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漢江[한강] 건너 六臣墓[육신묘] 가는 길에 ‘아차고개’라는 조고마한 고개 있다. 이 名稱[명칭]의 由來[유래]는 李朝[이조] 明宗[명종] 때 神卜[신복]으로 著名[저명]하였든 洪繼寬[홍계관]의 이야기에 始作[시작]된다. 그가 스사로 自己[자기]의 命數[명수]를 計算[계산]하야 某日[모일]에 橫死[횡사]할 줄 알고 死中求生之道[사중구생지도]를 찾으니, 龍床[용상] 알에 숨어 있는 수밖에 없는지라, 임금께 알외여 許諾[허락]을 얻고 그 날 龍床[용상] 알에 隱身[은신]하였든이 마츰 쥐가 한 마리 마당으로 지나감으로 임금께서 몇 마리 지나갔나 占[점] 처보라 하였다. 繼寬[계관]이 세 마리라 對答[대답]함으로 임금은 그의 妄言[망언]을 怒[노]하야 刑官[형관]을 命[명]하야 斬[참]하라 하였다. 繼寬[계관]이 堂峴[당현] 南[남]에 있는 沙江邊[사강변] 刑場[형장]에 일으러 一食頃[일식경]만 있으면 살 길이 있다 哀願[애원]하였다. 임금께서 그를 보내고 그 쥐를 잡어 배를 갈으니, 새끼 두마리가 들어 있어 大驚[대경]하야 中使[중사]를 命[명]하야 刑[형]을 中止[중지]시키게 하였다. 그렇나 時刻[시각]은 임의 늦어, 死刑[사형]을 執行[집행]하였음으로 ‘아차’하고 임금께서 슬어하지 않었다. 이리하야 이 刑場[형장]을 ‘아차고개’라 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