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고조선
|
|
|
단군왕검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고대 국가.
|
|
|
대한민국 (고조선)
|
B.C. 2333 ~ B.C.100
|
|
|
남유럽 (페니키아문명, 기원전 1500년)
|
|
|
[BC 1500년 ~ BC 539년] 고대 가나안의 북쪽에 근거지를 둔 고대 문명이다. 중심 지역은 오늘날의 레바논, 시리아, 이스라엘 북부로 이어지는 해안에 있었다.
|
|
|
중동 (페니키아문명)
|
B.C. 1500 ~ B.C.539
|
|
|
인도 (후기 베다 시대, BC 1200)
|
|
|
[기원전 1200년 ~ 기원전 600년] 펀자브 지방에 정착하였던 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0세기에 동쪽으로 이주하여 야무나 강과 갠지스 강의 중간에 있는 비옥한 평원을 점령하였다. 이때 브라만교의 문화가 완성되었다.
|
|
|
인도 (베다시대)
|
B.C. 1200 ~ B.C.600
|
|
|
고대그리스(암흑/상고기, BC1100경)
|
|
|
[기원전 1100년 ~ 기원전 750년] 그리스 암흑기, [기원전 750년 ~ 기원전 580년] 그리스 상고기
|
|
|
남유럽 (그리스)
|
B.C. 1100 ~ B.C.510
|
|
|
고죽국(孤竹國, BC 11세)
|
|
|
[기원전 11세기 ~ 664] 상주대부터 춘추시대 후기까지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에 존재한 국가이다. 국성은 자(子), 씨는 묵태(墨胎)이다. 백이와 숙제의 고사로 알려져 있고 기원전 664년에 제에 의해 멸망했다.
|
|
|
중국 (고죽)
|
B.C. 1100 ~ B.C.664
|
|
|
이집트 제3중간기 (BC 1077)
|
|
|
[기원전 1077년 ~ 기원전 664년] 기원전 1077년부터 기원전 664년까지 지속된 고대 이집트의 시대 구분. 제21왕조부터 제25왕조까지가 제3중간기에 해당한다.
|
|
|
중동 (이집트)
|
B.C. 1077 ~ B.C.664
|
|
|
쿠시 왕국 (BC 1077)
|
|
|
[기원전 1070년경 ~ 기원후 550년경] 아프리카의 수단에 있는 누비아(Nubia)지방에 있던 왕국이다. 쿠시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추측되며, 서기 350년경에 쇠퇴하여 멸망하였다.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070 ~ 550
|
|
|
몽골초원 (고대 BC1000년)
|
|
|
[기원전 11세기 ~ 5세기] 몽골 / 카자흐 대초원지대의 고대 유목민족
|
|
|
몽골초원 (유목민족(고대))
|
B.C. 1000 ~ B.C.400
|
|
|
신 아시리아 제국 (초기, BC 824경)
|
|
|
[기원전 934년 ~ 기원전 609년] 서로 기원이 다른 여러 민족들과 부족들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 역사상 최초로 메소포타미아, 레반트, 이집트를 전부 통일했다.
|
|
|
중동 (메소포타미아)
|
B.C. 934 ~ B.C.671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기원전9세기 ~)
|
|
|
[기원전 9세기 ~ 4세기] 약 기원전 9세기에서 4세기까지 중부 유라시아 스텝의 넓은 지역들에서 거주했다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
B.C. 900 ~ 400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기원전 814년)
|
|
|
[기원전 814년 ~ 기원전 146년] 기원전 9세기 말 페니키아인이 북아프리카 의 튀니스만 북안에 건설한 식민 도시. 해상 무역으로 번영하여 뒤에 자립하였으며, 서지중해를 제패하였다.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
B.C. 814 ~ B.C.241
|
|
|
남유럽 (로마왕국, 기원전 753년)
|
|
|
[기원전 753년 ~ 기원전 509년] 로마 왕국은 왕정 시대의 고대 로마를 일컫는다. 로마는 전통적으로 기원전 753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창건자 로물루스 이래 왕정은 기원전 509년 공화정이 들어서기까지 이어졌다.
|
|
|
로마 (로마왕국)
|
B.C. 753 ~ B.C.509
|
|
|
리디아왕국 (BC 700)
|
|
|
[기원전 750년 ~ 546] 아나톨리아 서부 지방에서 BC 12∼BC 6세기에 존재한 왕국. 기원전 546년 경에 페르시아의 키루스 대왕에게 멸망
|
|
|
중동 (아나톨리아 지방)
|
B.C. 750 ~ B.C.546
|
|
|
메디아 왕국 (초기, BC 750경)
|
|
|
[기원전 750년 ~ 550년] 현재의 이란 북서부의 메디아에 있었던 고대 이란인의 국가이다.
|
|
|
중동 (이란)
|
B.C. 750 ~ B.C.609
|
|
|
유럽 (게르마니아, 고대게르만족, 기원전 750년)
|
|
|
[기원전 750년 ~ 기원전 120년] 게르만족은 전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내려왔다. 기원전 700년 이전 게르만족은 스칸디나비아 남안과 유틀란드 반도에서만 거주하고 있었다. 기원전 600년~300년 사이 스칸디나비아의 온도가 내려가자 게르만족은 대거 발트해를 남하하여 발트해 남안에 거주하게 되었고 이후 남하를 계속하여 켈트족을 몰아내고 중부유럽을 차지하여 정주하게 된다.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750 ~ B.C.120
|
|
|
춘추시대 (중국)
|
|
|
[기원전 770 ~ 403] 주나라(西周)가 이민족의 공격으로 수도를 호경(鎬京)에서 동쪽의 낙양(洛陽)으로 천도한 시점부터 전국시대의 성립 이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
|
|
중국 (춘추시대)
|
B.C. 770 ~ B.C.403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1차포에니전쟁, 기원전 241년)
|
|
|
[기원전 814년 ~ 기원전 146년] 기원전 9세기 말 페니키아인이 북아프리카 의 튀니스만 북안에 건설한 식민 도시. 해상 무역으로 번영하여 뒤에 자립하였으며, 서지중해를 제패하였다.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
B.C. 814 ~ B.C.202
|
|
|
|
유럽 (게르마니아, 고대게르만족, 기원전 750년)
|
|
|
|
[기원전 750년 ~ 기원전 120년] 게르만족은 전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내려왔다. 기원전 700년 이전 게르만족은 스칸디나비아 남안과 유틀란드 반도에서만 거주하고 있었다. 기원전 600년~300년 사이 스칸디나비아의 온도가 내려가자 게르만족은 대거 발트해를 남하하여 발트해 남안에 거주하게 되었고 이후 남하를 계속하여 켈트족을 몰아내고 중부유럽을 차지하여 정주하게 된다.
|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750 ~ B.C.120
|
|
|
|
유럽 (게르마니아, 기원전 120년)
|
|
|
|
[기원전 120년 ~ 375년] 기원전 120년 유틀란드 반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이곳에 거주하고 있던 게르만족의 일파인 킴브리족과 테우토니족(튜튼족) 등이 살 곳을 찾아 남하하다가 로마와 맞닥뜨리게 된다.
|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120 ~ 375
|
|
|
|
서유럽 (프랑크 왕국, 481)
|
|
|
|
[481년 ~ 843년] 게르만족의 이동 후 프랑크족이 세운 왕국. 프랑크족은 라인강 너머에서 지금의 프랑스 지방으로 이동하여 5세기 말에 클로비스가 메로빙거 왕조를 열어 프랑크 왕국을 세웠다.
|
|
|
|
유럽 (프랑크왕국)
|
481 ~ 843
|
|
|
|
서유럽 (동프랑크 왕국, 843)
|
|
|
|
[843년 ~ 918년]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세 부분으로 나뉜 카롤링거 왕가의 프랑크 왕국 중에서 동쪽에 있던 왕국을 말한다.
|
|
|
|
유럽 (동프랑크왕국)
|
843 ~ 918
|
|
|
|
서유럽 (중프랑크 왕국, 843)
|
|
|
|
[843년 ~ 855년] 843년 베르됭 조약에 따라 프랑크 왕국이 삼분되면서 생긴 세 왕국 중 하나이다.
|
|
|
|
유럽 (중프랑크왕국)
|
843 ~ 855
|
|
|
|
서유럽 (서프랑크 왕국, 843)
|
|
|
|
[843년 ~ 987년]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세 부분으로 나뉜 카롤링거 왕가의 프랑크 왕국 중에서 서쪽에 위치한 왕국을 말한다.
|
|
|
|
유럽 (서프랑크왕국)
|
843 ~ 987
|
|
|
|
서유럽 (독일왕국, 918)
|
|
|
|
[918년 ~ 962년] 918년 콘라트 1세 사후부터 962년 오토 1세의 신성 로마 황제 취임 때까지의 독일의 왕국이다.
|
|
|
|
유럽 (독일왕국)
|
918 ~ 962
|
|
|
|
서유럽 (신성로마제국, 962)
|
|
|
|
[962년 ~ 1806년] 중세 초기에 형성되어 1806년 해체될 때까지 중앙유럽에서 발달한 다민족 영토복합체 제국이다.
|
|
|
|
유럽 (신성로마제국)
|
962 ~ 1806
|
|
|
|
서유럽 (프랑스 왕국, 987)
|
|
|
|
[987년 ~ 1792년] 프랑스의 왕정 시대를 말하는 것으로, 카페 왕조가 들어선 987년부터 루이 16세의 퇴위 이전인 1792년까지의 프랑스를 뜻한다.
|
|
|
|
유럽 (프랑스왕국)
|
987 ~ 1792
|
|
|
|
서유럽 (사르데냐 왕국, 1297)
|
|
|
|
[1297년 ~ 1861년] 13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남유럽의 한 국가였다.
|
|
|
|
유럽 (사르데냐 왕국)
|
1297 ~ 1861
|
|
|
|
서유럽 (프로이센 왕국, 1701)
|
|
|
|
[1701년 ~ 1918년] 독일 북부 지역에 위치한 왕국으로, 1701년에 성립해 1918년까지 존속했던 독일 제국의 중심적 역할을 한 국가였다
|
|
|
|
유럽 (프로이센 왕국)
|
1701 ~ 1871
|
|
|
|
서유럽 (프랑스 제1공화국, 1792)
|
|
|
|
[1792년 ~ 1804년] 프랑스의 왕정 시대를 말하는 것으로, 카페 왕조가 들어선 987년부터 루이 16세의 퇴위 이전인 1792년까지의 프랑스를 뜻한다.
|
|
|
|
유럽 (프랑스 제1공화국)
|
1792 ~ 1804
|
|
|
|
서유럽 (프랑스 제1제국, 1804)
|
|
|
|
[1804년 ~ 1814년] 1804년 수립되어 나폴레옹 1세의 통치를 받으며 1814년 혹은 1815년까지 존속한 프랑스의 절대 군주 정권이다.
|
|
|
|
유럽 (프랑스 제1제국)
|
1804 ~ 1814
|
|
|
|
서유럽 (오스트리아 제국, 1804)
|
|
|
|
[1804년 ~ 1867년] 1804년 수립되어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성립되기까지 합스부르크 왕가가 지배한 국가이다.
|
|
|
|
유럽 (오스트리아 제국)
|
1804 ~ 1867
|
|
|
|
서유럽 (이탈리아 왕국, 1805)
|
|
|
|
[1805년 ~ 181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이탈리아 북부에 세워진 국가이다. 1805년 3월 17일부터 1814년 4월 11일까지 존재했으며, 밀라노를 수도로 하였다. 나폴레옹이 몰락한 이후 없어진다.
|
|
|
|
유럽 (이탈리아 왕국)
|
1805 ~ 1814
|
|
|
|
서유럽 (라인 동맹, 1806)
|
|
|
|
[1806년 ~ 1813년] 1806년 7월 12일에 나폴레옹 1세의 보호 아래 체결된 라인강 유역의 남서 독일 16개국의 동맹. 라인 연방이라고도 한다.
|
|
|
|
유럽 (라인 동맹)
|
1806 ~ 1813
|
|
|
|
서유럽 (프랑스 왕국, 부르봉 왕정복고, 1814)
|
|
|
|
[1814년 ~ 1830년] 1814년 나폴레옹 정권이 실각함에 따라 프랑스 제1제국이 몰락하고 프랑스 혁명으로 쫓겨난 프랑스의 기존 왕실인 부르봉가가 복귀하여 세운 왕정이 통치한 시대이다.
|
|
|
|
유럽 (프랑스왕국(왕정복고))
|
1814 ~ 1830
|
|
|
|
서유럽 (독일 연방, 1815)
|
|
|
|
[1815년 ~ 1866년] 1806년 7월 12일에 나폴레옹 1세의 보호 아래 체결된 라인강 유역의 남서 독일 16개국의 동맹. 라인 연방이라고도 한다.
|
|
|
|
유럽 (독일 연방)
|
1815 ~ 1871
|
|
|
|
서유럽 (프랑스 왕국, 7월 왕정, 1830)
|
|
|
|
[1830년 ~ 1848년] 1830년 "7월 혁명" 이후, 1830년 8월 9일 창건되었으며, 왕정복고의 뒤를 이었다. 부르봉 가문의 방계 가문이던 오를레앙 가문이 권좌를 차지하였다.
|
|
|
|
유럽 (프랑스왕국(7월 왕정))
|
1830 ~ 1848
|
|
|
|
서유럽 (프랑스 제2공화국, 1848)
|
|
|
|
[1848년 ~ 1852년] 파리에서 공화국이 임시 선포된 1848년 2월 24일부터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황제 즉위를 선언한 1852년 12월 2일까지 이어진 프랑스의 공화정이다.
|
|
|
|
유럽 (프랑스 제2공화국)
|
1848 ~ 1852
|
|
|
|
서유럽 (프랑스 제2제국, 1852)
|
|
|
|
[1852년 ~ 1870년] 나폴레옹 3세 통치기간의 프랑스의 정부 체제이다. 프랑스의 최후의 제정(군주정) 체제이다.
|
|
|
|
유럽 (프랑스 제2제국)
|
1852 ~ 1870
|
|
|
|
서유럽 (이탈리아 왕국, 1861)
|
|
|
|
[1861년 ~ 1946년] 1861년부터 1946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 존재한 나라이며, 전신은 사르데냐 왕국이다.
|
|
|
|
유럽 (이탈리아 왕국)
|
1861 ~ 1946
|
|
|
|
서유럽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1867)
|
|
|
|
[1867년 ~ 1918년] 1867년에서 1918년 사이 유럽에 존재했던 군주국이다. 1867년 대타협으로 만들어졌고,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후 여러 조약으로 인해 국가 자체가 분해되었다.
|
|
|
|
유럽 (오스트리아 제국)
|
1867 ~ 1918
|
|
|
|
서유럽 (프랑스 제3공화국, 1870)
|
|
|
|
[1870년 ~ 1940년] 1870년부터 1940년까지 약 70년간 프랑스에서 존속한 가장 안정적이었던 공화정 체제이다. 또한 1789년 이후 프랑스의 체제 가운데서 처음으로 안정적으로 돌아가던 체제이기도 하다.
|
|
|
|
유럽 (프랑스 제3공화국)
|
1870 ~ 1940
|
|
|
|
서유럽 (독일 제국, 1871)
|
|
|
|
[1871년 ~ 1918년] 독일 북부 지역에 위치한 왕국으로, 1701년에 성립해 1918년까지 존속했던 독일 제국의 중심적 역할을 한 국가였다
|
|
|
|
유럽 (독일 제국)
|
1871 ~ 1918
|
|
|
|
서유럽 (바이마르 공화국, 1918)
|
|
|
|
[1918년 ~ 1933년] 1919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을 가리키던 비공식적 지명이다. 바이마르라는 이름은 이 공화국의 헌법 제정단이 처음으로 회의를 개최한 바이마르란 도시 이름에서 따왔다.
|
|
|
|
유럽 (독일 제국)
|
1918 ~ 1933
|
|
|
|
서유럽 (나치 독일, 1933)
|
|
|
|
[1933년 ~ 1945년] 1919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을 가리키던 비공식적 지명이다. 바이마르라는 이름은 이 공화국의 헌법 제정단이 처음으로 회의를 개최한 바이마르란 도시 이름에서 따왔다.
|
|
|
|
유럽 (나치 독일)
|
1933 ~ 1945
|
|
|
【B.C. 750 년】유럽 (게르마니아, 고대게르만족, 기원전 750년)
|
|
|
|
[기원전 750년 ~ 기원전 120년] 게르만족은 전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내려왔다. 기원전 700년 이전 게르만족은 스칸디나비아 남안과 유틀란드 반도에서만 거주하고 있었다. 기원전 600년~300년 사이 스칸디나비아의 온도가 내려가자 게르만족은 대거 발트해를 남하하여 발트해 남안에 거주하게 되었고 이후 남하를 계속하여 켈트족을 몰아내고 중부유럽을 차지하여 정주하게 된다.
|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750 ~ B.C.120
|
|
|
|
고조선
|
|
|
|
단군왕검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고대 국가.
|
|
|
|
대한민국 (고조선)
|
B.C. 2333 ~ B.C.100
|
|
|
|
남유럽 (페니키아문명, 기원전 1500년)
|
|
|
|
[BC 1500년 ~ BC 539년] 고대 가나안의 북쪽에 근거지를 둔 고대 문명이다. 중심 지역은 오늘날의 레바논, 시리아, 이스라엘 북부로 이어지는 해안에 있었다.
|
|
|
|
중동 (페니키아문명)
|
B.C. 1500 ~ B.C.539
|
|
|
|
인도 (후기 베다 시대, BC 1200)
|
|
|
|
[기원전 1200년 ~ 기원전 600년] 펀자브 지방에 정착하였던 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0세기에 동쪽으로 이주하여 야무나 강과 갠지스 강의 중간에 있는 비옥한 평원을 점령하였다. 이때 브라만교의 문화가 완성되었다.
|
|
|
|
인도 (베다시대)
|
B.C. 1200 ~ B.C.600
|
|
|
|
고대그리스(암흑/상고기, BC1100경)
|
|
|
|
[기원전 1100년 ~ 기원전 750년] 그리스 암흑기, [기원전 750년 ~ 기원전 580년] 그리스 상고기
|
|
|
|
남유럽 (그리스)
|
B.C. 1100 ~ B.C.510
|
|
|
|
고죽국(孤竹國, BC 11세)
|
|
|
|
[기원전 11세기 ~ 664] 상주대부터 춘추시대 후기까지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에 존재한 국가이다. 국성은 자(子), 씨는 묵태(墨胎)이다. 백이와 숙제의 고사로 알려져 있고 기원전 664년에 제에 의해 멸망했다.
|
|
|
|
중국 (고죽)
|
B.C. 1100 ~ B.C.664
|
|
|
|
이집트 제3중간기 (BC 1077)
|
|
|
|
[기원전 1077년 ~ 기원전 664년] 기원전 1077년부터 기원전 664년까지 지속된 고대 이집트의 시대 구분. 제21왕조부터 제25왕조까지가 제3중간기에 해당한다.
|
|
|
|
중동 (이집트)
|
B.C. 1077 ~ B.C.664
|
|
|
|
쿠시 왕국 (BC 1077)
|
|
|
|
[기원전 1070년경 ~ 기원후 550년경] 아프리카의 수단에 있는 누비아(Nubia)지방에 있던 왕국이다. 쿠시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에 건국된 것으로 추측되며, 서기 350년경에 쇠퇴하여 멸망하였다.
|
|
|
|
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
B.C. 1070 ~ 550
|
|
|
|
몽골초원 (고대 BC1000년)
|
|
|
|
[기원전 11세기 ~ 5세기] 몽골 / 카자흐 대초원지대의 고대 유목민족
|
|
|
|
몽골초원 (유목민족(고대))
|
B.C. 1000 ~ B.C.400
|
|
|
|
신 아시리아 제국 (초기, BC 824경)
|
|
|
|
[기원전 934년 ~ 기원전 609년] 서로 기원이 다른 여러 민족들과 부족들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 역사상 최초로 메소포타미아, 레반트, 이집트를 전부 통일했다.
|
|
|
|
중동 (메소포타미아)
|
B.C. 934 ~ B.C.671
|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기원전9세기 ~)
|
|
|
|
[기원전 9세기 ~ 4세기] 약 기원전 9세기에서 4세기까지 중부 유라시아 스텝의 넓은 지역들에서 거주했다
|
|
|
|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족)
|
B.C. 900 ~ 400
|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기원전 814년)
|
|
|
|
[기원전 814년 ~ 기원전 146년] 기원전 9세기 말 페니키아인이 북아프리카 의 튀니스만 북안에 건설한 식민 도시. 해상 무역으로 번영하여 뒤에 자립하였으며, 서지중해를 제패하였다.
|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
B.C. 814 ~ B.C.241
|
|
|
|
남유럽 (로마왕국, 기원전 753년)
|
|
|
|
[기원전 753년 ~ 기원전 509년] 로마 왕국은 왕정 시대의 고대 로마를 일컫는다. 로마는 전통적으로 기원전 753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창건자 로물루스 이래 왕정은 기원전 509년 공화정이 들어서기까지 이어졌다.
|
|
|
|
로마 (로마왕국)
|
B.C. 753 ~ B.C.509
|
|
|
|
리디아왕국 (BC 700)
|
|
|
|
[기원전 750년 ~ 546] 아나톨리아 서부 지방에서 BC 12∼BC 6세기에 존재한 왕국. 기원전 546년 경에 페르시아의 키루스 대왕에게 멸망
|
|
|
|
중동 (아나톨리아 지방)
|
B.C. 750 ~ B.C.546
|
|
|
|
메디아 왕국 (초기, BC 750경)
|
|
|
|
[기원전 750년 ~ 550년] 현재의 이란 북서부의 메디아에 있었던 고대 이란인의 국가이다.
|
|
|
|
중동 (이란)
|
B.C. 750 ~ B.C.609
|
|
|
|
유럽 (게르마니아, 고대게르만족, 기원전 750년)
|
|
|
|
[기원전 750년 ~ 기원전 120년] 게르만족은 전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내려왔다. 기원전 700년 이전 게르만족은 스칸디나비아 남안과 유틀란드 반도에서만 거주하고 있었다. 기원전 600년~300년 사이 스칸디나비아의 온도가 내려가자 게르만족은 대거 발트해를 남하하여 발트해 남안에 거주하게 되었고 이후 남하를 계속하여 켈트족을 몰아내고 중부유럽을 차지하여 정주하게 된다.
|
|
|
|
유럽 (게르마니아)
|
B.C. 750 ~ B.C.120
|
|
|
|
춘추시대 (중국)
|
|
|
|
[기원전 770 ~ 403] 주나라(西周)가 이민족의 공격으로 수도를 호경(鎬京)에서 동쪽의 낙양(洛陽)으로 천도한 시점부터 전국시대의 성립 이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
|
|
|
중국 (춘추시대)
|
B.C. 770 ~ B.C.403
|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1차포에니전쟁, 기원전 241년)
|
|
|
|
[기원전 814년 ~ 기원전 146년] 기원전 9세기 말 페니키아인이 북아프리카 의 튀니스만 북안에 건설한 식민 도시. 해상 무역으로 번영하여 뒤에 자립하였으며, 서지중해를 제패하였다.
|
|
|
|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
B.C. 814 ~ B.C.202
|
◇ 최근 등재 목록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
북아프리카 (무와히드 칼리파국, 1130년~)
|
|
[1130년 ~ 1269년] 베르베르인의 무슬림 칼리파 왕조였으며 12세기에 설립됐다. 모든 북부 아프리카를 정복해 리비아와 알안달루스, 무어인이 지배하던 이베리아반도까지 다스렸다.
|
|
아프리카 (무와히드칼리파국)
|
1130 ~ 1269
|
|
|
|
북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1040년~)
|
|
[1040년 ~ 1147년] 베르베르인이 서사하라 에서 세운 최초의 이슬람 왕조인 베르베르 왕조.
|
|
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
1040 ~ 1147
|
|
|
|
서아프리카 (송가이 제국, 1464년~)
|
|
[1464년 ~ 1591년] 15세기 ~ 16세기동안 서아프리카에서 부흥한 제국 중 하나였다. 수도는 가오였다.
|
|
아프리카 (송가이제국)
|
1464 ~ 1591
|
|
|
|
서아프리카 (말리 제국, 1235년경~)
|
|
[1235년경 ~ 167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235년부터 1670년까지 존재했던, 만딩고족이 세운 제국이었다. 순디아타 케이타에 의해 세워졌고,나이저 강을 따라 언어, 법, 관습 등을 퍼뜨렸다.
|
|
아프리카 (말리제국)
|
1235 ~ 1670
|
|
|
|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
|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
|
아프리카 (가나제국)
|
300 ~ 1235
|
|
|
|
서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718년~)
|
|
[718년 ~ 924년] 스페인 북서부에 존속했었던 기독교 국가이다. 오늘날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기원이 되는 나라이다.
|
|
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
718 ~ 924
|
|
|
|
서유럽 (카스티야 왕국, 1065년~)
|
|
[1065년 ~ 1833년] 중세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크고 강력한 상태로 존재했던 왕국이였다.
|
|
유럽 (카스티야 왕국)
|
1065 ~ 1230
|
|
|
|
서유럽 (레온 왕국, 910년~)
|
|
[910년 ~ 1230년] 이베리아반도의 북서쪽에 위치한 독립 왕국이었다. 910년 비스케이만(반도의 북쪽 해안)을 따라 있었던 아스투리아스의 기독교 왕자들이 수도를 오비에도에서 레온으로 옮겼을 때 세워졌다.
|
|
유럽 (레온 왕국)
|
910 ~ 1230
|
|
|
|
서유럽 (나바라 왕국, 824년~)
|
|
[824년 ~ 1841년] 중세 유럽의 한 나라이다. 대서양 연안의 피레네산맥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바스크 대부분을 영유하고 있었다.
|
|
유럽 (나바라 왕국)
|
824 ~ 1492
|
|
|
|
서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0년~)
|
|
[1230년 ~ 1715년] 중세 및 근대에 걸쳐 이베리아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1230년 후사가 없어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면서 탄생했다.
|
|
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
1231 ~ 1492
|
|
|
|
서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756년~)
|
|
[756년 ~ 1031년] 에스파냐 지방에 있었던 이슬람 왕조(756~1031년). 우마이야 왕조가 아바스 왕조에게 멸망되자 옴미아드 왕조의 일족인 압둘라흐만 1세가 에스파냐로 탈출하여 코르도바를 수도로 건국한 왕조를 말한다.
|
|
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
756 ~ 1031
|
|
|
|
서유럽 (아라곤 왕국, 1035년~)
|
|
[1035년 ~ 1492년] 이베리아반도의 중세 및 초기 근대 왕국이었다.
|
|
유럽 (아라곤 왕국)
|
1035 ~ 1492
|
|
|
|
서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년~)
|
|
[1238년 ~ 1492년] 에스파냐 안달루시아의 도시그라나다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이슬람 왕조
|
|
유럽 (그라나다왕국)
|
1238 ~ 1492
|
|
|
|
인도 (무굴 제국, 1758~)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58 ~ 1857
|
|
|
|
인도 (무굴 제국, 1720~)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20 ~ 1758
|
|
|
|
인도 (마라타 제국, 마다브라오 1세, 1758)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인도 (마라타 제국)
|
1758 ~ 181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