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맹녀(盲女)의 딸 효녀(孝女) 지은(知恩)
2
신라의 서울 경주(慶州) 분황사(芬皇寺) 동쪽에는 한기(韓岐)라는 조그마한 한 마을이 있고 그 마을에는 가난하기로 유명한 연권(連權)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연권은 집이 그렇게 가난한 중에 병이 들어서 항상 병석에 누워있고 그의 부인은 원래 소경(盲人)인 까닭에 아무 벌이도 하지를 못하고 슬하에는 다만 딸 하나가 있으나 그역 나이 어려서 아무것도 알지를 못하니 연권은 그 병을 고칠 도리가 없어서 그냥 신음을 하다가 불행히 영원한 길을 떠나고 말았다.
3
그리하여 남은 두 목숨은 의지할 곳이 없게 되었다. 나어린 지은이는 어머니를 위하여서나 저를 위하여서나 집집이 밥을 얻으러 나가지 아니할 수 없었다. 한술 두술 밥을 모아다가 등불 아래 앉아서 같이 먹고 쓸어져 안고 자는 두 모녀의 광경은 참으로 불쌍하였다. 그러나 사랑의 힘은 그 속에도 웃음을 부어 주었던 것이다.
4
그리다가 지은이는 어떤 부잣집에 들어가 부엌일을 해주고 벼를 얻어 방아에 찧어 가지고 돌아와 소경 어머니에게 따뜻이 밥을 지어 드릴 수가 있게 되었다. 그러나 어머니는
5
『내 딸이 오직이나 피곤하겠나 저것이 어데가 아프지 않은가』
6
하는 근심으로 도리어 아픈 가슴을 진정할 수 없어서 하루는 두 모녀가 마주 잡고 울었다. 그 울음이 집을 새어 길에 들리자 마침 그 때에 그 앞을 지나가던 효종랑(孝宗郞)의 낭도들이 그 일을 자세히 탐문하여 돌아가 회중에 이야기하자 일반은 그 지은이의 효심에 감복하여 옷을 내고 쌀을 내니 왕도 그 소문을 들으시고 집을 하사하시어 일시에 큰 부자가 되었다. 그리고 그 지은이가 살던 마을을 효양방(孝養坊)이라고까지 불러 후세에 그 흔적이 남기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