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쿠시 왕국 (BC 1077)
|
|
|
[기원전 1070년경 ~ 기원후 550년경] 아프리카의 수단에 있는 누비아(Nubia)지방에 있던 왕국이다. 쿠시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추측되며, 서기 350년경에 쇠퇴하여 멸망하였다.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070 ~ 550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기원전9세기 ~)
|
|
|
[기원전 9세기 ~ 4세기] 약 기원전 9세기에서 4세기까지 중부 유라시아 스텝의 넓은 지역들에서 거주했다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
B.C. 900 ~ 400
|
|
|
대아르메니아 왕국 (BC 331년~)
|
|
|
[기원전 331년 ~ 서기 428년] 기원전 331년부터 서기 428년까지 아르메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한 왕국이다.
|
|
|
중동 (대아르메니아 왕국)
|
B.C. 331 ~ 428
|
|
|
나바테아 왕국 (BC 300)
|
|
|
[기원전 300년경 ~ 기원후 106년] 나바테아는 기원전 3세기 부터 서기 106년까지 페트라(현재 요르단 서쪽)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나바테아인의 왕국이다. 이 왕국은 기원전 63년에 로마의 속국이 되어 106년에 아라비아 페트라이아 속주에 합병 형태로 멸망했다.
|
|
|
중동 (시리아)
|
B.C. 300 ~ 106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악숨 왕국 (BC 150)
|
|
|
[기원전 150년경 ~ 기원후 960년경] 에티오피아 북부에 있었던 고대 왕국으로, 중요한 무역 국가였다.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50 ~ 960
|
|
|
만리장성 (중국 전한)
|
|
|
[기원전 120경] 전국시대에 조나라, 연나라, 진나라 등 세 나라가 쌓은 장성을 진시황이 통일 이후 연결해 지은 것이 시초이며, 한나라의 한무제가 한 번 더 대규모 공사를 하였다.
|
|
|
중국 (한나라)
|
B.C. 120 ~ 100
|
|
|
유럽 (게르마니아, 기원전 120년)
|
|
|
[기원전 120년 ~ 375년] 기원전 120년 유틀란드 반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이곳에 거주하고 있던 게르만족의 일파인 킴브리족과 테우토니족(튜튼족) 등이 살 곳을 찾아 남하하다가 로마와 맞닥뜨리게 된다.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120 ~ 375
|
|
|
원삼국시대
|
|
|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이 멸망 또는 쇠퇴하고 부여가 건국되는 시기부터 삼국이 건립된 이후의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친 시기에 해당한다.
|
|
|
대한민국 (원삼국시대)
|
B.C. 100 ~ 300
|
|
|
흉노의 분열(북흉노, 남흉노, BC50년경)
|
|
|
[기원전 50경 ~ 89] 기원전 50년경 흉노의 2차 분열이후 북흉노와 남흉노의 세력구도
|
|
|
몽골초원 (유목민족(고대))
|
B.C. 50 ~ 89
|
|
|
남유럽 (로마제국, 기원전 27년)
|
|
|
[기원전 27년 ~ 395년]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가 사실상 공화정을 폐지하면서 등장하였고, 이후 3세기의 군인 황제 시기까지는 여러 속주들을 통합한 형태의 원수정이었으며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를 유일한 수도로 두고 있었다.
|
|
|
로마 (로마제국)
|
B.C. 27 ~ 395
|
|
|
중동지역 (파르티아, 수렌, AD19)
|
|
|
[19 ~ 226] (수렌) 수렌가의 곤도파리드 지부에서 19년부터 226년까지 통치한 파르티아 왕국이다. 전성기에는 이란 동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과 아프가니스탄의 여러 지역과 인도 아대륙의 북서부 지역을 지배하였다.
|
|
|
중동 (파르티아)
|
19 ~ 226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영국 (브리타니아, 43)
|
|
|
[43년 ~ 410년] 고대 로마 시대에 오늘날 영국의 그레이트브리튼섬을 이르던 말이다.
|
|
|
유럽 (브리타니아)
|
43 ~ 410
|
|
|
동남아 (부남 왕국, 58)
|
|
|
[58년 ~ 550년] 1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메콩강 하류 지역에 발흥한 고대 캄보디아 왕국이다.
|
|
|
동남아 (캄보디아)
|
58 ~ 550
|
|
|
후한 (중국)
|
|
|
[기원후 25 ~ 220]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켰다.
|
|
|
중국 (한나라)
|
25 ~ 220
|
|
|
|
동남아 (부남 왕국, 58)
|
|
|
|
[58년 ~ 550년] 1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메콩강 하류 지역에 발흥한 고대 캄보디아 왕국이다.
|
|
|
|
동남아 (캄보디아)
|
58 ~ 550
|
|
|
|
동남아 (참파, 192)
|
|
|
|
[192년 ~ 1832년] 베트남 중부 지방에 위치해 있던 말레이계의 구 참족이 세운 왕국이다.
|
|
|
|
동남아 (베트남)
|
192 ~ 1832
|
|
|
|
동남아 (진랍, 550)
|
|
|
|
[550년 ~ 802년] 6세기 메콩강 중앙 유역에서 일어난 크메르족의 나라이다. 수서 권 82에 처음 진랍이라는 이름이 나오나 뚜렷한 문자로 남지 않았고, 관련 사료가 없어 국명의 유래가 불분명하다.
|
|
|
|
동남아 (캄보디아)
|
550 ~ 802
|
|
|
|
동남아 (스리비자야 왕국, 650)
|
|
|
|
[650년 ~ 1293년] 말레이 지역에서 강력한 제해권을 가졌던 도시 국가였다.
|
|
|
|
동남아 (인도네사아)
|
650 ~ 1293
|
|
|
|
동남아 (남조)
|
|
|
|
[653 ~ 902] 남조(南詔) - 중국 당나라 때 운남(雲南)에 티베트·버마 족이 세운 왕국
|
|
|
|
동남아 (남조)
|
653 ~ 902
|
|
|
|
동남아 (크메르 제국, 802)
|
|
|
|
[802년 ~ 1431년] 동남아시아에서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존속한 힌두교/불교 제국이다.(앙코르 제국/캄부자국)
|
|
|
|
동남아 (캄보디아)
|
802 ~ 1431
|
|
|
|
동남아 (대리국)
|
|
|
|
[937 - 1254] 대리국(大理國) - 937년에 현재의 중국 윈난 성(운남) 지방을 주된 영역으로서 통치하고 있던 왕조였다. 한(漢)
|
|
|
|
동남아 (대리국)
|
937 ~ 1254
|
|
|
|
동남아 (대구월국, 968)
|
|
|
|
[968년~1054년] 968년에서 1054년까지 베트남의 역사에서 사용된 정식 국호이다.
|
|
|
|
동남아 (베트남)
|
968 ~ 1054
|
|
|
|
동남아 (바간 왕국, 1044)
|
|
|
|
[1044년 ~ 1287년] 쀼의 멸망으로 티베트버마어계의 다른 민족인 버마족이 이라와디 강 유역으로 진출하여 1044년에 바간에서 미얀마 최초의 통일 왕국인 바간 왕조를 세웠다.
|
|
|
|
동남아 (미얀마)
|
1044 ~ 1287
|
|
|
|
동남아 (대월국, 1054)
|
|
|
|
[1054년 ~ 1804년] 1054년~1804년까지 사용된 베트남의 국호로, 리 왕조의 성종(1054년~1072년)이 즉위를 할 때 사용한 공식 명칭이다.
|
|
|
|
동남아 (베트남)
|
1054 ~ 1804
|
|
|
|
동남아 (수코타이 왕국, 1249)
|
|
|
|
[1249년 ~ 1438년] 태국 최초의 통일 왕국이다.
|
|
|
|
동남아 (태국)
|
1249 ~ 1350
|
|
|
|
동남아 (항사워디 왕국, 1287)
|
|
|
|
[1287년~1552년] 1287년부터 1539년까지, 1550년부터 1552년까지 미얀마를 통치한 왕국이다.
|
|
|
|
동남아 (미얀마)
|
1287 ~ 1552
|
|
|
|
동남아 (아유타야 왕국, 1350)
|
|
|
|
[1350년 ~ 1767년] 시암의 첫 번째 왕국이다. 1351년에서 1767년까지 존재하였으며, 수도는 아유타야였다.
|
|
|
|
동남아 (태국)
|
1350 ~ 1767
|
|
|
|
동남아 (수코타이 왕국 영토 변경, 1350)
|
|
|
|
[1249년 ~ 1438년] 태국 최초의 통일 왕국이다.
|
|
|
|
동남아 (태국)
|
1350 ~ 1438
|
|
|
|
동남아 (란쌍 왕국, 1353)
|
|
|
|
[1353년 ~ 1707년] 메콩강 중류 지역에서 14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존재했던 역사적인 왕조이다.
|
|
|
|
동남아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
1353 ~ 1707
|
|
|
|
동남아 (아바 왕국, 1365)
|
|
|
|
[1364년~1555년] 1364년부터 1555년까지 북부 미얀마를 통치한 왕국이었다. 북부 미얀마의 잉와를 수도로 삼고 일어난 샨족의 왕조이다.
|
|
|
|
동남아 (미얀마)
|
1364 ~ 1555
|
|
|
|
동남아 (아라칸 왕국, 1450)
|
|
|
|
[1450년~1680년] 인도양의 교역에 본격적으로 개입하여 이슬람 전통과 접촉
|
|
|
|
동남아 (미얀마)
|
1450 ~ 1680
|
|
|
|
동남아 (따웅우 왕조, 1580)
|
|
|
|
[1510년~1752년] 미얀마의 왕조. 한때 동남아시아 역사상 최대의 제국이었다.
|
|
|
|
동남아 (미얀마)
|
1510 ~ 1752
|
|
|
|
동남아 (꼰바웅 왕조, 1752)
|
|
|
|
[1752년~1885년] 18세기 중엽 버마족의 얼라웅퍼야가 개창한 후 19세기 후반까지 계세(繼世)된 미얀마 최후의 왕조이다.
|
|
|
|
동남아 (미얀마)
|
1752 ~ 1885
|
|
|
|
동남아 (톤부리 왕국, 1767)
|
|
|
|
[1767년~1782년] 버마에 의한 아유타야 왕조의 붕괴 후 짧은 기간 동안 존재했던 태국의 정통 왕조의 하나로 수도는 톤부리였다.
|
|
|
|
동남아 (태국)
|
1767 ~ 1782
|
|
|
|
동남아 (라따나꼬신 왕국, 1782)
|
|
|
|
[1782년~1932년] 태국의 네 번째 왕국으로 가장 큰 타이 왕국을 일구었다.
|
|
|
|
동남아 (태국)
|
1782 ~ 1932
|
|
|
【58 년】동남아 (부남 왕국, 58)
|
|
|
|
[58년 ~ 550년] 1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메콩강 하류 지역에 발흥한 고대 캄보디아 왕국이다.
|
|
|
|
동남아 (캄보디아)
|
58 ~ 550
|
|
|
|
쿠시 왕국 (BC 1077)
|
|
|
|
[기원전 1070년경 ~ 기원후 550년경] 아프리카의 수단에 있는 누비아(Nubia)지방에 있던 왕국이다. 쿠시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추측되며, 서기 350년경에 쇠퇴하여 멸망하였다.
|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070 ~ 550
|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기원전9세기 ~)
|
|
|
|
[기원전 9세기 ~ 4세기] 약 기원전 9세기에서 4세기까지 중부 유라시아 스텝의 넓은 지역들에서 거주했다
|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
B.C. 900 ~ 400
|
|
|
|
대아르메니아 왕국 (BC 331년~)
|
|
|
|
[기원전 331년 ~ 서기 428년] 기원전 331년부터 서기 428년까지 아르메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한 왕국이다.
|
|
|
|
중동 (대아르메니아 왕국)
|
B.C. 331 ~ 428
|
|
|
|
나바테아 왕국 (BC 300)
|
|
|
|
[기원전 300년경 ~ 기원후 106년] 나바테아는 기원전 3세기 부터 서기 106년까지 페트라(현재 요르단 서쪽)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나바테아인의 왕국이다. 이 왕국은 기원전 63년에 로마의 속국이 되어 106년에 아라비아 페트라이아 속주에 합병 형태로 멸망했다.
|
|
|
|
중동 (시리아)
|
B.C. 300 ~ 106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악숨 왕국 (BC 150)
|
|
|
|
[기원전 150년경 ~ 기원후 960년경] 에티오피아 북부에 있었던 고대 왕국으로, 중요한 무역 국가였다.
|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50 ~ 960
|
|
|
|
만리장성 (중국 전한)
|
|
|
|
[기원전 120경] 전국시대에 조나라, 연나라, 진나라 등 세 나라가 쌓은 장성을 진시황이 통일 이후 연결해 지은 것이 시초이며, 한나라의 한무제가 한 번 더 대규모 공사를 하였다.
|
|
|
|
중국 (한나라)
|
B.C. 120 ~ 100
|
|
|
|
유럽 (게르마니아, 기원전 120년)
|
|
|
|
[기원전 120년 ~ 375년] 기원전 120년 유틀란드 반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이곳에 거주하고 있던 게르만족의 일파인 킴브리족과 테우토니족(튜튼족) 등이 살 곳을 찾아 남하하다가 로마와 맞닥뜨리게 된다.
|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120 ~ 375
|
|
|
|
원삼국시대
|
|
|
|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이 멸망 또는 쇠퇴하고 부여가 건국되는 시기부터 삼국이 건립된 이후의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친 시기에 해당한다.
|
|
|
|
대한민국 (원삼국시대)
|
B.C. 100 ~ 300
|
|
|
|
흉노의 분열(북흉노, 남흉노, BC50년경)
|
|
|
|
[기원전 50경 ~ 89] 기원전 50년경 흉노의 2차 분열이후 북흉노와 남흉노의 세력구도
|
|
|
|
몽골초원 (유목민족(고대))
|
B.C. 50 ~ 89
|
|
|
|
남유럽 (로마제국, 기원전 27년)
|
|
|
|
[기원전 27년 ~ 395년]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가 사실상 공화정을 폐지하면서 등장하였고, 이후 3세기의 군인 황제 시기까지는 여러 속주들을 통합한 형태의 원수정이었으며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를 유일한 수도로 두고 있었다.
|
|
|
|
로마 (로마제국)
|
B.C. 27 ~ 395
|
|
|
|
중동지역 (파르티아, 수렌, AD19)
|
|
|
|
[19 ~ 226] (수렌) 수렌가의 곤도파리드 지부에서 19년부터 226년까지 통치한 파르티아 왕국이다. 전성기에는 이란 동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과 아프가니스탄의 여러 지역과 인도 아대륙의 북서부 지역을 지배하였다.
|
|
|
|
중동 (파르티아)
|
19 ~ 226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영국 (브리타니아, 43)
|
|
|
|
[43년 ~ 410년] 고대 로마 시대에 오늘날 영국의 그레이트브리튼섬을 이르던 말이다.
|
|
|
|
유럽 (브리타니아)
|
43 ~ 410
|
|
|
|
동남아 (부남 왕국, 58)
|
|
|
|
[58년 ~ 550년] 1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메콩강 하류 지역에 발흥한 고대 캄보디아 왕국이다.
|
|
|
|
동남아 (캄보디아)
|
58 ~ 550
|
|
|
|
후한 (중국)
|
|
|
|
[기원후 25 ~ 220]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켰다.
|
|
|
|
중국 (한나라)
|
25 ~ 220
|
◇ 최근 등재 목록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
북아프리카 (무와히드 칼리파국, 1130년~)
|
|
[1130년 ~ 1269년] 베르베르인의 무슬림 칼리파 왕조였으며 12세기에 설립됐다. 모든 북부 아프리카를 정복해 리비아와 알안달루스, 무어인이 지배하던 이베리아반도까지 다스렸다.
|
|
아프리카 (무와히드칼리파국)
|
1130 ~ 1269
|
|
|
|
북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1040년~)
|
|
[1040년 ~ 1147년] 베르베르인이 서사하라 에서 세운 최초의 이슬람 왕조인 베르베르 왕조.
|
|
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
1040 ~ 1147
|
|
|
|
서아프리카 (송가이 제국, 1464년~)
|
|
[1464년 ~ 1591년] 15세기 ~ 16세기동안 서아프리카에서 부흥한 제국 중 하나였다. 수도는 가오였다.
|
|
아프리카 (송가이제국)
|
1464 ~ 1591
|
|
|
|
서아프리카 (말리 제국, 1235년경~)
|
|
[1235년경 ~ 167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235년부터 1670년까지 존재했던, 만딩고족이 세운 제국이었다. 순디아타 케이타에 의해 세워졌고,나이저 강을 따라 언어, 법, 관습 등을 퍼뜨렸다.
|
|
아프리카 (말리제국)
|
1235 ~ 1670
|
|
|
|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
|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
|
아프리카 (가나제국)
|
300 ~ 1235
|
|
|
|
서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718년~)
|
|
[718년 ~ 924년] 스페인 북서부에 존속했었던 기독교 국가이다. 오늘날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기원이 되는 나라이다.
|
|
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
718 ~ 924
|
|
|
|
서유럽 (카스티야 왕국, 1065년~)
|
|
[1065년 ~ 1833년] 중세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크고 강력한 상태로 존재했던 왕국이였다.
|
|
유럽 (카스티야 왕국)
|
1065 ~ 1230
|
|
|
|
서유럽 (레온 왕국, 910년~)
|
|
[910년 ~ 1230년] 이베리아반도의 북서쪽에 위치한 독립 왕국이었다. 910년 비스케이만(반도의 북쪽 해안)을 따라 있었던 아스투리아스의 기독교 왕자들이 수도를 오비에도에서 레온으로 옮겼을 때 세워졌다.
|
|
유럽 (레온 왕국)
|
910 ~ 1230
|
|
|
|
서유럽 (나바라 왕국, 824년~)
|
|
[824년 ~ 1841년] 중세 유럽의 한 나라이다. 대서양 연안의 피레네산맥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바스크 대부분을 영유하고 있었다.
|
|
유럽 (나바라 왕국)
|
824 ~ 1492
|
|
|
|
서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0년~)
|
|
[1230년 ~ 1715년] 중세 및 근대에 걸쳐 이베리아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1230년 후사가 없어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면서 탄생했다.
|
|
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
1231 ~ 1492
|
|
|
|
서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756년~)
|
|
[756년 ~ 1031년] 에스파냐 지방에 있었던 이슬람 왕조(756~1031년). 우마이야 왕조가 아바스 왕조에게 멸망되자 옴미아드 왕조의 일족인 압둘라흐만 1세가 에스파냐로 탈출하여 코르도바를 수도로 건국한 왕조를 말한다.
|
|
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
756 ~ 1031
|
|
|
|
서유럽 (아라곤 왕국, 1035년~)
|
|
[1035년 ~ 1492년] 이베리아반도의 중세 및 초기 근대 왕국이었다.
|
|
유럽 (아라곤 왕국)
|
1035 ~ 1492
|
|
|
|
서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년~)
|
|
[1238년 ~ 1492년] 에스파냐 안달루시아의 도시그라나다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이슬람 왕조
|
|
유럽 (그라나다왕국)
|
1238 ~ 1492
|
|
|
|
인도 (무굴 제국, 1758~)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58 ~ 1857
|
|
|
|
인도 (무굴 제국, 1720~)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20 ~ 1758
|
|
|
|
인도 (마라타 제국, 마다브라오 1세, 1758)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인도 (마라타 제국)
|
1758 ~ 181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