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9일 (수)
(음 3월 12일, 戊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5교 9산(五敎九山)
•
토정비결(土亭秘訣)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향가(鄕歌)
•
금오신화(金鰲新話)
•
조지 버클리
•
서유기(西遊記)
•
이상(李箱)
•
유연(柔然)
•
날개(-)
•
아카바(al-Aqabah)
•
이광수(李光洙)
•
찰스 톰슨 리스 윌슨
•
가사(歌辭)
•
그루지야(Gruziya)
•
희양산문(曦陽山門)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설악산(雪嶽山)
•
한용운(韓龍雲)
•
을지문덕전(乙支文德傳)
▣
구연학 (具然學)
바로가기
[? ~ ?] 신소설 작가. 1908년, 일본 개화기 의 작가 스에히로가 쓴 소설 《설중매》의 등장 인물 및 무대를, 당시의 우리 나라 사정에 맞추어 재구성 번안(飜案)하여 《설중매》라는 같은 제목으로 발표했다.
인물
:
인물 > 한국
[? ~ ?] 신소설 작가. 1908년, 일본 개화기 의 작가 스에히로가 쓴 소설 《설중매》의 등장 인물 및 무대를, 당시의 우리 나라 사정에 맞추어 재구성 번안(飜案 : 외국의 소설· 희곡 등을 사건이나 줄거리는 그대로 하고 인정· 풍속· 지명·인명 등을 자기 나라의 것으로 고치어 짓는 일)하여 《설중매》라는 같은 제목으로 발표했다.
이 작품은 대표적인 사회 소설의 하나로 개화기의 신소설 창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 밖에 약간의 정치 논설도 발표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구연학
(具然學)
개화기 문학
신소설
(新小說)
1908년
설중매
(雪中梅)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설중매
신소설
구연학 (具然學)
(2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