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30일 (수)
(음 4월 3일, 己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태준(李泰俊)
•
통도사(通度寺)
•
화왕계(花王戒)
•
채만식(蔡萬植)
•
옥소전(玉簫傳)
•
도화원기(桃花源記)
•
날개(-)
•
박씨전(朴氏傳)
•
한시(漢詩)
•
유배 가사(流配歌辭)
•
김시습(金時習)
•
훈몽자회(訓蒙字會)
•
얄타 회담(Yalta會談)
•
윤동주(尹東柱)
•
화사(花史)
•
홍길동전(洪吉童傳)
•
전우치전(田禹治傳)
•
춘향전(春香傳)
•
조용조(租庸調)
•
난중일기(亂中日記)
▣
경의선 (京義線)
바로가기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복선 철도. 길이 는 499.3km이며, 1906년에 개통되었다. 경부선과 함께 우리 나라의 남북을 달리는 간선 철도였으나, 휴전선에 막혀 지금은 경기도 문산까지만 운행되고 있다.
지역
:
산업 > 토목.건설.교통 > 철도
서울
과
신의주
를 잇는 복선 철도. 길이 는 499.3km이며,
1906년
에 개통되었다.
경부선과 함께 우리 나라의 남북을 달리는 간선 철도였으나, 휴전선에 막혀 지금은 경기도 문산까지만 운행되고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경의선
(京義線)
1906
철도
(鐵道)
교통
(交通)
신소설
(新小說)
증기 기관차
서울 특별시
신의주시
1899
경인선
(京仁線)
1905
경부선
(京釜線)
1914
경원선
(京元線)
1914
호남선
(湖南線)
1906년
20세기
(20世紀)
1900년대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7년
1908년
1909년
1899년
1872년
1877년
1825년
1814년
1781
조지 스티븐슨
1833
최익현
(崔益鉉)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51
임병찬
(林秉瓚)
1856
신돌석
(申乭石)
1862
이인직
(李人稙)
1868
막심 고리키
1877
헤르만 헤세
1905
통감부
(統監府)
1906
대한 자강회
1906
만세보
(萬歲報)
1906
귀의 성
(鬼--聲)
1906
혈의 누
(血--淚)
•
문산읍(汶山邑)
•
장단군(長湍郡)
•
정주군(定州郡)
•
파주시(坡州市)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경의선 철도 복원과 개성공단 건설 - 영상한국사 (166)
[역사 > 한국역사] (0)
남북경협과 개성공단의 추억 - 역덕이슈 오늘 (61)
[역사 > 한국역사] (0)
남북 정상 처음으로 만나다 - 역덕이슈 오늘 (60)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