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 ◈
카탈로그   본문  
이익(李瀷)
조선 후기에 이익(李瀷)이 지은 전(傳). 작자의 문집인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 권68에 실려 있다. 중국 진(晉)나라 말기 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의 「의고(擬古)」 팔운시(八韻詩) 가운데에서 ‘동방일사(東方一士)’라는 넉자를 떼어서, 그것을 인격화한 우언(寓言)이다.
1
東方一士傳 (동방일사전)
2
- 李瀷 (이익)
 
 
3
東方一士者 (동방일사자) :  <동방일사>란 자는
4
無名闕氏 (무명궐씨) :  이름도 없고 성씨도 없어서
5
不知謂何人 (불지위하인) :  어떤 사람인가를 알 수 없고
6
但憑陶淵明八韻詩 (단빙도연명팔운시) :  다만 도연명의 팔운시에 의하여
7
知有其人 (지유기인) :  그러한 사람이 있었음을 알았을 뿐이다
8
蓋劉宋義煕間隱居東方者也 (개류송의희간은거동방자야) :  그는 대체로 유송 의희년 사이의 사람으로서 동방에 은거한 사람이었다
9
是時淵明自彭澤棄官歸 (시시연명자팽택기관귀) :  이때 연명이 평택으로부터 벼슬을 버리고 돌아올 때
10
聞士之風而悅之 (문사지풍이열지) :  그의 소문을 듣고 기뻐하여
11
亟往從之 (극왕종지) :  곧 그를 찾아갔다
12
靑松挾路 (청송협로) :  그 곳은 푸른 솔이 길 양편에 섰고
13
白雲宿檐 (백운숙첨) :  흰 구름은 처마 끝에 깊었는데
14
地則遠矣 (지즉원의) :  그 경지는 속세와 거리가 멀었다
15
衣弊不完 (의폐불완) :  가난하여 옷은 헤진 것을 입고
16
三旬而九食 (삼순이구식) :  밥은 한 달에 아홉 번 밖에 먹지 못하였으며
17
十年而一冠 (십년이일관) :  갓 하나도 십년 동안을 썼다
18
辛且苦如此 (신차고여차) :  그는 간군하고 괴로움이 이렇게 심했으나
19
常有好顔 (상유호안) :  늘 좋은 얼굴을 지녔으며
20
樂焉而忘貧 (악언이망빈) :  이를 도리어 즐겁게 행각하여 가난을 잊곤 했다
21
知淵明故來之意 (지연명고래지의) :  그는 연명이 자기를 찾아온 뜻이 깊음을 짐작하고
22
取琴而鼔之 (취금이고지) :  거문고를 이끌어 타며
23
爲別鶴孤鸞之操 (위별학고란지조) :  <별학>과 <고란> 두 곡조를 탔으며
24
哀怨之辭也 (애원지사야) :  이는 애원을 표현한 곡조였다
25
淵明遂有周旋歲寒之願 (연명수유주선세한지원) :  연명은 드디어 그와 함께 막역한 친구를 맺었다
26
微此後人何從而窺其淺深 (미차후인하종이규기천심) :  이런 일이 없다면 뒷사람이 무엇으로써 그들의 얕고 깊음을 살필 수 있겠는가
27
夫士生天下 (부사생천하) :  대체 선비가 이 세상에 나서
28
遭時不幸 (조시불행) :  또 불행한 때를 만나서
29
避人避世 (피인피세) :  속세의 사람과 세상을 피하기 위해
30
與鳥獸同羣 (여조수동군) :  새와 짐승과 더불어 때를 같이 하여
31
埋沒而無稱者何限 (매몰이무칭자하한) :  그의 이름이 파묻펴서 일컫지 못한 자가 얼마이리오
32
感以爲記 (감이위기) :  느낌이 있어 기록에 남긴다.
【원문】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고대소설〕
▪ 분류 : 고전 소설
▪ 최근 3개월 조회수 : 2
- 전체 순위 : 7185 위 (5 등급)
- 분류 순위 : 144 위 / 14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동방일사전 [제목]
 
  이익(李瀷) [저자]
 
  고대 소설(古代小說)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소설 카탈로그   본문   한글 
◈ 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12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