(形勢) 당(當) 쟤(者) 업슬디라 내 이제 뎡쥬성(定州城)을 웅거(雄據)고 구병(救兵)을 기려 다시 홈을 도모(圖謀)리라"
 
73
더라
 

 
74
각셜(却說) 뎡쥬목 니근(李近冑) 병난(兵亂) 이시믈 듯고 즉시(卽時) 군(軍士) 브되 셩(百姓)은 다 피란(避亂)고 오직 향댱(鄕長) 니로 등(等)만 잇디라 목(牧使) 일업서 셩(城)을 리고 안(安州)로 향(向)니라 이  김룡(金士用) 니졔초(李濟初) 등(等)이 군(軍士) 모라 곽산(郭山)을 텨 앗고 태쳔(泰川)을 엄습(掩襲)니 현감(縣監) 뉴졍냥(柳鼎養)이 적셰(賊勢) 위급(危急)믈 보고 인신(印信)과 병부(兵符) 몸의 장(藏)《》 후(後)의 텰옹셩(鐵甕城)으로 향(向)니라 이  김룡(金士用)이 의긔양양(義氣揚揚)야 군(軍)을 모라 바로 텰산(鐵山)을 텨부(府使) 니챵겸을 항복(降服) 밧고 인부(印符) 아슨 후(後)의  션쳔(宣川)을 틸 몬져 격셔(檄書) 보내고 득진(得陣) 듕(中) 군슈(郡守) 문졔의게 밀통(密通)야 응(內應)을 삼은 후(後)의 군(軍士) 촉야 나아가니 션쳔부 김익슌(金益淳)이 적셰(賊勢) 두려 항복(降服)거 룡(士用)이  인부(印符) 앗고 이튼날 룡(士用)이 졔초(濟初) 블너 왈(曰)
 
75
"너 일지군(一枝軍)을 거려 몬져 셔림셩(西林城)을 텨 뉴딘쟝(留陣將)을 항복(降服) 밧고 아쟝(亞將)으로 셩(城)을 딕흰 후(後)의 뇽골산셩(龍骨山城)을 텨 앗고 인(因)야 뇽쳔(龍川)을 엄습(掩襲)라"
 
76
니 졔최(濟初) 텽녕(聽令)고 군(軍)을 거려 셔림(西林)으로 (行)니라 이  뇽쳔부 권슈례 적병(賊兵)이 갓가오믈 듯고 군(聚軍)코져 나 셩(百姓)과 관속(官屬)이 다 도망(逃亡)엿디라 부(府使) 탄식(歎息)믈 마디 아니코 인(因)야 크게 웨여 왈(曰)
 
77
"뉘 능(能)히 날을 조츨소냐"
 
78
니 믄득  쟝(將校) 좃기 원(願)거 부(府使) 인부(印符) 몸의 초고 필마(匹馬)로 려 바로 마산셩(白馬山城)으로 (行)니라 이  니졔최(李濟初) 셔림(西林)과 뇽골산셩(龍骨山城)을 텨 앗고 바로 뇽쳔(龍川)부(府)의 니니 부(府使) 간  업고 일읍(一邑)이 다 븨엿거졔최(濟初) 즉시(卽時) 뇽쳔관(龍川館)의 뉴딘(留陣)니라 이  의쥬(義州)  두 호걸(豪傑) 장(壯士) 이시니 나흔 김견신(金見信)이오 나흔 허항(許沆)이라 도적(盜賊)의 강셩(强盛)믈 듯고 각각(各各) 의병(義兵)을 니혀니 견신(見信)은 군(軍士) 여(百餘) 명(名)을 뫼호고 허항(許沆)은 이여(二百餘) 명(名)을 거려 (行) 이 두 사이 튱의(忠義)와 용녁(勇力)이 츌즁(出衆)디라 이에 서로 니로 이  당(當)야 갈튱보국(竭忠報國)야 흉적(凶賊)을 소멸(消滅)고 일홈을 후셰(後世)의 뉴뎐(遺傳)미 우리의 죡(足) 배라 고 견신(見信)은 댱창(長槍)을 들고 오총마 타시며 허항(許沆)은 댱검(長劍)을 들고 총마 타시니 위엄(威嚴)이 호(猛虎) 더라 군마(軍馬) 모라 바로 셔림셩(西林城) 하(下)의 니니 도적(盜賊)이 셩(城)을 웅거(雄據)엿디라 이 날 밤의 김(金) 허(許) 냥쟝(兩將)이 적딘(賊陣) 형셰(形勢) 핀 후(後) 즉시(卽時) 군(軍)을 모라 셩(城)을 너머 일시(一時)의 싀살(弑殺)니 함셩(喊聲)이 대진(大振)디라 적병(賊兵)이 블의(不意)예 변(變)을 만나 감(敢)히 뎍(對敵)디 못고 셩(城)을 려 각각(各各) 목숨을 도망(逃亡)디라 김(金) 허(許) 이인(二人)이 군(軍士) 나토 샹해(傷害)오디 아니코 셔림(西林)을 회복(回復) 후(後)의  군(軍士) 촉야 텰산(鐵山)으로 향(向)니 텰산(鐵山)의 웅거(雄據) 도적(盜賊)이 이 소식(消息)을 듯고 다 허여졋다 거 허항(許沆)은 텰산(鐵山)으로브터 숑님(松林)으로 나아오고 김견신(金見信)은 동셩(東城)으로브터 숑님(松林)으로 가 하병(下兵)야 숑님(松林)의 든 도적(盜賊)을 크게 엄살(掩殺)니 의병(義兵)이 이 곳의 적병(賊兵)의 머리 츄풍낙엽(秋風落葉) 더라 이  홍경(洪景來) 박쳔(博川)을 나 군(軍士) 모라 뎡쥬셩(定州城) 하(下)의 니니 좌슈 김니대(金履大) 긔치(旗幟) 거려오륜교(五倫橋) 변(邊)의 나와 영졉(迎接)거 경(景來) 셩(城)의 드러가 창곡(倉穀)을 내야 셩(百姓)을 진휼(賑恤)고 우양(牛羊)을 잡아 군(軍士) 호궤(犒饋)고 이튼날 졔쟝(諸將)을 블너 각각(各各) 소임(所任)을 맛길 우군측(禹君則)으로 븍쟝(北將臺) 딕희고 김지간으로 셔문(西門)을 딕희고 동호(白東虎)로 군량감(軍糧監)을 삼고 김니대(金履大)로 뎡쥬목 삼고 니침(李琛)으로 븍문(北門)을 딕희고양슈우로 아쟝(亞將)을 삼고 홍총각(洪總角)으로 션봉(先鋒)을 삼아 장졍군(壯丁軍) 오(五百)을 주어 날마다 조련(調練)고 경(景來) 스로 듕군대쟝(中軍大將)이 되니라 군측(君則) 이경(景來)려 왈(曰)
 
79
"셩듕(城中)의 군량(軍糧)이 유여(裕餘)고 군(軍士)와 셩(百姓)이 합(合)야 오쳔(四五千)이니 셩(城)을 구지 딕희여 원슈(元帥)의 회군(回軍)기 기려 다시 도모(圖謀)자"
 
80
더라 이 의 관찰(觀察使) 니만(李晩秀) 졀도(節度使)의 변보(變報) 보고 일변(一邊) 나라 장문(狀聞)고 몬져 슌영듕군(巡營中軍) 니경회로 야곰 졍병(精兵) 일쳔(一千)과 젼마(戰馬) 십(四十) 필(匹)을 주어 도적(盜賊)을 티라 대 경회 텽녕(聽令)고 즉시(卽時) 나와 최종셕과유혁 등(等)을 블너 좌우익(左右翼)을 삼고 즉시(卽時) 발(發行)니 긔치(旗幟) 검극(劍戟)이 일광(日光)을 리왓더라 (行)야 여러 날 만의안쥬셩(安州城) 하(下)의 니니 졀도(節度使) 즉시(卽時) 쳥입(廳入)대 슌듕군(巡中軍)이 드러가 녜(禮) (行)고 적변(賊變)을 무니 병(兵使) 왈(曰)
 
81
"숑님(松林)의 웅거(雄據) 도적(盜賊) 이함죵(咸從) 군(軍)의게 패(敗)야 도망(逃亡)매 각딘이 합녁(合力)야 즛텨 드러가니 그 급(急)히 나아가 졉응(接應)라"
 
82
슌듕군(巡中軍)이 녕(令)을 듯고 군(軍士) (行)니 이  우셜(雨雪)이 분분(紛紛)야 군매(軍馬)  거슬 견디 못더라 (行)야 뎡쥬셩(定州城)의 니러 뉴딘(留陣)고 군(軍)을 쉬으더라 이  함죵부와 안쥬우후와 슌쳔군슈와 곽산군 군(軍士) 촉야 숑님(松林)을 블 디고  진두(津頭) 화공(火攻)야 도적(盜賊)의 소혈(巢穴)을 소탕(掃蕩)고 급(急)히 군(行軍)야 진두강(津頭江)을 건널 풍셜(風雪)이 난만(爛漫)고 강(江水) 반빙(半氷)디라 군(軍士) 모라  믈을 건너니 졔군(諸軍)이 치우믈 견디 못야 어러 죽 쟤(者) 만터라 (行)야 셔평관(西平館)에 니러 군(軍士) 쉬오고 이튼날 뎡셩(定州城)의 니니 도적(盜賊)이 임의 셩(城)의 웅거(雄據)고 셩문(城門)을 구지 다닷디라 뎡셩(定州城) 동문(東門) 밧 십(十) 니(里) 허(許)의 신안원(新安院)이라  언덕이 이셔 그 뫼흘 등디고 강(江)을 님(臨)야 채(寨柵)을 셰워 군(軍士) 안둔(安屯)고 도적(盜賊)의 형셰(形勢) 피더라 이  슉쳔부 니유슈(李裕垂)와 곽산군슈 니영식(李永植)이 초군(哨軍)을 거려 뎡쥬셩(定州城) 하(下)의 결딘(結陣)니 이  임신(壬申) 졍월(正月) 초(初) 오일(五日)이라
 
83
슌영듕군(巡營中軍) 니경회 안쥬(安州) 딘(陣)으로 더부러 결딘(結陣)고 셩 파(破) 모(謀策)을 의논(議論)더라
 

 
84
각셜(却說) 홍경(洪景來) 부원슈(副元帥)의 회군(回軍)을 기리더니 믄득 보(報)호 관군(官軍)이 동문(東門) 밧 십(十) 니(里) 허(許)의 결딘(結陣)《》다 거 경(景來) 대경(大驚)야 군듕(軍中)의 뎐녕(傳令)되 일졀(一切) 요동(搖動)티 말나 고 군(軍士)로 여곰 셩샹(城上)의 올나 각각(各各) 횃블을 자바 밤이 새도록 키라 더라 이  안쥬(安州) 대딘(大陣)의셔 셩(城) 틸 모(謀策)을 뎡(定)고 곽산군슈 셔문(西門)을 엄습(掩襲)고 안쥬우후와 함죵부 각각(各各) 군(軍)을 모라 남(南)으로 나아가 즛틸 군(軍士)로 여곰 각각(各各) 섭  믓식 가지고 셩문(城門)의 나아가 블을 노흐라 고 쇼모쟝(召募將) 졔경욱(諸景彧)을 명(命)야 총슈군(銃手軍) (百) 명(名)과 병영군(兵營軍) 이(二百)을 거려 션봉(先鋒)이 되야 동문(東門)을 티라 고 슌영듕군(巡營中軍)과 슉쳔부와 슌쳔군슈 총군(銃軍) (四百)과 젼영군(前營軍) 뉵(六百)과 우영군(右營軍) (四百)을 거려 후군(後軍)이 되여 동문(東門)으로 나아갈 방(方牌)와 운뎨(雲梯) 만히 노하 셩(城) 넘기 도모(圖謀)더라 쇼모쟝(召募將) 경욱(景彧)이 최종셕으로 더부러 녁(力士) 십여(十餘) 인(人)을 거려 동문(東門)의 니러 도 드러 졍(正)히 문(門)을 티려 더니 셩샹(城上)의셔 시셕(矢石)이 비 오 디라 경욱(景彧)이 몸을 녀 시셕(矢石)을 피(避) 믄득 셩샹(城上)의셔  도적(盜賊)이 웨여 왈(曰)
 
85
"네 만일(萬一) 갑(甲)을 벗고 을 리고 라나면 디 아니러라"
 
86
니 경욱(景彧)이 일업서 갑옷과 을 리고 최종셕과 가지로 라오더니 셩샹(城上)의셔 난젼(亂箭)이 비 오 니 최종셕이 여러 살을 고 을 녀 본딘(本陣)으로 도라오니 슌영듕군(巡營中軍)과 슌쳔군슈와 슉쳔부 군(軍)을 모라 동문(東門)으로 나아가더니 션봉(先鋒)의 패(敗)믈 듯고 급(急)히 군(軍)을 도로혀 믈너 오니 군(軍士) 샹(傷) 쟤(者) 십여(四十餘) 명(名)이라 도적(盜賊)이 동문(東門)을 열고 나와 린 갑옷과 젼마(戰馬) 긔계(器械) 다 거두고 미처 도라오디 못 군(軍士) 세 명(名)을 사로잡아 셩듕(城中)으로 드러가니 각(各) 영(營) 쟝(將士) 분(憤)믈 이긔디 못더니 믄득  군(軍士) 셩듕(城中)으로 나와 졍(正)히 쥬져(躊躇)거 슌영듕군(巡營中軍)이 그 군(軍士) 자바오니 그 놈이 몸의  글월이 잇거 올녀 보니 여시되 뒤흐로 간 도적(盜賊)이 션쳔(宣川) 의쥬(義州) 귀셩(龜城) 졔읍(諸邑)을 업《엄》습(掩襲) 연(事緣)이라 각(各) 영쟝(營將)이 보고 다 놀나 이튼날 평명(平明)의 각각(各各) 군(軍)을 (行) 곽산군슈 일쳔(一千) 군(軍)을 거려 곽산(郭山)으로 나아가고 안쥬(安州) 영쟝(營將)과 함풍부 이쳔(二千) 군(軍)을 거려 뇽쳔(龍川)으로 향(向)니라 니영식(李永植)이 군(軍)을 모라 곽산(郭山)의 니러 도적(盜賊)의 머리 수십(數十)을 버히고 군(軍)을 도로혀  뇽쳔(龍川)으로 가니라 이 슌영듕군(巡營中軍)이우영쟝(右營將)으로 여곰 안영병(鞍營兵)과 슌영총슈군(巡營銃手軍) 십(四十) 명(名)을 됴발(調發)야 함죵(咸從) 박쳔(博川) 냥딘(兩陣)을 졉응(接應)케 니라 이  함죵부 군(軍)을 촉야 뇽쳔(龍川)의 니니 도적(盜賊) 쳔여(千餘) 명(名)이 관(關)의 웅거(雄據)엿디라 곽산군슈로 더부러 뎡창츌마(挺槍出馬)야 크게 웨여 왈(曰)
 
87
"내 맛당히 이 도적(盜賊)을 토평(討平)야 국가(國家)의 환(患)을 덜고져 니 졔쟝(諸將)은 힘을 다야 뒤흘 로라"
 
88
니 믄득 두 쟝(將帥) 츌마(出馬) 당젼야 왈(曰)
 
89
"쇼쟝(少將)이 비록 죄 업스나  번 나가 도적(盜賊)의 머리 버혀 휘하(麾下)의 드리리이다"
 
90
모다 보니 나흔 슌안(順安)인(人) 김계믁이오 나흔 은산(銀山)인(人) 김니라 부(府使) 대희(大喜)야 즉시(卽時) 냥인(兩人)으로 좌우(左右) 션봉(先鋒)을 삼아 나 호라 니 냥쟝(兩將)이 응셩츌마(應聲出馬)야 적쟝(賊將) 니졔초(李濟初)로 더부러 화 수십(數十) 합(合)의 니러 계믁이  창(槍)으로 졔초(濟初) 디니 졔최(濟初) 크게  소 고 계믁의 창(槍)을 잡아  치니 계믁이 당(當)티 못야 게 러저 졍(正)히 위급(危急)더니 김니 급(急)히 내라 창(槍)을 드러 졔초(濟初) 디니 졔최(濟初)게 러디거 군(軍士) 호령(號令)야 결박(結縛)고 적당(賊黨)을 효유(曉諭)니 적군(敵軍)이 일시(一時)의 항(降)디라 즉시(卽時) 졔초(濟初) 자바 함죵(咸從) 딘(陣)에 드리니 부(府使) 대희(大喜)야 냥쟝(兩將)을 듕샹(重賞)고 무(武士) 명(命)야 졔초(濟初) 원문(院門) 밧긔 내여 참(斬)고  션쳔(宣川) 독진듕군(獨鎭中軍) 유문졔 자바 버히고 우양(牛羊)을 잡아 군(軍士) 호궤(犒饋)니 즐기 소 진동(震動)더라 이  나라흐로셔 평안감(平安監司)의 장계(狀啓) 보시고 놀나시고 근심샤 묘당(廟堂)의 하교(下敎)샤 슌무듕군(巡撫中軍)을 뎡(定)야 춍슈(銃手) 오(五百)과 마병(馬兵) 삼(三百)을 주어 니 려가 도적(盜賊)을 토평(討平)라 시니 듕군(中軍) 박긔풍(朴基豐)이 하딕슉(下直肅拜)고 군(軍士) (行) 팔일(八日)에 뎡쥬셩(定州城)의 니니 안쥬(安州) 대딘(大陣)이 신안원(新安院)에 결딘(結陣)엿더라 각(各) 영쟝(營將)이 슌무듕군(巡撫中軍)을 마자 채(寨柵)을 가지로 니 딘법(陣法)이 졍졔(整齊)고 호령(號令)이 엄슉(嚴肅)여 젼일(前日)노 더부러 다더라 이  샹(上)이 훈련도감(訓練都監) 니운식으로박쳔군슈 졔슈(除授)시고 급마하송(給馬下送)시니 운식이 하딕슉(下直肅拜)고 즉일(卽日) 발(發行)니라 샹(上)이  병조참판(兵曹參判) 뎡만셕(鄭晩錫)으로 위무(慰撫使) 이샤 셩(百姓)을 위무(慰撫)라 시니 위무(慰撫使) 즉일(卽日) 발(發行)니라 박쳔(博川) 신관(新官)이 평양(平壤)의 니러 관찰(觀察使)의게 현알(見謁)대 관찰(觀察使) 삼화군(三和軍) (百) 명(名)을 주어 뎡쥬(定州)로 나아가라 니 군(郡守) 대동문(大同門)에 나와 군(軍士) 졈고(點考)야 군(行軍) 풍셜(風雪)이 분분(紛紛)니 군매(軍馬) 치우믈 견디 못더라 이  곽산(郭山) 함죵(咸從) 냥딘(兩陣)이 슌무(巡撫) 듕영(中營)의 밀통(密通)호 뇽쳔(龍川) 곽산(郭山) 냥읍(兩邑)에 둔(屯聚) 도적(盜賊)이 젹디 아니니 구완(救援)을 쳥(請)이다 엿거 슌무듕군(巡撫中軍)이슌영듕군(巡營中軍)으로 여곰 나아가 구완(救援)라 니 슌듕군(巡中軍)이 발군(撥軍)려  즈음에 도적(盜賊)의 패보(敗報) 듯고 츌군녕(出軍令)을 거두니라 이  함죵부 뇽쳔(龍川)의 웅거(雄據) 도적(盜賊)을 소탕(掃蕩)고 곽산(郭山) 젼(前) 군슈(郡守)로 뇽쳔(龍川)을 딕희오고 슉쳔군슈로 더부러 회군(回軍) 몬져 졔초(濟初)의 머리 졀도영(節度營)의 올니고 군(行軍)야 대딘(大陣)으로 향(向)니라 이  슌무듕군(巡撫中軍)이 졍쥬목 니근쥬(李近冑)와 쇼모쟝(召募將) 졔경욱(諸景彧)으로 남문(南門)을 티게 고 슌쳔군슈 건장(健壯) 군(軍士) 거려 운뎨(雲梯) 가져 동문(東門)을 티라 고 박쳔군슈 삼화군(三和軍)을 거려 쇼셔문(少西門)을 티게  이  우셜(雨雪)이 분비(紛霏)고 안개 옥야 원근(遠近)이 희미(稀微) 가온대 셩텹(城堞) 이로 시셕(矢石)이 비 오더라 박쳔군 풍우(風雨) 치 모라 셩(城) 밧 여(百餘) 보(步) 격(隔)야 알프로 나아가고져 더니 쇼모쟝(召募將) 졔경욱(諸景彧)이 남문(南門)으로 나아가 도적(盜賊)으로 더부러 싸화 좌튱우돌(左衝右突)니 감(敢)히 당(當) 쟤(者) 업더라 그러나 도적(盜賊)은 셩샹(城上)의 잇고 경욱(景彧)은 셩하(城下)의 이시니 아래 잇 쟤(者) 엇디 우 잇 셰(勢) 당(當)리오 경욱(景彧)이 도적(盜賊)을 향(向)야 크게 지져 왈(曰)
 
91
"너희 감(敢)히 블궤(不軌) 도모(圖謀)야 민(生民)을 요란(擾亂)케 니 내 이제 너희 버혀 군민(君民)의 (恨)을 플니니 니 나와 죽으믈 바드라"
 
92
고 짓기 마디 아니더니 믄득 흐 텰환(鐵丸)이 경욱(景彧)의 미간(眉間)을 마티니 경욱(景彧)이 게 러디거 졔쟝(諸將)이 일시(一時)의 내라 경욱(景彧)을 구(救)야 본딘(本陣)에 도라와 구(救)호 내 명(命)이 진(盡)니 각(各) 영(營) 쟝졸(將卒)이 슬허 아니리 업더라 이 날 슌무영장군관오위쟝(巡撫營將士軍官五衛將) 김대이 동문(東門)의 나아가 시셕(矢石)을 무고 셩(城)을 티다가   도적(盜賊)의 툥(銃)을 마자 죽으니 슌무듕군(巡撫中軍)이 이 으로 장문(狀聞)온대 샹(上)이 그 튱셩(忠誠)을 아다이 너기샤 각각(各各) 삼(三代) 특증(特贈)야 그 공(功)을 표(表)시니라 이  션쳔부 김익슌(金益淳)이 적괴(賊魁) 김챵시(金昌始)의 머리 버혀 대딘(大陣)에 바치니 슌무듕군(巡撫中軍) 이익슌(益淳)을 자바 드려 도적(盜賊)의게 항(降) 졀(節次) 무른대 익슌(益淳) 왈(曰)
 
93
"도적(盜賊)의 핍박(逼迫)믈 닙어 거즛 항(降)엿이다"
 
94
슌무듕군(巡撫中軍)이 크게 지저 왈(曰)
 
95
"네 셰록지신(世祿之臣)으로 죽기 앗겨 도적(盜賊)의게 항(降)야 살기 도모(圖謀)니 이 엇디 신(臣子)의 도리리오"
 
96
고 즉시(卽時)익슌(益淳)을 압녕(押領)야 경(京師)로 보내니라
 

 
97
각셜(却說) 슌영듕군(巡營中軍) 니경회 박쳔군슈로 더부러 딘(陣)을 옴겨 뎡쥬(定州) 남문(南門) 밧 남졔교라  리 건너 남산(南山) 져근 언덕에 딘(陣) 티고 셩듕(城中)을 바라보니 낫이면 도적(盜賊)의 죵젹(蹤迹)이 업고 밤이면 셩샹(城上)의셔 블을 키고 화포(火砲) 노화 형셰(形勢) 돕디라 슌영듕군(巡營中軍)이 촌관(村官) 안졍신으로 더부러 수(數百) 군(軍)을 거려 남문(南門)을 틸 박쳔〔군〕슈 후응(後應)이 되고 뎡쥬목(牧使) 동문(東門)을 티고 슌무듕군(巡撫中軍)은 졔쟝(諸將)을 거려 쇼셔문(少西門)을 티고 슉쳔부와 가산군슈 셩북(城北)을 틸 묘시(卯時)로 부터 시(巳時)가지 티되 파(破)티 못디라 이에 (錚) 텨 군(軍)을 거두니라 이  함죵부 슌쳔군슈로 더부러 뇽쳔(龍川)을 나 뎡쥬(定州)의 니러 함죵부 셔문(西門) 밧긔 딘(陣)고 슌쳔군슈 쇼셔문(少西門)의 딘(陣)니라 의병쟝(義兵將) 김견신(金見信)과 허항(許沆)이 군(軍)을 거려 대딘(大陣)의 니러 슌무듕군(巡撫中軍)긔 현알(見謁)대 듕군(中軍)이 냥인(兩人)의 튱의(忠義) 포쟝(襃章)고 의병(義兵)을 호궤(犒饋) 후(後)에함죵부의 후응(後應)을 삼아 셔문(西門)에 딘(陣)게 니 냥인(兩人)이 인병(引兵)야 결딘(結陣)니라 함죵(咸從) 부(府使) 셔문(西門) 밧 수리(數里) 허(許)의 군(軍士) 뉵(六百)을 거려 뫼흘 등져 채(寨柵)을 셰우고 슌쳔부 팔(八百) 군(軍)을 거려 쇼셔문(少西門) 밧 언덕을 의지(依支)야 딘(陣)고 가산(嘉山) 뎡(定州) 냥딘(兩陣)은 각각(各各) 수(數百) 군(軍)을 거려 슌무영(巡撫營) 좌우익(左右翼)이 되고 슉쳔부 오(五百) 군(軍)을 거려 평디(平地)의 둔(屯)엿더라 뎡쥬(定州) 남문(南門) 밧긔 쥬필각(駐畢閣)이란 비각(碑閣)이 이시니 션조대왕(宣祖大王)이 뇽만(龍灣)으로 파쳔(播遷)실 의 쥬필(駐蹕)시매 그 젹(事跡)을 긔록(記錄) 비각(碑閣)이라 그 뒤 숑목(松木)으로 만히 심엇더니 이  당(當)야 도적(盜賊)이 로 나와 비각(碑閣)의 숨으며 숑님(松林)의 복(埋伏)엿다가 외로이 왕(往來) 군(軍士) 팀노(侵擄)니 슌영듕군(巡營中軍)이 통(痛恨)히 너겨 즉시(卽時) 군(軍士)로 야곰 그 숑목(松木)을 다 버히니 그 후(後) 도적(盜賊)의 츌입(出入)이 눈 알 분명(分明)더라 이  임신(壬申) 이월(二月) 초(初) 삼일(三日)이라
 
98
오시(午時)로 부터 신시(申時)의 니히 풍셜(風雪)이 난만(爛漫) 가온대 각(各) 딘(陣)의셔 셩(城)을 틸 수와 운뎨(雲梯) 만히 쥰비(凖備)고 슌무듕군(巡撫中軍)과 뎡쥬목와 슌쳔부와 슌영듕군(巡營中軍)은 셔남(西南)으로 나아가 티고 함죵부 쇼셔문(少西門)을 티고 삭부 의병쟝(義兵將) 김견신(金見信)으로 더부러 븍문(北門)을 티고 마병(馬兵)으로 동문(東門)의 복(埋伏)고 박쳔군슈 최종셕으로 더부러 운뎨(雲梯) 가져 셩(城) 동남각(東南閣)의 복(埋伏)고 남은 군(軍士) 안영병(鞍營兵)으로 더부러 슌영듕군(巡營中軍)의 션봉(先鋒)이 되니라 이 날 각(各) 딘(陣)이 셩(城) 티기 긔약(期約)고 대채(臺寨)의셔 수 다슬 쥰비(凖備)니 놉 셩(城)을 지나고 그 우 방패(方牌)와 텰갑(鐵甲)을 만히 리와시며 좌우(左右)로 난간(欄干)을 그랏더라 이 날 군병(軍兵)이 수 둘을 모라 남문(南門)을 향(向)다가 박회 다 샹(傷)야 능(能)히 나아가디 못더니 셩샹(城上)으로셔 셕(石)이 리니 군(軍士) 능(能)히 뎍(對敵)디 못고  우셜(雨雪)이 그치디 아니니 군(軍士) 호디 못야 죵일(終日) 셩(城)을 티되 셩공(成功)티 못고 각(各) 딘(陣)이 (錚) 텨 군(軍)을 거두니라 이 날 셩(城)을 티려 고 대원구 남문(南門) 밧긔 무덧더니 이튼날 미명(未明)의 도적(盜賊) 수(數百)이 나와 대원구 (取)려 거 듕군(中軍)이 툥슈(銃手) 됴발(調發)야 풍우(風雨) 치 나아가 도적(盜賊)을 싀살(弑殺)니 적(賊)이 급(急)히 피(避)야 셩듕(城中)으로 드러가더니 이윽고 다시 나와 크게 블너 니로
 
99
"금일(今日)은 맛당히 힘을 다야 화 (死生)을 결(決)리라"
 
100
거 듕군(中軍)이 대로(大怒)야 툥슈(銃手) 명(命)야 급(急)히 로며 즛티니 적병(賊兵)이 미처 툥(銃)을 노치 못고 도망(逃亡)야 남문(南門)으로 드러가니 도로 군(軍)을 거두니라 이날 밤 삼경(三更)의 거문 안개 옥야 지쳑(咫尺)을 분변(分辨)티 못디라 좌익쟝(左翼將)최종셕이듕군(中軍)긔 고왈(告曰)
 
101
"이제 날이 어둡고 안개 옥니 비록 도적(盜賊)이 나오나 어로 조차 오 줄을 알니오 의심(疑心)컨대 도적(盜賊)의 겁칙이 두려오니 미리 방비(防備)미 됴흘가 이다"
 
102
듕군(中軍)이 그 말을 올히 너겨 군듕(軍中)의 뎐령(傳令)야 초군(哨軍) 삼십(三十) 명(名)과 툥슈(銃手) 이십(二十) 명(名)을  비각(碑閣)의 복(埋伏)니라 이날 삼 경(三更)의 도적(盜賊) 여(百餘) 명(名)(이) 남문(南門)으로 나와 복병(伏兵)을 엄살(掩殺)니 복병(伏兵)이 도로혀 도적(盜賊)의 겁칙을 만나 일시(一時)의 허여디니 이  도망(逃亡)던 당보군(塘報軍)이 급(急)히 라와 도적(盜賊)의게 패(敗) 슈말(首末)을 듕군(中軍)긔 고(告)대 듕군(中軍)이 대경(大驚)야 즉시(卽時) 툥슈군(銃手軍)을 됴발(調發)야 구(救) 도적(盜賊)은 임의 셩(城)에 들고 복병(伏兵)은 다 도망(逃亡)엿거 툥슈군(銃手軍)이 일업서 본딘(本陣)으로 도라오니라 이 날 복병(伏兵)이 계요 도망(逃亡)야 본딘(本陣)의 니니 듕군(中軍)이 그 수(數) 졈고(點考) 즉 죽은 쟤(者) 나히오 샹(傷) 쟤(者) 세히오 도망(逃亡) 쟤(者)  세히러라 이  슌영(巡營)으로셔 쟝졸(將卒)이 포 슈고믈 념녀(念慮)야 쥬육(酒肉)과 쟝곽(長藿)을 만히 보내여 군병(軍兵)을 호궤(犒饋)니 즐기 소 진동(震動)더라 이  의병쟝(義兵將) 김견신(金見信)이 북쟝(北將臺)의 나아가 군(軍士)로 여곰 화젼(火箭)을 아 북쟝(北將臺) 블 디고 셩(城)을 넘고져 더니 믄득 셩샹(城上)의셔 시셕(矢石)이 비 오 니 내 셩(城)을 넘디 못니라 이  이월(二月) 초슌(初旬)이라
 
103
뫼 싸힌 눈이 치위 도아 찬 긔{긔}운(氣運)이 의 니 군(軍士) 동폐(凍斃)가 두려 딘(陣)을 옴겨 남산(南山) 하(下)의 둔(屯) 믄득 보니 뫼 우  묘당(廟堂)이 잇거 즉시(卽時) 군(軍士)로 야곰 시 아라오라 니 군(軍士) 보(報)되 이 묘당(廟堂)은 녯날 님쟝군(林將軍)의 화샹(畵像)이라 거 듕군(中軍)이 이 말을 듯고 박쳔군슈로 더부러 긔도(祈禱) 뎡(定)고 일(擇日)야 졔(祭) 마병(馬兵) 쟝뎡(壯丁) 령은 초헌관(初獻官)이오 좌익쟝(左翼將) 최종셕은 안《아》헌관(亞獻官)이오 우익쟝(右翼將) 유혁은 죵헌관(終獻官)이오 태쳔(泰川) 의병쟝(義兵將) 니시복(李始福)으로 집(執事) 뎡(定)야 치졔(致祭)니라 이  나라흐로셔 위무(慰撫使) 평안감(平安監司)로 인뎡(認定)시니 감(監司) 셩(百姓)을 무휼(撫恤)고 군병(軍兵)을 진무(賑撫)니 원근(遠近)이 그 덕화(德化) 칭숑(稱訟)더라 이  뎡쥬셩(定州城) 남(南) 십(十) 니(里) 허(許)의 쟝군(將軍臺)이시니 녜로부터 승젼(勝戰) 곳이라 슌무영(巡撫營)의셔  일(擇日) 치졔(致祭) 초헌관(初獻官)의슌듕군(巡中軍)이오 아헌관(亞獻官)의 뎡쥬목요 죵헌관(終獻官)의 슉쳔부러라 이  임신(壬申) 이월(二月) 십구일(十九日)이라
 
104
도적(盜賊)이 마니 남문(南門)을 열고 나오되 거문 옷 닙고 병긔(兵器) 가져 비각(碑閣)의 복(埋伏)고  텰갑(鐵甲) 닙은 도적(盜賊)은 마(白馬) 고 의(白衣) 닙은 군(軍士) 거려 후응(後應)이 되여 나오고 츙샤군(忠士軍)으로 여곰 남문(南門) 밧 리 우흐로브터 뇽츄(龍湫) 지 니러 어러이 툥(銃)을 노흐며  일지군(一枝軍)은 쇼셔문(少西門)으로 나와 슌쳔(順天) 딘(陣)을 향(向)야 툥(銃)을 노흐며 크게 엄살(掩殺)니슌쳔(順天) 딘(陣)이 졍(正)히 위급(危急)더니 슌듕군(巡中軍)과 함죵부 풍우(風雨) 치 못《모》라와 슌쳔(順天) 딘(陣)을 구(救)야 도적(盜賊)으로 더부러 화 날이 셕양(夕陽)의 니되 적병(賊兵)이 믈너가디 아니커 슌듕군(巡中軍)이 더옥 노(怒)야 군(軍士) 모라 즛티니 적병(賊兵)이 대패(大敗)야 셩(城)의 들거 각(各) 영(營) 쟝(將士) 승셰(勝勢)야 롸《라》 셩하(城下)의 니니 셩샹(城上)의셔 시셕(矢石)이 비오 디라 셩(城)을 파(破)티 못고 군(軍)을 도로혀 각각(各各) 본딘(本陣)으로 도라오니라 이  임신(壬申) 이월(二月) 이십삼(二十三) 일(日)이라
 
105
도적(盜賊) 수(數百)이 남문(南門)으로 나와 압흘 막아 어러이 며  비각(碑閣) 뒤흐로 일지(一枝) 젹병(賊兵)이 나오거 슌듕군(巡中軍)이 즉시(卽時) 츙샤군(忠士軍)을 됴발(調發)야 급(急)히 티니 도적(盜賊)이 패(敗)야 셩(城)의 들고 나디 아니더라 이  슌무듕영(巡撫中營)의셔 수 샹(傷)야 셩(城)을 파(破)티 못니 각(各) 영쟝(營將)이 근심더니 경(京師)로셔 대원구와 수 보내엿거 슌무듕군(巡撫中軍)이 각영(各營)의 뎐녕(傳令)야 이십오(二十五) 일(日)의 셩(城) 티기 긔약(期約) 슌듕군(巡中軍)과 박쳔군슈로 수 나흘 모라 남문(南門)으로 나아가게 고슉쳔부 수 나흘 모라 셩(城) 동븍각(東北閣)으로 나아가게 고 함풍부 수 나흘 모라 쇼셔문(少西門)으로 나아가게 고 슉쳔군슈와 의병쟝(義兵將) 김견신(金見信)은 수 나흘 모라 븍쟝(北將臺)로 나아가게 고 우림《익》쟝(右翼將) 허항(許沆)으로 수 나흘 모라 븍문(北門)을 티게 고 삭쥬(朔州) 부 운뎨(雲梯)와 방패 가져 동문(東門)으로 나아가게 고 마병(馬兵) 일쵸(一哨) 동문(東門) 밧 십(十) 니(里) 허(許)의 복(埋伏)라 분발(奮發)니 졔쟝(諸將)이 쳥녕(聽令)고 각각(各各) 신《진》디로 가니라 이 경(景來)군측(君則)으로 더부러 샹의(相議) 왈(曰)
 
106
"이제 관병(官兵)이 수와 운뎨(雲梯) 쥰비(凖備)야 셩(城) 티기 급(急)히 니 션(先生)은 무 계교(計巧)로 막노《고》져 뇨"
 
107
군측(君則)왈(曰)
 
108
"쟝군(將軍)은 근심 말나 내 스로 방비(防備)리라"
 
109
고 군(軍士) (每) 일명(一名)의 셥  단(段)과 화약(火藥) 염초(焰硝) 주어 셩(城) 면(四面)의 복(埋伏)되 긔(旗) 누이고 붑을 그쳐 은신(隱身)엿다가 관병(官兵)이 수 모라 셩하(城下)의 니거든 일시(一時)의 납함(納喊)고 싀포의 화약(火藥)을  수 우 더딘 후(後)의 화젼(火箭)의 블을 노흐라 고  아쟝(亞將) 인(四人)으로 보군(步軍) 오십(五十) 명(名)식 주어 각각(各各) 셩문(城門)의 나가 엄습(掩襲)라 니 졔쟝(諸將)이 텽녕(聽令)고 각각(各各) 신《진》디로 믈너가더라
 

 
110
각셜(却說) 각(各) 영(營) 쟝(將士) 셩하(城下)의 니러 운뎨(雲梯) 노코 셩(城)을 넘고져 더니 셩샹(城上)의셔 화젼(火箭)을 노화 운뎨(雲梯) 로며 적군(敵軍)이 면(四面)으로 나와 엄살(掩殺)니 군(軍士) 블에 샹(傷)야 마필(馬匹) 긔계(器械) 다 바리고 면(四面)으로 분산(分散)거 슌무듕군(巡撫中軍)이 퇴군(退軍)야 본딘(本陣)의 도라와 패잔군(敗殘軍)을 슈습(收拾)니 블의 샹(傷) 군(軍士) 여(百餘) 명(名)이라 각(各) 딘(陣)이 로 패(敗)매 다시 홀 이 업더라 이  됴뎡(朝廷)의셔 슌무듕군(巡撫中軍)이 로 패(敗)믈 드시고 슌무듕군(巡撫中軍)을 뎡(改定)시고 령변부로 졀도(節度使) 졔슈(除授)시고 뎡쥬목 뎡(改定)야 도적(盜賊)을 파(破)라 시니라 이  임신(壬申) 삼월(三月) 초슌(初旬)이라
 
111
슌듕영(巡中營) 샤슈군(射手軍)이 셩듕(城中)으로셔 도망(逃亡) 군(軍士) 자바 드리거 듕군(中軍)이 적졍을 엄문(嚴問)니 그 군(軍士) 고왈(告曰)
 
112
"쇼인(小人)은뎡쥬(定州)ː남면(南面)셩(百姓)으로 도적(盜賊)의 핍박(逼迫)을 닙어 군(軍士)의 츙수(充數)야 남문(南門)을 딕희엿더니 작일(昨日) 홈의 도망(逃亡)다가 복병(伏兵)의게 잡혀오니 명(命)을 (待)이다"
 
113
듕군(中軍)이 우문(又問) 왈(曰)
 
114
"셩듕(城中)의 군(軍士)와 량최(糧草) 언마나 며 적괴(賊魁) 등(等)이 무 계교(計巧) 더뇨"
 
115
군(軍士) 왈(對曰)
 
116
"경(景來) 도원(都元帥)되여 셔쟝(西將臺)예 잇고 군측(君則)은 모(謀士) 되여 븍쟝(北將臺)예 잇고 총각(總角)은 션봉(先鋒)이 되여 [잇고] 개쳔(价川) 니쟝군(李將軍)은 군(軍士)  셩(城) 밧긔 나와 호고져 즉 경(景來) 무 일을 의심(疑心)야 버히고  윤쟝군(尹將軍)은 제 아이 셩(城)을 너머 가 그 아비 리고 나오려 다가 긔(事機) 누셜(漏泄)야 버히고  군(軍士)  쵸(哨)로 쟝슈(將帥) 나식 주어 거리게 되 만일  쵸(哨)의  군(軍士)라도 도망(逃亡)면 다 죽이게 며 총각(總角)은 장뎡군(壯丁軍) 삼(三百) 뉵십여(六十餘) 명(名)을  날마다 조련(調練)며 니되 수삼(數三) 일(日) 간(間)의 어 딘(陣)을 겁틱(劫飭)다 오며 군량(軍糧)은 군(軍士)  명(名)의 벼  되와 보리 닷 되와 팟  되식 주고 군량(軍糧) 나문 거슨 계요 십여(十餘) 일(日)을 당(當) 오며 셩(城內) 인민(人民) 수(數) 남녀노쇼(男女老少) 합(合)여 쳔여(四千餘) 명(名)이 될 더이다"
 
117
듕군(中軍)이 툐(招辭) 바든 후(後)의 아직 딘듕(陣中)의 가도라 다 이  슌무듕군(巡撫中軍) 류효헌《원》(柳孝源)이 셩야도(星夜倍道)야 뎡쥬(定州)의 니러 셩디(城地) 피고져 야 긔(騎士)와 츙샤군(忠士軍)을 거리고 남문(南門) 밧 오(五) 리(里) 허(許)의 니러 남졔교 건너고져 더니 믄득 셩문(城門)이 열니며 일(一隊) 인매(人馬) 돌츌(突出)야 대딘(大陣)을 엄살(掩殺)며 대원구 년(連)야 두  노흐니 그 소 벽녁(霹靂) 고 텰환(鐵丸)이 딘젼(陣前) 십(十) 보(步) 허(許)의 러디니 슌무듕군(巡撫中軍)이 대경(大驚)야 즉시(卽時) 회군(回軍)니라 이  임신(壬申) 삼월(三月) 초(初) 구일(九日)이라
 
118
이 날 적당(賊黨)이 셩샹(城上)의 블을 난만(爛漫)히 혀고 일시(一時)의 납함(納喊)며 동문(東門)으로 나와 급(急)히 엄살(掩殺)거 박쳔군 슌듕군(巡中軍)을 보아 왈(曰)
 
119
"이 병법(兵法)의 남(南)을 티고 북(北)을  계(計巧)라 이제 도적(盜賊)이 동(東)으로 나와 작난니 반시 셔(西)흐로 나가 어 딘(陣)을 엄습(掩襲)가 노니 의심(疑心)이 업디 못다"
 
120
더니 홀연(忽然) 셔문(西門) 밧 오(五) 리(里) 허(許)의 화광(火光)이 튱텬(衝天)며 함셩(喊聲)이 대진(大震)거 박쳔군 급(急)히 군(軍士)로 탐문(探問)니 함죵(咸從) 딘(陣)이 도적(盜賊)의게 패(敗)다 거 군(郡守) 슌듕군(巡中軍)으로 더부러 회군(回軍)야 듕님(中林)의 니러 함죵부 만나 딘(陣)에 도라와 그 패(敗) 슈말(首末)을 무니함죵부 놀난 을 진뎡(鎭靜)야 왈(曰)
 
121
"거야(去夜) 삼경(三更)의 도적(盜賊)이 본딘(本陣) 뒤흐로 나와 군(軍士)의 의막을 향(向)야 화약(火藥)을 더져 블을 노코  여(百餘) 명(名) 도적(盜賊)이 젼면(前面)을 엄살(掩殺)니 군(軍士) 손을 미처 놀니디 못고 면(四面)으로 도망(逃亡)매 단신(單身)이 길《일》업서 과 창(槍)을 일코 명(命)을 보젼(保全)엿다"
 
122
거 박쳔군 왈(曰)
 
123
"이제 군(軍士) 면(四面)으로 허여져시니 즉시(卽時) 나아가 군(聚軍)고 아직 패(敗) 일을 대딘(大陣)에 보(報)티 말미 올타"
 
124
더라 함죵부 딘젼(陣前)의 나아가 보니 죽은 쟤(者) 칠십여(七十餘) 명(名)이오 샹(傷) 쟤(者) 여(百餘) 명(名)이라 분개(憤慨)믈 마디 아니더라 이에 패군(敗軍)을 슈습(收拾)야 딘(陣)을 옴겨 뫼 우 채(寨柵)을 셰우니라 이  우림《익》쟝(右翼將) 허항(許沆)이 슌듕영(巡中營)의 보(報)호
 
125
"이제 적셰(賊勢) 탐지(探知) 후(後)에 셩(城)을 파(破)미 올흘가 이다"
 
126
듕군(中軍)이 녕니(怜悧) 관군(官軍)으로 탐지(探知)라 더니 혹(或)이 니되
 
127
"니졍 니림은 본 셩(城內) 사이라 도적(盜賊)의 겁틱을 만나 셔문(西門) 븍문(北門)에 슈문쟝(守門將)이 되엿다"
 
128
거 듕군(中軍)이 즉시(卽時) 글을  군(軍士)로 야곰 니졍 니림 등(等)의게 보내니라 이  니졍 니림이 냥문(兩門)을 딕희더니 믄득  군(軍士) 봉셔(封書) 드리거 혀 보니 여시되
 
129
너도 아조(我朝) 셩(百姓)이라 비록 간적(奸賊)의 핍박(逼迫)을 닙어 문(門)을 딕희 여시나 너의 본(本) 이 아니라 그러나 셩(城)이 파(破) 날에 허다(許多) 인명(人命)이 검하경혼(劍下驚魂)이 될디니 일 응(內應)이 되야 도적(盜賊)을 진멸(盡滅) 후(後)의 너의 부모처(父母妻子) 안보(安保)고  공(功)을 표(表)리라
 
130
엿거 냥인(兩人)이 견필(見畢)에 일변(一邊) 놀나고 일변(一邊) 깃거 즉시(卽時) 답셔(答書) 써주니 군(軍士) 도라와 슌듕군(巡中軍)긔 드리거 견(開見)니 여시되
 
131
블의(不意)예 도적(盜賊)의 겁틱을 만나 적뉴(賊類)의 져시나 엇디 살고져 이 이리오 이러 치시믈 듯오니 이  당(當)야 응(內應)이 되야 명(命)을 봉(奉行)디니 후일(後日) 서로 샹고(詳考) 문셔(文書) 라 보내쇼셔
 
132
엿거슌듕군(巡中軍)이 졔쟝(諸將)으로 더부러 샹의(相議)야 문셔(文書) 지으되
 
133
셩(城)이 파(破) 후(後)의 여등(汝等)의 가쇽(家屬)을 살오며 냥인(兩人)의 공(功)을 듕(重)히 리라
 
134
야 보내니라 니졍 등(等)이 회셔(回書) 기리더니 군(軍士) 일봉셔(一封書) 드리거 냥인(兩人)이 보고 희(大喜)야 다시 회답(回答)호
 
135
응(內應)은 두 사이 못디라 셔븍(西北) 쟝졸(將卒)노 더부러 도모(圖謀) 후(後)의 등블노 호령(號令)을 삼으되 남(南)으로 혀거든 일시(一時)의 셩(城)을 넘게 쇼셔
 
136
엿거 각(各) 딘(陣)이 보기 다매 약속(約束)을 뎡(定)니라 허항(許沆)이 니졍의 응(內應)을 피더니 초경(初更) 의 등블이 셩샹(城上)의 으로 혓거 응(內應)이 분명(分明) 줄 알고 즉시(卽時) 함죵(咸從) 딘(陣)으로 후응(後應)을 삼고 군(軍士) 모라 셩하(城下)의 니러 운뎨(雲梯) 노코 셩(城)을 넘으려 더니 믄득 셩샹(城上)으로셔 시셕(矢石)이 비오 니 나아가디 못고 군(軍)을 도로혀니라 그 후(後)의 니되 니졍 등(等)이 셔븍(西北) 쟝(壯) 팔십(八十) 명(名)을 거리고 응(內應)이 되야 일을 (行)코져 다가 긔(事機) 누셜(漏泄)야 적괴(賊魁)의 버히미 되다 거 각(各) 영쟝(營將)이 일이 패루(敗漏)믈 (恨)더라 이  뎡쥬(定州)ː남면(南面)잇 주셔(注書) 한호운(韓浩運)이 도적(盜賊)의 웅거(雄據)믈 보며 튱분(忠憤)이 격발(激發)야 셩문(城門)의 나아가 대호(大呼) 왈(曰)
 
137
"나 남면(南面) 사 주셔(注書) 한호운(韓浩運)이러니 여등(汝等)의게 효유(曉諭) 말이 이시니 니 문(門)을 열나"
 
138
거 군(軍士) 급(急)히 경(景來)의게 보(報)대 경(景來)이 말을 듯고 즉시(卽時) 녕젼(令箭)을 보내여 문(門)을 여러 드리니 한주셰(韓注書) 경(景來) 보고 대즐(大叱) 왈(曰)
 
139
"무도(無道) 도적(盜賊)이 국은(國恩)의 망극(罔極)믈 모로고 외람(猥濫)히 텬위(天威) 거역(拒逆)니 네 머리 버혀 팔로(八路)의 효시(梟示)디라 네 의 븟그럽거든 스로 머리 버혀 멸족지화(滅族之禍) 면(免)라"
 
140
경(景來) 왈(曰)
 
141
"너 맛당히 버힐 거시로 동지의(同學之誼) 잇 고(故)로 아 죽이디 아닛니 날을 조차 부귀(富貴) 가지로 미 엇더뇨"
 
142
한주셰(韓注書) 더옥 대로(大怒) 매왈(罵曰)
 
143
"신(臣子) 되여 엇지 개  도적(盜賊)으로 더부러 좌셕(坐席)인 가지로 리오"
 
144
경(景來) 대로(大怒)야 원문(院門) 밧긔 내여 버히니 엇지 가련(可憐)티 아니리오 고(自古)로 튱신녈(忠臣烈士) 졀의(節義) 죽엇거니와 한주셔(韓注書)의 졀(節行)이  고인(古人)에 지지 아닌디라 이러므로 이 말이 나라 미니 샹(上)이 그 튱졀(忠節)을 아다이 너기샤 증직(贈職)시고  졔경욱(諸景彧)을 증직(贈職)샤 각각(各各) 그 손(子孫)을 듕(重)히 게 시니라 이  도적(盜賊)이 군(軍士) 모라 븍문(北門)으로 나오며 흑의(黑衣) 군(軍士) 알플 당(當)고 의(白衣) 군(軍士) 뒤흘 응(應)니 그 쉬(數) 쳔여(千餘) 명(名)이라 이  의병쟝(義兵將) 허항(許沆)의 군(軍士) 군량(軍糧)을 운뎐(運轉)려 야 포구(浦口)의 나아가 미처 도라오디 못엿더니 도적(盜賊)이 그 딘(陣)이 븨여시믈 보고 목(木柵)을 즛티고 허항(許沆)의 딘(陣)을 엄슬《습》(掩襲) 싀초(柴草)의 화약(火藥)을 려 딘듕(陣中)의 더디니 함죵(咸從) 딘(陣)이 그 형셰(形勢) 위급(危急)믈 보고 군(軍)을 모라 구완(救援) 즈음에 도적(盜賊)이  함죵(咸從) 딘(陣) 후면(後面)에 블을 노흐니 군(軍士) 미처 구(救)티 못니라 이 날 듕영(中營) 딘(陣)의셔 허항(許沆)의 딘(陣)이 위(危殆)믈 보고 급(急)히 츙샤군(忠士軍) 두 쵸(哨)와 샤슈군(射手軍)  쵸(哨) 보내여 구(救)라 고  일지군(一枝軍)으로 야곰 명고납함(鳴鼓納喊)고 남문(南門)의 니러 일시(一時)의 엄살(掩殺)며 슌무영(巡撫營)으로셔 마병(馬兵)과 츙샤군(忠士軍)을 보내여 구응(救應) 도적(盜賊)이 셔문(西門)으로 나와 함죵(咸從) 슌쳔(順川) 냥딘(兩陣)을 향(向)야 툥(銃)을 노흐니 슌듕군(巡中軍)이 급(急)히 나아가 구(救) 즁영(中營) 졔쟝(諸將)이 도적(盜賊)의 머리 버힌 거시 네히오 츙샤쟝(忠士將) 한익  도적(盜賊)의 머리 버혀 도라오니 적병(賊兵)이 대패(大敗)야 셩(城)으로 드러가니라 이날 홈의 허항(許沆)이 젹은 군(軍士)로 도적(盜賊)과 호다가 마내 도적(盜賊)의 창(槍)을 마자 죽으니 쟝졸(將卒)이 그 튱졀(忠節)을 못내 슬허더라 슌무듕군(巡撫中軍)이 허항(許沆)의 젼망(戰亡)믈 나라 장문(狀聞)니 샹(上)이 그 튱졀(忠節)을 어엿비 너기샤 통졔(統制使) 튜증(追贈)시고 졍려(旌閭)샤 그 공훈(功勲)을 표(表)시니라 이  슌영듕군(巡營中軍) 니경회 남산(南山)의 둔병(屯兵)니 후면(後面)이 극(極)히 험(險)디라 도적(盜賊)의 해(害) 바들가 두려 면(四面)의 목(木柵)을 셰우고 후면(後面)의 토셩(土城)을  듕군(中軍)이 친(親)히 셩(城)  곳의 가 군병(軍兵)을 위로(慰勞)니 군(軍士) 죽을 힘을 다야 삼일(三日) 만의 셩(城)을 일우니 놉기 일댱(一丈)이 남고 셩(城) 우 돌을 만히 뫼화 도적(盜賊)을 방비(防備)더라 슌듕군(巡中軍)이 슌무듕영(巡撫中營)의 밀통(密通) 포구(浦口)의 군량션(軍糧船)이 만히 다하시니 도적(盜賊)의 겁탈(劫奪)이 가외니 니 군(軍士) 보내여 딕희게 쇼셔
 
145
듕군(中軍)이 듯고 장 깃거 즉시(卽時) 군(軍士) 포구(浦口)의 보내여 군량(軍糧)을 운뎐(運轉)니라 이  새 안개 옥야 지쳑(咫尺)을 분변(分辨)티 못디라 슌무듕군(巡撫中軍)이 군듕(軍中)의 뎐령(傳令)호 금일(今日) 안개 몽농(朦朧)야 지쳑블변(咫尺不辨)니 반시 도적(盜賊)이 어늬 딘(陣)을 겁틱디라 각(各) 딘(陣)은 미리 쥰비(凖備)라 고 댱듕(帳中)의 안잣더니 믄득 동편(東便)의 화광(火光)이 튱텬(衝天)며 함셩(喊聲)이 대진(大震)거 슌듕군(巡中軍)이 대경(大驚)야 박쳔군슈로 더부러 군마(軍馬) 됴발(調發)야 풍우(風雨) 치 나아가니라 이 날 적쟝(賊將) 경(景來) 군(軍)을 거려 남문(南門)으로 나와 쥬필각(駐畢閣)의 복(埋伏)고 툥(銃)을 노하 왕(往來) 길흘 막고  적병(賊兵) 여(百餘) 명(名)이 대딘(大陣) 당보막(塘報幕)을 블 디고 싀살(弑殺)니 군(軍士) 블의 샹(傷)고 창(槍) 마자 죽은 쟤(者) 수십(數十) 인(人)이라 이  슌듕군(巡中軍)은 션봉(先鋒)이 되고 박쳔군슈 후응(後應)이 되야 군(軍士) 촉야 대딘(大陣)을 구(救) 비각(碑閣) 알 니니 도적(盜賊)이 갈 길흘 막디라 츙샤군(忠士軍)을 됴발(調發)야 도적(盜賊)을 싀살(弑殺)더니 함죵(咸從) 슌쳔(順天) 냥딘(兩陣)이  니러 쟝(四將)이 합녁(合力)야 적병(賊兵)을 믈니쳐 슌무영(巡撫營)을 구(救)고 급(急)히 도적(盜賊)의 도라갈 길흘 막아 급(急)히 즛티니 죽엄이 들 득고 피 흘너 내히 되엿더라 이 날 대딘(大陣)이 도적(盜賊)의 겁틱을 닙엇다가 도로혀 승젼(勝戰)고 본딘(本陣)의 도라와 우양(牛羊)을 자바 군(軍士) 호궤(犒饋)고 다시 셩(城) 틸 일을 의논(議論)더라 이에 삭쥬(朔州) 의병(義兵)으로 여곰 동문(東門) 밧긔 나아가 셩(城)을 코 굴함(堀陷)을 되 셩(城)을 향(向)야  드러가니 도적(盜賊)이 그 긔미(幾微) 알고 혀 셩(城)을 흔 후(後)의 셩(城)을 너머 틸가 의심(疑心)야 셩(城內)의  셩(城)을 니 놉기 셩(城)과 더라 이  임신(壬申) 월(四月)이라
 
146
굴함(堀陷)을  셩(城) 미 밋츠매 그 속의 화약(火藥)을 싸코 화승(火繩)을 박아 블을 다혓더니 십구(十九) 일(日) 오시(午時)의 우레  소 나며 셩(城)이 믄허디거 각(各) 딘(陣) 쟝졸(將卒)이 일시(一時)의 드러가니 살벌(殺伐) 소 텬디(天地) 진동(震動)더라
 

 
147
각셜(却說) 김견신(金見信) 안졍신 유혁 등(等)이 션봉(先鋒)이 되야 좌우(左右) 튱돌(衝突)니 도적(盜賊)의 머리 츄풍낙엽(秋風落葉) 더라 이  경(景來) 형셰(形勢) 위급(危急)야 졍(正)히 도망(逃亡)코져 더니유혁이 갈 길흘 막고  창(槍)으로 딜너 게 리쳐 그 머리 버혀 슌무영(巡撫營)의 드리니 듕군(中軍)이 대희(大喜)야 머리 함(函)의 너허 경(京師)로 보내니라 이  님형녹이 적쟝(賊將) 총각(總角)이 셔문(西門)으로 라나믈 보고 급(急)히 라가 지저 왈(曰)
 
148
"너 디 말고 니 항복(降服)라"
 
149
총각(總角)이 황겁(惶怯)야 걸(哀乞) 왈(曰)
 
150
"살려두시면 항(降)리이다"
 
151
형녹 왈(曰)
 
152
"네 창(槍)을 리고 항복(降服)야 죽기 면(免)라"
 
153
총각(總角)이 창(槍)을 리고 항(降)거 님형녹이 군(軍士) 호령(號令)야 결박(結縛)야 본딘(本陣)으로 도라오니라 이  의쥬(義州) 의병쟝(義兵將) 최실녑과 강계(江界) 송지염과 김계믁 등(等)이 븍문(北門)으로 즛텨 드러가 적병(賊兵)을 플  니 죽엄이 뫼 고 피 흘너 셩쳔(成川)더라 각(各) 영쟝(營將)이 적쟝(賊將) 총각(總角) 니대(履大) 군측(君則) 등(等)을 함거(檻車)의 시러 경(京師)로 보내고 여당(餘黨) 십오(十五) 셰(歲) 이상(以上)은 다 참(斬)니 그 쉬(數) 쳔여(千餘) 명(名)이라 슌무듕군(巡撫中軍)이 셩(城) 파(破) 연유(緣由) 나라 장문(狀聞)고 각(各) 영(營) 쟝졸(將卒)을 뫼화 우양(牛羊)을 자바 호궤(犒饋) 후(後)의 각각(各各) 오(隊伍) 졍졔(整齊)여 경(京師)로 도라오니 만셩인민(萬姓人民)이 뉘 아니 깃거리오 슌무영(巡撫營)의셔 적괴(賊魁) 등(等)을 문복 후(後)의 쳐참(處斬)니라
 
154
샹(上)이 공신(功臣)을 례(次例)로 봉쟉(封爵)시고 쟝졸(將卒)을 호궤(犒饋)고 젼망쟝(戰亡將士)의 가쇽(家屬)을 샹(賞賜)시고 팔도(八道)의 반포(頒布)샤 대샤(大赦)시니 이러므로 방(四方)이 태평(太平)더라
【원문】신미록(辛未錄)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고대소설〕
▪ 분류 : 고전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5
- 전체 순위 : 3586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133 위 / 14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신미록(辛未錄) [제목]
 
  1861년 [발표]
 
  고대 소설(古代小說) [분류]
 
◈ 참조
  1811년
 
  1812년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소설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 신미록(辛未錄)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8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