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국보 (國寶)
우리 나라의 옛날 건축물, 미술품, 공예품 등의문화재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들을 가려서 문화재 위원회의심의를 거쳐 지정하고 보호하는 보물.
◈ 지식지도 관계
국보 (國寶) 1394 양녕 대군 (讓寧大君) 숭례문 (崇禮門)
 
◈ 최근등록순
2023.12.28
강원·영남 대표누각 「삼척 죽서루」와 「밀양 영남루」 ‘국보’ 지정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인 2건의 대형누각(樓閣) 「삼척 죽서루」와 「밀양 영남루」를 국보로 지정하고, 12월 28일(목)에는 삼척 시민들과 함께 하는 「삼척 죽서루」의 국보 지정서 전달 행사를 개최한다.【유형문화재과】
2020.06.29
보물 ‘삼국유사 권4~5’ 국보로 지정 예고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보물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를 국보로 지정 예고하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진 원(元)나라 법전인 ‘지정조격 권1∼12, 23∼34’를 비롯해 ‘장용영 본영 도형 일괄’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기로 하였다.【유형문화재과】
2020.06.25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은 국보,「안동 봉황사 대웅전」은 보물로 지정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보물 제410호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旌善 淨巖寺 水瑪瑙塔)’을 국보 제322호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안동 봉황사 대웅전(安東 鳳凰寺 大雄殿)’을 보물 제2068호로 지정하였다. 또한, 경북 영양에 있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0호 ‘의성 고운사 연수전(義城 孤雲寺 延壽殿))’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2020.06.23
17세기 불상조각 대가, 현진스님 첫 작품 ‘보물’ 지정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조선 17세기 불교조각 조성에 큰 자취를 남긴 조각승 현진(玄眞)의 가장 이른 작품인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15세기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보물 제2066호와 보물 제2067호로 각각 지정하였다. 또한, 국보 제168호 ‘백자 동화매국문병’은 가치 재검토를 거쳐 국보에서 해제하였다.【유형문화재과】
2020.02.20
(국영문 동시 배포) 우리 옛 과학기술의 꽃,「공주 충청감영 측우기」국보 지정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근대시기 이전의 강수량 측정 기구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보물 제561호 ’금영 측우기‘를 비롯해 조선 시대 측우(測雨) 제도를 계통적으로 증명해주는 2점의 측우대인 보물 제842호 ‘대구 선화당 측우대’와 보물 제844호 ‘창덕궁 측우대’를 국보로 지정 하였다.【유형문화재과】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