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다음 인도의 如意珠[여의주] 말씀을 해야 하겠지마는, 장황할 테니까 다른 기회로 미루고, 뛰어가 서쪽 나라의 화수분을 살피기로 하겠읍니다. 먼저 유명한 北歐[북구]신화에 나오는 화수분 절구의 이야기를 대강 소개할 것 같으면, 芬蘭[분란]의 고대 詩篇[시편] 〈칼레발라(Kalevala)〉에,
3
천지가 開闢[개벽]할 때에 자연의 딸에 루온노달이라는 여성이 있어서 風[풍]과 潮[조]에 惑[혹]하여 아이를 배어 最初人[최초인] 와이나모이넨(Wainamoinen)을 낳았는데, 와이나모이넨이 장가를 들새 어머니의 권하는 말대로 포욜라(Poyola)라는 女人國[여인국]에 가서 그 왕녀를 달라고 한즉, 여왕 루트리가 삼포(Sampo)라는 절구를 가져오지 아니하면 딸을 주지 않겠노라 하였다.
4
이 절구는 「一[일]일에는 곡물, 二[이]일에는 鹽[염], 三[삼]일에는 金[금]」을 끌어내는 화수분인데, 이것은 하늘 뚜껑을 만든 대장장이(鍛工[단공]) 일마리넨(Ilmarinen)만이 능히 만드는 것이므로, 와이나모이넨이 고향으로 돌아와서 일마리넨에게 부탁하여 화수분 절구를 만들어서 포욜라에게 보내니, 이때부터 루트리가 이 절구를 秘藏[비장]하고 남에게 주지 아니하여, 이 때문에 허다한 파란이 일어났다.
5
하는 것입니다. 이 흥미 있는 전설은 문화적으로 미묘한 근거가 있으리라 하여, 허다한 학자의 연구 제목이 되고, 도네르(Donner) 씨와 같은 이는 〈삼포의 神話[신화]〉(Der Mythus von Sampo)라는 單行[단행]하는 책자를 저술하여, 그 原義[원의]를 闡明[천명]하기에 힘쓴 일도 있으며, 삼포의 語義[어의]에 관하여도 여러 가지 탐색을 더하여 랭 씨는 그 〈풍습과 신화〉라는 저술 중에 말하기를, 삼포는 「좋은 물건의 샘」을 의미하는 西藏語[서장어]에서 나온 것 아니면, 혹시 「손매」를 의미하는 瑞典語[서전어] Sampo 하고 연락이 있으리라고 한 것이 있읍니다.
|
|
|
|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
글쓰기
】
〔설화〕
|
|
|
▪ 최근 3개월 조회수 :
5
|
- 전체 순위 : 2487 위 (3 등급)
|
- 분류 순위 : 297 위 / 1245 작품
|
|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
▣ 참조 지식지도
|
▣ 기본 정보
|
|
|
◈ 기본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