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쿠시 왕국 (BC 1077)
|
|
|
[기원전 1070년경 ~ 기원후 550년경] 아프리카의 수단에 있는 누비아(Nubia)지방에 있던 왕국이다. 쿠시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추측되며, 서기 350년경에 쇠퇴하여 멸망하였다.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070 ~ 550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기원전9세기 ~)
|
|
|
[기원전 9세기 ~ 4세기] 약 기원전 9세기에서 4세기까지 중부 유라시아 스텝의 넓은 지역들에서 거주했다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
B.C. 900 ~ 400
|
|
|
대아르메니아 왕국 (BC 331년~)
|
|
|
[기원전 331년 ~ 서기 428년] 기원전 331년부터 서기 428년까지 아르메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한 왕국이다.
|
|
|
중동 (대아르메니아 왕국)
|
B.C. 331 ~ 428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악숨 왕국 (BC 150)
|
|
|
[기원전 150년경 ~ 기원후 960년경] 에티오피아 북부에 있었던 고대 왕국으로, 중요한 무역 국가였다.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50 ~ 960
|
|
|
유럽 (게르마니아, 기원전 120년)
|
|
|
[기원전 120년 ~ 375년] 기원전 120년 유틀란드 반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이곳에 거주하고 있던 게르만족의 일파인 킴브리족과 테우토니족(튜튼족) 등이 살 곳을 찾아 남하하다가 로마와 맞닥뜨리게 된다.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120 ~ 375
|
|
|
남유럽 (로마제국, 기원전 27년)
|
|
|
[기원전 27년 ~ 395년]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가 사실상 공화정을 폐지하면서 등장하였고, 이후 3세기의 군인 황제 시기까지는 여러 속주들을 통합한 형태의 원수정이었으며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를 유일한 수도로 두고 있었다.
|
|
|
로마 (로마제국)
|
B.C. 27 ~ 395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영국 (브리타니아, 43)
|
|
|
[43년 ~ 410년] 고대 로마 시대에 오늘날 영국의 그레이트브리튼섬을 이르던 말이다.
|
|
|
유럽 (브리타니아)
|
43 ~ 410
|
|
|
동남아 (부남 왕국, 58)
|
|
|
[58년 ~ 550년] 1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메콩강 하류 지역에 발흥한 고대 캄보디아 왕국이다.
|
|
|
동남아 (캄보디아)
|
58 ~ 550
|
|
|
인도 (쿠샨 제국)
|
|
|
[60 ~ 480] 기원 전후부터 5세기에 걸쳐서 이란계(系)의 쿠샨족이 북서 인도에 세운 왕조. 5세기 말경 에프탈에게 멸망당하였다.
|
|
|
인도 (쿠샨 제국)
|
60 ~ 480
|
|
|
동남아 (참파, 192)
|
|
|
[192년 ~ 1832년] 베트남 중부 지방에 위치해 있던 말레이계의 구 참족이 세운 왕국이다.
|
|
|
동남아 (베트남)
|
192 ~ 1832
|
|
|
중동지역 (사산 제국, 224~)
|
|
|
[224 ~ 651] 파르티아를 이어 이란을 통치한 왕조. 사산조 페르시아라고도 한다.
|
|
|
중동 (사산 제국)
|
224 ~ 651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티베트 (토욕혼)
|
|
|
[4세기 ~ 663] 4세기 경부터 663년 토번의 침공으로 완전히 멸망하기 전까지 존속한 민족이며, 또한 그들이 세운 국가명(토욕혼국)이다. 그들은 선비족 모용씨로부터 내려온 부족이라고 전해진다.
|
|
|
중국 티베트 (토번)
|
300 ~ 663
|
|
|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
|
|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
|
|
아프리카 (가나제국)
|
300 ~ 1235
|
|
|
인도 (굽타 제국, 240~)
|
|
|
[240 ~ 550] 서기 4세기 초부터 서기 6세기 후반까지 존재했던 고대 인도 제국이다. 서기 약 319년부터 467년까지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지배하며 절정에 이르렀다
|
|
|
인도 (굽타 제국)
|
240 ~ 550
|
|
|
몽골초원 (유연, 거란족, 350)
|
|
|
유연과 거란족(4세기경)
|
|
|
몽골초원 (유목민족(중세))
|
330 ~ 552
|
|
|
삼국시대 (백제의 전성시대, 4세기)
|
|
|
[304 ~ 390] 근초고왕은 남으로 전라도 지역까지 마한 연맹체를 부분적으로 통일하였고, 북으로는 평양성을 공격하여 371년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
|
|
대한민국 (삼국시대)
|
300 ~ 390
|
|
|
5호 16국 (360년대) (중국)
|
|
|
동진, 전량, 전진, 전연
|
|
|
중국 (5호 16국)
|
360 ~ 390
|
|
|
동유럽 (훈족, 370)
|
|
|
[370년대 ~ 469년] 4-6세기 중앙 아시아와 코카서스에 존재하던 민족으로, 튀르크 계열로 추정되는 유목민족이다.
|
|
|
유럽 (훈족)
|
370 ~ 469
|
|
|
|
동유럽 (훈족, 370)
|
|
|
|
[370년대 ~ 469년] 4-6세기 중앙 아시아와 코카서스에 존재하던 민족으로, 튀르크 계열로 추정되는 유목민족이다.
|
|
|
|
유럽 (훈족)
|
370 ~ 469
|
|
|
|
동유럽 (하자르 칸국, 618)
|
|
|
|
[618년경 ~ 1048년경] 튀르크족의 분파 및 이 분파가 건국한 카간국의 총칭이다. 그 영토는 동서로는 우크라이나 초원에서 우랄 강에, 남북으로는 볼가 강 중류에서 북 캅카스와 크림 반도에 이르렀다. 하자르 카간국은 돌궐 제국의 아사나 일파로 서돌궐이 와해되고 서쪽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
|
|
|
동유럽 (우크라이나)
|
618 ~ 1048
|
|
|
|
동유럽 (고대 대불가리아, 632년 ~)
|
|
|
|
[632년 ~ 668년]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서에 등장하는 용어로써 7세기 볼가강(Volga) 하류에서 드네스트르 강(Dniester)까지 범위의 캅카스 산맥 북부, 스텝 지대를 지배했던 불가르(Bulgar)의 군주 쿠브라트(Kubrat)의 치세를 가리켜 나타낸다.
|
|
|
|
동유럽 (불가리아)
|
632 ~ 681
|
|
|
|
동유럽 (불가리아 제1제국, 681년 ~)
|
|
|
|
[681년 ~ 1018년]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서에 등장하는 용어로써 7세기 볼가강(Volga) 하류에서 드네스트르 강(Dniester)까지 범위의 캅카스 산맥 북부, 스텝 지대를 지배했던 불가르(Bulgar)의 군주 쿠브라트(Kubrat)의 치세를 가리켜 나타낸다.
|
|
|
|
동유럽 (불가리아)
|
681 ~ 1018
|
|
|
|
러시아 (루스인, 753년 ~)
|
|
|
|
[753년 ~ ] 러시아 키예프 페체르스키 수도원에서 작성된 원초연대기에 따르면 753년 라도가호 부근에 루스 최초의 도시인 스타라야라도가가 건설되었다.
|
|
|
|
러시아 (루스인)
|
753 ~ 830
|
|
|
|
러시아 (루스 카간국, 830년 ~)
|
|
|
|
[830년경 ~ 862년경] 러시아 키예프 페체르스키 수도원에서 작성된 원초연대기에 따르면 753년 라도가호 부근에 루스 최초의 도시인 스타라야라도가가 건설되었다.
|
|
|
|
러시아 (루스 카간국)
|
830 ~ 862
|
|
|
|
러시아 (노브고로드 루스, 862년 ~)
|
|
|
|
[862년 ~ 882년] 류리크 왕조의 시조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 공작이 된 862년부터 올레그 베시에 의해 키예프 루스가 성립된 882년까지의 루스인들의 정체를 일컫는다.
|
|
|
|
러시아 (노브고로드 루스)
|
862 ~ 882
|
|
|
|
러시아 (키예프 루스, 882년 ~)
|
|
|
|
[882년 ~ 1240년] 882년부터 1240년까지 오늘날 동유럽 지역의 키이우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 일대에 존재했던 루스인들의 국가이다.
|
|
|
|
러시아 (키예프 루스)
|
882 ~ 1240
|
|
|
|
동유럽 (헝가리 대공국, 895년 ~)
|
|
|
|
[895년 ~ 1000년] 9세기 헝가리의 판노니아 정복에 따라 895년 또는 896년경에 판노니아 평원에 건국된 헝가리인의 국가이다.
|
|
|
|
동유럽 (헝가리)
|
895 ~ 1000
|
|
|
|
동유럽 (폴란드 왕국, 960년 ~)
|
|
|
|
[960년 ~ 1572년] 1025년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 지역에 존속한 왕국이었다.
|
|
|
|
동유럽 (폴란드)
|
960 ~ 1572
|
|
|
|
동유럽 (헝가리 왕국, 1000년 ~)
|
|
|
|
[1000년 ~ 1918년] 1000년부터 1946년까지 지금의 헝가리와 주변 국가에 있었던 군주제 국가이다. 1526년부터 1918년까지는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헝가리 국왕을 겸임하였다
|
|
|
|
동유럽 (헝가리)
|
1000 ~ 1867
|
|
|
|
러시아 (노브고로드 대공국, 1136년 ~)
|
|
|
|
[1136년 ~ 1478년] 오늘날 러시아의 노브고로드 주를 중심으로 존재하던 공화국으로, 12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발트해에서 우랄 산맥 북부에 걸친 광대한 영역을 점유했던 루스계 국가이다.
|
|
|
|
러시아 (노브고로드 대공국)
|
1136 ~ 1478
|
|
|
|
동유럽 (불가리아 제2제국, 1185년 ~)
|
|
|
|
[1185년 ~ 1396년] 1185년 ~ 1396년 동안 중세 불가리아에 존속했던 왕조이다. 수도는 터르노보에 있었다. 불가리아 제2제국은 불가리아 제1제국의 계승자였으며, 차르 칼로얀과 이반 아센 2세의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
|
|
|
동유럽 (불가리아)
|
1185 ~ 1396
|
|
|
|
러시아 (모스크바 대공국, 1283년 ~)
|
|
|
|
[1283년 ~ 1547년] 키예프 루스 이후 분열된 전체 루스 공국들을 통일하였으며, 오늘날 현대 러시아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었다.
|
|
|
|
러시아 (모스크바 대공국)
|
1283 ~ 1478
|
|
|
|
러시아 (모스크바 대공국, 영토확장, 1478년 ~)
|
|
|
|
[1283년 ~ 1547년] 키예프 루스 이후 분열된 전체 루스 공국들을 통일하였으며, 오늘날 현대 러시아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었다.
|
|
|
|
러시아 (모스크바 대공국)
|
1478 ~ 1547
|
|
|
|
러시아 (러시아 차르국, 1547년 ~)
|
|
|
|
[1547년 ~ 1721년] 1547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4세가 차르의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후 1721년 표트르 대제가 러시아 제국을 선언할 때까지 사용된 러시아의 공식 국호이다.
|
|
|
|
러시아 (러시아 차르국)
|
1547 ~ 1613
|
|
|
|
동유럽 (폴란드-리투아니아, 1572년 ~)
|
|
|
|
[1572년 ~ 1795년]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합쳐져 1569년 세워진 동군연합 군주국이다.
|
|
|
|
동유럽 (폴란드, 리투아니아)
|
1572 ~ 1795
|
|
|
|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 1613년 ~)
|
|
|
|
[1613년 ~ 1917년] 1613년에서 1917년 러시아 혁명 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왕조. 1613년에 모스크바 공국의 내란을 진압한 로마노프에 의해 세워진 왕조로 300여 년 간 러시아를 통치하였다.
|
|
|
|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
|
1613 ~ 1725
|
|
|
|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 표트르1세, 영토확장, 1725년 ~)
|
|
|
|
[1613년 ~ 1917년] 1613년에서 1917년 러시아 혁명 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왕조. 1613년에 모스크바 공국의 내란을 진압한 로마노프에 의해 세워진 왕조로 300여 년 간 러시아를 통치하였다.
|
|
|
|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
|
1725 ~ 1860
|
|
|
|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 알렉산드르 2세, 영토확장, 1860년 ~)
|
|
|
|
[1613년 ~ 1917년] 1613년에서 1917년 러시아 혁명 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왕조. 1613년에 모스크바 공국의 내란을 진압한 로마노프에 의해 세워진 왕조로 300여 년 간 러시아를 통치하였다.
|
|
|
|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
|
1860 ~ 1917
|
|
|
|
러시아 (소련 (蘇聯), 1917년 ~)
|
|
|
|
[1917년 ~ 1991년] 1917년의 러시아 혁명 후 1991년까지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 자리잡고 있던 연방제 사회주의 국가. 정식 국명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으로 15개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
|
|
러시아 (소련(蘇聯))
|
1917 ~ 1991
|
|
|
【370 년】동유럽 (훈족, 370)
|
|
|
|
[370년대 ~ 469년] 4-6세기 중앙 아시아와 코카서스에 존재하던 민족으로, 튀르크 계열로 추정되는 유목민족이다.
|
|
|
|
유럽 (훈족)
|
370 ~ 469
|
|
|
|
쿠시 왕국 (BC 1077)
|
|
|
|
[기원전 1070년경 ~ 기원후 550년경] 아프리카의 수단에 있는 누비아(Nubia)지방에 있던 왕국이다. 쿠시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추측되며, 서기 350년경에 쇠퇴하여 멸망하였다.
|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070 ~ 550
|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기원전9세기 ~)
|
|
|
|
[기원전 9세기 ~ 4세기] 약 기원전 9세기에서 4세기까지 중부 유라시아 스텝의 넓은 지역들에서 거주했다
|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
B.C. 900 ~ 400
|
|
|
|
대아르메니아 왕국 (BC 331년~)
|
|
|
|
[기원전 331년 ~ 서기 428년] 기원전 331년부터 서기 428년까지 아르메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한 왕국이다.
|
|
|
|
중동 (대아르메니아 왕국)
|
B.C. 331 ~ 428
|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악숨 왕국 (BC 150)
|
|
|
|
[기원전 150년경 ~ 기원후 960년경] 에티오피아 북부에 있었던 고대 왕국으로, 중요한 무역 국가였다.
|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50 ~ 960
|
|
|
|
유럽 (게르마니아, 기원전 120년)
|
|
|
|
[기원전 120년 ~ 375년] 기원전 120년 유틀란드 반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이곳에 거주하고 있던 게르만족의 일파인 킴브리족과 테우토니족(튜튼족) 등이 살 곳을 찾아 남하하다가 로마와 맞닥뜨리게 된다.
|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120 ~ 375
|
|
|
|
남유럽 (로마제국, 기원전 27년)
|
|
|
|
[기원전 27년 ~ 395년]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가 사실상 공화정을 폐지하면서 등장하였고, 이후 3세기의 군인 황제 시기까지는 여러 속주들을 통합한 형태의 원수정이었으며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를 유일한 수도로 두고 있었다.
|
|
|
|
로마 (로마제국)
|
B.C. 27 ~ 395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영국 (브리타니아, 43)
|
|
|
|
[43년 ~ 410년] 고대 로마 시대에 오늘날 영국의 그레이트브리튼섬을 이르던 말이다.
|
|
|
|
유럽 (브리타니아)
|
43 ~ 410
|
|
|
|
동남아 (부남 왕국, 58)
|
|
|
|
[58년 ~ 550년] 1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메콩강 하류 지역에 발흥한 고대 캄보디아 왕국이다.
|
|
|
|
동남아 (캄보디아)
|
58 ~ 550
|
|
|
|
인도 (쿠샨 제국)
|
|
|
|
[60 ~ 480] 기원 전후부터 5세기에 걸쳐서 이란계(系)의 쿠샨족이 북서 인도에 세운 왕조. 5세기 말경 에프탈에게 멸망당하였다.
|
|
|
|
인도 (쿠샨 제국)
|
60 ~ 480
|
|
|
|
동남아 (참파, 192)
|
|
|
|
[192년 ~ 1832년] 베트남 중부 지방에 위치해 있던 말레이계의 구 참족이 세운 왕국이다.
|
|
|
|
동남아 (베트남)
|
192 ~ 1832
|
|
|
|
중동지역 (사산 제국, 224~)
|
|
|
|
[224 ~ 651] 파르티아를 이어 이란을 통치한 왕조. 사산조 페르시아라고도 한다.
|
|
|
|
중동 (사산 제국)
|
224 ~ 651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
티베트 (토욕혼)
|
|
|
|
[4세기 ~ 663] 4세기 경부터 663년 토번의 침공으로 완전히 멸망하기 전까지 존속한 민족이며, 또한 그들이 세운 국가명(토욕혼국)이다. 그들은 선비족 모용씨로부터 내려온 부족이라고 전해진다.
|
|
|
|
중국 티베트 (토번)
|
300 ~ 663
|
|
|
|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
|
|
|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
|
|
|
아프리카 (가나제국)
|
300 ~ 1235
|
|
|
|
인도 (굽타 제국, 240~)
|
|
|
|
[240 ~ 550] 서기 4세기 초부터 서기 6세기 후반까지 존재했던 고대 인도 제국이다. 서기 약 319년부터 467년까지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지배하며 절정에 이르렀다
|
|
|
|
인도 (굽타 제국)
|
240 ~ 550
|
|
|
|
몽골초원 (유연, 거란족, 350)
|
|
|
|
유연과 거란족(4세기경)
|
|
|
|
몽골초원 (유목민족(중세))
|
330 ~ 552
|
|
|
|
삼국시대 (백제의 전성시대, 4세기)
|
|
|
|
[304 ~ 390] 근초고왕은 남으로 전라도 지역까지 마한 연맹체를 부분적으로 통일하였고, 북으로는 평양성을 공격하여 371년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
|
|
|
대한민국 (삼국시대)
|
300 ~ 390
|
|
|
|
5호 16국 (360년대) (중국)
|
|
|
|
동진, 전량, 전진, 전연
|
|
|
|
중국 (5호 16국)
|
360 ~ 390
|
|
|
|
동유럽 (훈족, 370)
|
|
|
|
[370년대 ~ 469년] 4-6세기 중앙 아시아와 코카서스에 존재하던 민족으로, 튀르크 계열로 추정되는 유목민족이다.
|
|
|
|
유럽 (훈족)
|
370 ~ 469
|
◇ 최근 등재 목록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
북아프리카 (무와히드 칼리파국, 1130년~)
|
|
[1130년 ~ 1269년] 베르베르인의 무슬림 칼리파 왕조였으며 12세기에 설립됐다. 모든 북부 아프리카를 정복해 리비아와 알안달루스, 무어인이 지배하던 이베리아반도까지 다스렸다.
|
|
아프리카 (무와히드칼리파국)
|
1130 ~ 1269
|
|
|
|
북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1040년~)
|
|
[1040년 ~ 1147년] 베르베르인이 서사하라 에서 세운 최초의 이슬람 왕조인 베르베르 왕조.
|
|
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
1040 ~ 1147
|
|
|
|
서아프리카 (송가이 제국, 1464년~)
|
|
[1464년 ~ 1591년] 15세기 ~ 16세기동안 서아프리카에서 부흥한 제국 중 하나였다. 수도는 가오였다.
|
|
아프리카 (송가이제국)
|
1464 ~ 1591
|
|
|
|
서아프리카 (말리 제국, 1235년경~)
|
|
[1235년경 ~ 167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235년부터 1670년까지 존재했던, 만딩고족이 세운 제국이었다. 순디아타 케이타에 의해 세워졌고,나이저 강을 따라 언어, 법, 관습 등을 퍼뜨렸다.
|
|
아프리카 (말리제국)
|
1235 ~ 1670
|
|
|
|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
|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
|
아프리카 (가나제국)
|
300 ~ 1235
|
|
|
|
서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718년~)
|
|
[718년 ~ 924년] 스페인 북서부에 존속했었던 기독교 국가이다. 오늘날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기원이 되는 나라이다.
|
|
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
718 ~ 924
|
|
|
|
서유럽 (카스티야 왕국, 1065년~)
|
|
[1065년 ~ 1833년] 중세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크고 강력한 상태로 존재했던 왕국이였다.
|
|
유럽 (카스티야 왕국)
|
1065 ~ 1230
|
|
|
|
서유럽 (레온 왕국, 910년~)
|
|
[910년 ~ 1230년] 이베리아반도의 북서쪽에 위치한 독립 왕국이었다. 910년 비스케이만(반도의 북쪽 해안)을 따라 있었던 아스투리아스의 기독교 왕자들이 수도를 오비에도에서 레온으로 옮겼을 때 세워졌다.
|
|
유럽 (레온 왕국)
|
910 ~ 1230
|
|
|
|
서유럽 (나바라 왕국, 824년~)
|
|
[824년 ~ 1841년] 중세 유럽의 한 나라이다. 대서양 연안의 피레네산맥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바스크 대부분을 영유하고 있었다.
|
|
유럽 (나바라 왕국)
|
824 ~ 1492
|
|
|
|
서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0년~)
|
|
[1230년 ~ 1715년] 중세 및 근대에 걸쳐 이베리아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1230년 후사가 없어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면서 탄생했다.
|
|
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
1231 ~ 1492
|
|
|
|
서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756년~)
|
|
[756년 ~ 1031년] 에스파냐 지방에 있었던 이슬람 왕조(756~1031년). 우마이야 왕조가 아바스 왕조에게 멸망되자 옴미아드 왕조의 일족인 압둘라흐만 1세가 에스파냐로 탈출하여 코르도바를 수도로 건국한 왕조를 말한다.
|
|
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
756 ~ 1031
|
|
|
|
서유럽 (아라곤 왕국, 1035년~)
|
|
[1035년 ~ 1492년] 이베리아반도의 중세 및 초기 근대 왕국이었다.
|
|
유럽 (아라곤 왕국)
|
1035 ~ 1492
|
|
|
|
서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년~)
|
|
[1238년 ~ 1492년] 에스파냐 안달루시아의 도시그라나다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이슬람 왕조
|
|
유럽 (그라나다왕국)
|
1238 ~ 1492
|
|
|
|
인도 (무굴 제국, 1758~)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58 ~ 1857
|
|
|
|
인도 (무굴 제국, 1720~)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20 ~ 1758
|
|
|
|
인도 (마라타 제국, 마다브라오 1세, 1758)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인도 (마라타 제국)
|
1758 ~ 181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