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괴미인(怪美人) 장희빈(張禧嬪) ◈
카탈로그   본문  
차상찬
1
괴미인(怪美人) 장희빈(張禧嬪)
2
— 肅宗朝 宮中 哀話[숙종조 궁중 애화]
 
 
3
때는 바로 이조 근대에 영특하고 사납기로 유명하던 숙종대왕(肅宗大王) 시대이다. 꽃이 피고 새가 노래하는 어느 해 봄날에 숙종대왕은 여러 근신들과 같이 창경궁 비원(昌慶宮 秘苑)에서 꽃구경을 하시고 이어서 원중에 백화연(百花宴)을 열었다.
 
4
당시 왕족 중에 제일 인물 잘나고 총애를 많이 받는 동평군 이항(東平君 李杭—仁祖의 子 崇善君 澂의 子)을 위시하여 여러 왕자 왕손과 만조백관이 다 모인 것은 물론이고 후궁의 삼천 궁녀들도 한 사람 빠지지 않고 모두 참례하였다. 요량한 풍류 소리는 태평의 가곡을 화답하고 가득한 금옥의 술잔은 성수의 만세를 봉축하였다. 꽃향기와 주흥에 도취한 숙종대왕은 여러 궁녀들을 돌아보시고 흔연히 웃으시며 말씀하되 오늘의 연회는 특별히 꽃구경을 하는 연회이니 너희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꽃 이야기를 한마디씩 하되 특히 나와 같은 꽃이 무슨 꽃인 것을 가르쳐 말하라. 만일에 그 말이 내 마음에 맞게 된다면 그 사람은 특별히 후한 상을 주리라 하셨다. 이 말을 들은 여러 궁녀들은 제각기 왕께 곱게 뵈고 상을 타려고 한 사람씩 두 사람씩 앞을 다투어 나와서 꽃 이야기를 하였다. 그 이야기 중에는 물론 별의별 꽃 이야기가 다 나왔다. 혹은 성주(聖主)께서 만인에게 은택을 입히시니 여러 만인의 옷이 되는 주라꽃(木棉花)과 같다는 사람도 있었고 혹은 귀가 왕위에 계시니 달 속에 계수나무와 같다는 사람도 있었고 성수 무궁하시니 무궁화(無窮花)와 같다는 사람도 있었고 또는 풍류를 좋아하시니 있었고 홍도 벽도 삼색도(紅桃 碧桃 三色桃)와도 같다는 사람도 있었고 심지어 성씨가 이씨이니 이화(梨花)와 같다는 사람도 있었다. 이와 같이 여러 사람들이 모두 나와서 말을 하되 오직 말석에 있는 궁녀 한 사람이 나오지 않고 침묵하고 있을 뿐이였다. 왕이 괴이하게 생각하시고 그 궁녀를 불러 어전에 가까이 오라 하시고 한번 살펴보시니 그는 방년이 겨우 이팔이 될락 말락 한데 자색이 천하에 절륜하여 구름같이 고운머리는 옛날 고구려(高句麗)의 관나(貫那)—中川王 때의 宮女이니 얼굴이 미인이고 머리털이 九尺이나 되었다—와 같고 요염한 태도는 고려의 연쌍비(高麗 燕雙飛)가 갱생한 듯하며 부용 같은 얼굴 버들 같은 눈썹 추수 같이 밝은 눈 자개 같이 고운 이는 지나의 왕소군(王昭君)이나 양귀비(楊貴妃)도 눈물을 흘릴 만하였다.
 
5
대왕은 한 번 보시매 정신이 황홀하여 혼자 생각하기를 우리 후궁에 저러한 미인이 있는 것을 어찌 하여 이때가지 몰랐나 하고 친히 성명을 물으시니 그는 군관 장희재(軍官 張希載)의 누이 장궁인(張宮人)이었다. 왕은 희색이 만면하여 다시 장씨를 보시고 물으시되 여러 궁녀들이 모두 꽃 이야기를 하는데 유독 너 한 사람만 아무 이야기도 없으니 그것이 무슨 까닭이냐고 하셨다. 장씨는 머리를 숙이고 구슬 같은 목소리로 천천히 아뢰우되
 
6
『아무리 대전(大殿)께옵서 꽃 이야기를 하라신 어명이 계시오나 존엄하신 대전을 감히 꽃에 비하여 말씀하기 황송하와 그저 잠자코 있었을 뿐이올시다……』
 
7
라고 하니 상이 더욱 기뜩히 여기시고 다시 말씀하되 너의 말이 기뜩은 하나 오늘은 내가 이미 허락한 터이니 조금도 어렵게 생각지 말고 말을 하라고 하셨다. 장씨는 그제야 아뢰오되
 
8
『대전께옵서는 사람 중에 왕이시고 모란은 꽃 중에 왕이온즉 대전을 꽃에 비하온다면 모란과 같습니다……」
 
9
라고 하였다. 왕은 그 말을 크게 기뜩히 여겨 특히 후상을 주시고 늙은 여관을 명하여 홍도화 한 가지를 꺾어다가 장씨의 머리 위에 꽂아 주니 일반 궁녀들이 모두 영광스럽게 생각하고 그 뒤로부터 장씨의 이름이 궁내 궁외에 가득하여 삼천의 총애는 장씨 한 몸으로 집중되었다.
 
10
그때 숙종대왕의 춘추는 三十에 가차우셨으나 전 왕후 김씨(仁敬王后) 몸에도 아무 소생이 없었고 계후 민씨(仁顯王后 閔氏)도 가례를 치른지 여러 해가 되어도 또한 자녀간 생산을 못하니 효종대왕(孝宗大王) 이래 삼대독자이신 숙종대왕은 그 슬하의 적막하신 것을 항상 느끼시던 중 더우기 연로하신 대왕대비(大妃—顯宗妃 明聖王后 趙氏)가 주소로 크게 걱정을 하시니 민씨는 어심에 불안하여 숙종께 후궁을 다시 간택하시기를 권하였다. 그러나 숙종께서는 민후가 아직 연령이 젊으시므로 처음에는 듣지 않았으나 민후가 극력으로 권할 뿐 아니라 대비도 또한 희망하시는 기색이 있으므로 숙종도 또한 어찌할 수 없이 후궁 간택할 전교를 내리시니 민후는 원래에 궁인 장씨의 자색이 절특하고 성질이 영리한 것을 잘 아는 외에 평소에 숙종이 또한 그를 사랑하시는 것을 짐작하고 후궁으로 추천하였다. 그때에 왕대비와 정명옹주(이는 宣祖의 따님으로 永安尉 洪柱臣에게 出嫁한 분이니 그때 나이 七十餘세다)는 장씨의 얼굴이 너무 어여쁘고 부덕이 적은 것을 염려하여 중지하기를 간절히 권하였으나 민씨가 듣지 않으므로 결국 장씨가 간택에 뽑히게 되니 이는 장씨의 일가 행운인 동시에 뒷날 민씨가 쫓겨나갈 장본이 된 것이었다. 이로부터 장씨의 은총은 나날이 두터워져서 숙종 十二년 병인(丙寅)년에는 단번에 뛰어 숙의(淑儀)의 봉작을 받고 노비 일백구(奴婢 一百口) 획급의 처분을 받으며 내외친척이 다 상당한 벼슬을 하게 되니 그의 세력이 국내에 크게 떨치고 그에 추세부세하는 무리들이 또한 적지 않았다. (張氏의 母는 본래 趙師錫의 집 針母였던 까닭에 丁卯年에 趙氏가 右相이 되었고 또 正言 韓聖佑는 張氏의 封爵 反對 上疏를 하다가 벼슬이 갈리었다).
 
11
그러다가 숙종 十四년 무진 구월 二十八日 유시(酉時)에 장씨가 왕자를 탄생하니 이는 뒷날에 경종대왕(景宗大王)으로 왕가에 있어서는 그만한 경사가 없는 동시 장씨 문중에 또한 큰 광영이었다. 그로 인하여 장씨에 대한 숙종의 총애가 더욱 깊어지고 따라서 장씨의 세력도 더 커질 것은 물론이다. 장씨의 사친은 어명으로 궁중 출입을 무상하게 하였는데 하루는 장씨의 모친이 모친이 팔인승 옥교(屋轎)를 타고 건양문(建陽門) 안으로 통과하였더니 지평(持平) 벼슬로 있는 이익수(李益壽는 西人派)가 그것을 분개하여 그 옥교를 따려 부시어 불살르고 그 하인들을 잡아다가 난타를 하니 숙종이 크게 노하여 내수사(內需司)에 명하여 금리(禁吏) 두 사람을 형살하니 국내에 여론이 자못 비등하였다.
 
12
× ×
 
13
심상한 촌부라도 자기가 세력만 있으면 교만해지는 것이 상례이거든 하물며 재기와 지모 정략을 겸유한 출세의 미인 장희빈(張禧嬪)이랴. 그는 후에 있을 때에는 극히 온화 유순하였으나 급기야 지위와 세력을 얻고 보니 여러 가지의 숨었던 야심이 발로되어 민비 일파의 구세력을 한 발로 차 버리고 자기 세력을 확장하려고 고심하였다. 더군다나 전날에 서인과 이익수가 자기 모친이 탄 옥교를 부셔 태우고 하인까지 난타 모욕한 것은 평생에 절치부심하는 한 되는 일로 그것을 보복하는 데는 무엇보다도 전해 경신(庚申)년 옥사 이후로 대 몰락을 당하여 불만불평을 가지고 있는 서인과의 구적(仇敵)되는 재야당 남인파(在野堂 南人派)를 결탁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간파하고 먼저 남인과 결련이 많은 동평군 이항(東平君 李杭)에게 추파를 보내고 또 자기의 올애비 장희재(張希載)로 중간에 알선하여 일대 활극을 연출하게 하였으니 그 제일막은 왕자의 호(號) 정하는 운동이요 제이막은 민비의 폐출 운동이었다. 이 연극의 어리광대 노릇을 한 이는 물론 숙종대왕이다. 기사년(己巳年) 정월 초십일이다. 이 연극의 푸로그람을 맡은 숙종대왕은 여러 대신과 기타 백관을 부르시고 왕자의 정호 문제를 꺼내 말씀한 다음에 이어 말씀하기를 비록 재신 고관 중에서라도 이 일에 이의를 가진 사람이 있으면 즉시 벼슬을 사직하고 가는 것이 옳겠다고까지 하시니 이것은 물론 장씨와 남인과의 책동으로 당시 정권을 잡고 있는 서인파에 대한 한 개의 큰 폭력탄이었다. 이 운동이 성공되면 남인의 세력이 크게 확대되어 서인이 경신년 옥사의 보복을 받는 동시 서인을 배경으로 한 민비의 지위가 따라 위태할 것은 명백한 것이다. 이것을 미리 짐작한 서인은 원자의 정호를 반대하는 것보다 자기 세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반대ㅎ지 아니ㅎ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영상 김수흥(領相 金壽興)을 위시하여 이판 남용익(吏判 南龍翼), 호판 유상운(戶判 柳尙運), 병판 윤지원(兵判 尹趾完), 공판 심재(工判 沈梓), 대간 최규서(大諫 崔奎瑞) 등 서인파의 거두들은 숙종의 엄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히 반대를 하였으나 결국 아무 효과도 얻지 못하고 그 달 十四日에 예조의 장계에 의하여 왕자를 원자(元子)로 정호할 일을 전교하시고 동 十六日에는 정식으로 왕자를 원자로 봉하고 또 장씨는 희빈(禧嬪)으로 봉하였다.
 
14
그러나 당시 서인의 일파는 일향 불만한 생각을 가지고 그 해 二月에는 송시열(宋時烈 尤庵)이 또 원자의 봉작 시기가 아직 이르다는 상소를 하니 때는 벌써 왕자를 원자로 봉한 지 이미 일 개월을 지낸 지라 숙종은 말씀하기를 원자를 봉한 이상에는 이미 군신의 분위가 정해진 터인데 그래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소를 하는 것은 필경 세자에 대한 불만을 가진 것인즉 그대로 용서하여 둘 수 없다 하시고 친히 희정전(熙政殿)에 임어하사 다시 제신을 불러 송시열의 상소한 내의를 하문하시니 때에 남인파(南人派) 우부승지 이현기(右副承旨 李玄紀), 교리 남치훈(校理 而致黨), 동부승지 윤빈(同副承旨 尹彬) 등이 그 소장 중에 잘못된 점을 지적하고 또한 전날에 송시열이 일개 사사일로 윤증(尹拯)과 분렬하여 조야의 분쟁을 일으킨 일을 책론하니 숙종이 크게 노하여 즉시에 송시열을 제수도(濟州島)로 정배 보내고 영상 김수흥을 파직하고 그 외 이사명(李師命), 이익(李翊), 김익훈(金益勳), 이순명(李順命), 김만중(金萬重) 등을 멀리 귀양 보내고 남인과 목래선(睦來善) 김덕원(金德遠)을 특배하여 좌우상(左右相)을 삼고 목창명(睦昌明) 권유(權愈) 등은 승지(承旨)를 제수하고 경신년에 옥사한 사람을 신원하며 당시에 소위 보사공신(保社功臣)이었던 광성부원군 김만기(光城府院君 金萬基), 청성부원군 김석주(淸城府院君 金錫胄) 등의 관작을 추탈하니 정국은 일시에 큰 변동이 생겨서 여러 해 동안 억울한 한을 품던 남인들이 다시 정권을 잡고 서인은 일망타진으로 몰락의 비운을 당하였다.
 
15
× ×
 
16
이와 같이 장씨의 소생자인 왕자가 세자가 되고 서인의 세력이 일패도지하게 됨에 따라 크게 공포를 느끼게 된 이는 민비이니 원래 서인의 거두 병판 민유중(兵判 閔維重)의 둘째 딸이요 동춘 송준길의 외손녀(同春 宋俊吉 外孫女)로 청성 김석주가 중매하여 봉후한 관계로 서인과는 운명을 같이 할 지위에 있었다. 처음에는 민비가 장씨를 후궁으로 천거하였으나 급기야 장씨가 숙종께 특총을 받게 되니 진소위 시앗에는 돌부처도 돌아 앉는다고 아무리 점잖고 덕있는 민비일찌라도 자연 질투의 마음이 생기지 않을 수 없었다. 병인년에 장씨가 숙의(淑儀)로 승격될 때에는 몽사(夢事)를 칭탁하고 숙종께 여쭙기를
 
17
『선왕과 선후께서 친히 말씀하시되 내전과 김귀인(金貴人)은 복록이 길고, 또 자손의 복이 선조대왕 같이 많으나 장씨는 팔자에 자손이 없을 뿐 아니라 또한 복이 없어서 만일 그가 궁중에 오래 있게 된다면 반드시 경신년에 옥사한 사람들의 여당과 결탁하여 국가에 큰 화를 미치리라……』
 
18
하였다. 하고 또 왕자를 탄생하였을 때에는 미리 여모(女帽)를 지어 두었다가 남자가 난 것을 보고는 나는 여자를 날 줄 알았더니 뜻밖에 남자를 낳았다 하고 또 한 번은 상께 여쭈우되 장씨는 원래 전생에서 요사스러운 짐승으로 태어났다가 주상께 잡혀 죽었던 바 그것을 보복하기 위하여 다시 태어난 것인즉 반드시 주상을 해칠 것이라고도 하고 또 장씨는 팔자에 자식이 없는 터인즉 아무리 원자를 봉한다하더라도 헛수고만 할 뿐이라고도 하였다.
 
19
이러한 말이 날 때마다 숙종은 민비를 좋지 않게 생각하시던 차 하루는 숙종께서 희빈의 궁으로 들어가신 즉 내인의 집에서 기르던 개(犬) 한 마리가 뜰에서 피를 토하고 자빠졌는 지라 상이 괴이하게 생각하시고 장씨에게 물은 즉 장씨는 아무 말도 아니하고 잠잠히 있다가 눈물이 글썽글썽하며 여쭈우되 주상계서는 신첩의 천한 목숨을 사랑하시와 하루라도 속히 문밖으로 내어 보내어 자유의 생활을 하게 하여 주옵소서 하니, 숙종은 더욱 의심하시고 자세히 물으신즉 장씨는 대답하기를 오늘에 중궁 전하께옵서 음식을 보내시었는데 음식의 빛이 너무 이상하기에 의심이 나서 먹지를 않고 시험으로 개를 주었더니 저와 같이 죽었읍니다…… 오늘은 다행히 천은으로 그것을 발견하고 죽지는 않았사오나 만일에 뒷날에 또 그러한 일이 있다면 신첩은 남이 죽는 줄도 모르게 죽게 되겠사오니 아니 위험하오며 가련ㅎ지 않겠읍니까…… 하니 숙종은 장씨의 말을 측은하게 생각하는 동시에 민씨를 천고의 죄인으로 생각하셨다. 그러다가 기사(己巳)년 四月 二十三日— 민비의 탄일을 당하여 민궁에서 대전과 장씨에게 탄연 음식을 진상하게 되매 전날 독약 사건에 놀래인 장씨는 이번에도 또한 그러한 위험한 일이 있을까 두려워하여 상께 그 음식 진어의 주의하실 일을 말하고 그 외에도 민비에게 불리한 말을 많이 하니 상이 그 말을 고지 들으시고 그 날에 진상한 단자와 백관의 아래 단자를 전부 퇴각 시키시고 또 진상한 음식은 후원에다 파묻은 뒤에 그것을 가지고 온 내시 주빈(朱彬)을 내옥에 구수키고 인하여 대신과 종이품(從二品) 이상을 불러서 어전에 세우시고 민비의 폐출할 일을 선언하시고 또 후의 죄상을 들어서 폐출하는 비망기(備忘記)를 내리시니 좌승지 이시만(左承旨 李耆晩), 수찬 이만원(修饌 李萬元), 대신 이상진(大臣 李相眞) 등이 힘써 간하다가 파직 혹은 정배를 당하고 응교 박태보(應校 朴泰輔), 판서 오두인(判書 吳斗寅), 참판 이세화(參判 李世華) 등 八十여 인은 반대 상소를 하다가 죄를 입어 형살 또는 유배를 당하고 전일 세자 책봉할 때에 반대를 하다가 귀양 간 송시열, 김수흥, 이사명 등은 사약을 내리고 민씨의 족속 중에 유관작한 사람은 모두 파직을 시키며 五月 四日에는 민비를 안국동 본집 (소위 감고당—지금 普專校 앞집)으로 축출하여 유폐를 시키고 공상미(供上米)와 내전 수라 진공까지 정지시키는 동시 장씨는 승작하여 왕비로 봉하고 그의 부친 장형(張炯)은 옥산 부원군(玉山 府院君), 모친 고씨(高氏)는 부부인(府夫人)을 봉하고 그의 올아비 장희재는 훈련대장을 봉하니 당시 정권은 거의 장씨의 수중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20
× ×
 
21
장씨는 일개 후궁의 천한 몸으로 이와 같이 일조에 왕후의 귀위를 차지하고 일문이 모두 극도의 부귀영화를 누리게 되어 그 교사 횡포함이 날로 늘어갈 것은 물론이다. 안으로는 민비파의 세력을 일소하기 위하여 평소 민씨와 접근하던 사람이면 심지어 궁인 액졸까지 다 쫓아내고 심한 때에는 자객을 보내어 유폐된 민비를 수차 암살하려 하고 또 숙종의 총애하는 최숙빈(崔淑嬪—英宗의 親母)을 사형 학대(私刑 虐待)하며 밖으로는 남인파와 결당하여 서인파라고는 정계에 감히 그림자도 내놓지 못하게 하니 숙종도 점차 장씨를 싫여 하는 생각이 나고 따라서 전날에 민비를 폐출한 것을 후회하는 생각이 나게 되었다.
 
22
이때 서인파 중에는 김춘택(金春澤—號 北軒)이란 사람이 있으니 그는 재기발발하고 음모 잘하기로 유명한 사람이다. 기사(己巳)년 이래로 일패도지한 서인 세력을 항상 만회하려고 서인파 중요 인물과 책동을 하는 중 자기는 누구보다도 선두에 나아서서 여러 가지로 암중 활약을 하였다. 먼저는 글로 창선감의록(倡善感義錄)이라는 소설(小說)을 지어 궁중에 흘러 들어가게 하여 숙종의 마음을 감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또 「장다리」 민요(民謠)—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철이다— 미나리는 민씨 장다리는 장씨를 두고 한 말이니 민씨는 사철 잘 되나 장씨는 일시 뿐이란 뜻이다—를 지어 민간에 퍼치어서 인심을 수습하며 또 일방으로 한중혁(韓重爀), 강만태(康晩泰) 등과 금전을 운동하여 수천금으로 궁인의 누이를 사서 첩을 삼고 뇌물로 장희재의 처첩을 매수하여 희재의 처 「자근 아기」는 간통까지 하고 첩 숙성(淑正)도 또한 밀접한 관계를 맺어 궁중과 장씨의 비밀을 탐정하였다. 그러다가 숙종 二十년 갑술(甲戌)에 와서 그들의 음모가 결국 성공되어 (이 음모를 하던 중 일시 발각되어 춘택이의 여러 사람이 금부에 가치어서 처형까지 하게 되었다가 요행히 면한 일이 있었다) 숙종이 태도를 일변하여 남인파를 정계에서 일체 몰아내며 그해 九月에는 민비를 다시 복위시키고 장씨는 희빈으로 강봉하고 장씨의 일족을 삭탈관직도 하고 또 유도 정배를 하게 되니 일시 부귀영화를 자랑하던 장씨의 세력도 그만 일장춘몽으로 화하고 남인파가 잡았던 정권은 다시 서인파로 돌아가고 말았다.
 
23
장씨는 자기의 죄과는 어찌 되었던지 자기의 소생아들이 이미 일국의 세자가 되었고 자기도 또한 일국의 왕후까지 되었는데 일조에 폐위삭작을 당할 뿐 아니라 자기의 부모까지 삭탈관직을 하고 아우 희재는 멀리 정배를 보내니 그 원한이야 어찌 형언할 수 있으랴. 더구나 자기의 정적인 민비가 자기의 아들까지 차지하고 소위 소생모 자기와는 얼굴도 서로 대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통절한 일이었다.
 
24
× ×
 
25
그리하여 비록 심궁에 혼자 퇴축을 당하고 있으나 다시 정변을 일으키려고 주야 고심하여 밖으로는 남인파의 잔당과 결탁하고 안으로는 여러 가지의 음해 저주(呪咀—방예)를 하여 민씨와 서인파를 해치고저 하였다. 그러다가 숙종 二十七년 신사(辛巳) 八月에 민비가 담종(痰腫) 병으로 승하하니 숙종은 그가 평생에 일점혈육이 없고 또 전날 폐비되었을 때에 무한한 고생하던 일을 생각하매 자기의 잘못한 것도 후회되고 민씨의 불쌍한 생각이 더욱 간절하였다. 그러던 차 주사야몽(晝思夜夢)이라 할까 하루밤은 숙종이 꿈을 꾼즉 전날에 죽은 내시 하나가 와서 엎디며 아뢰기를 궁중에 요물이 많아서 중전께서 화를 입으셨고 장차 전하와 세자도 이롭지 못하리라 하며 장씨의 있는 취선궁(就善宮)을 손으로 가리키고 가며 그 뒤에 또 꿈을 꾼즉 민비가 몸에 피투성이를 하고 와서 하는 말이 신첩의 죽은 것은 본병이 아니요 정씨가 방예(咀呪)를 한 탓이라 하고 인흘불견하니 숙종이 깜짝 놀라 깨어 크게 괴이하게 여기고 즉시에 미행으로 장씨의 궁으로 가서 본즉 밤은 벌써 깊었는데 장씨가 모든 시녀와 장희재의 첩 숙정과 같이 예방하던 제구를 수습하고 있었다.
 
26
그것은 물론 장씨가 평소에 민씨에 대하여 방예하던 것으로 민씨 죽은 뒤에 그것을 없이 하는 것이었다. 숙종은 별안간에 문을 열고 그것을 하문하니 일동이 경황망조하여 혹은 세자께서 마마(疫病)하실 때에 축원하던 것이라 하고 혹은 중궁마마 환후의 평복하시기를 기도하던 것이라고도 하여 대답이 불일하니 평소에도 꿈을 잘 믿던 숙종은 그 몽사를 더욱 신기하게 생각하는 동시에 장씨를 더욱 괴악하게 생각하여 당장에 장지에게 호령하시되 국모를 살해한 요망한 역도라 하고 九月 二十四日에 전교로 장씨의 죄악을 열거하여 엄약 자결ㅎ게 하고 그의 올아비 희재와 궁녀 축생(丑生), 설향(雪香) 등 수십 명을 모두 사형에 처하니 이른 바 신사 무고 사건(辛巳 誣告)이라 하는 것이요 장다리 노래의 주인공인 당대 미인 장씨의 일장 비극도 이에 막을 닫치게 되었다. (끝)
【원문】괴미인(怪美人) 장희빈(張禧嬪)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야담〕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24
- 전체 순위 : 1575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229 위 / 165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괴미인 장희빈 [제목]
 
  차상찬(車相瓚) [저자]
 
  야담(野談)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괴미인(怪美人) 장희빈(張禧嬪)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4년 11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