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6일 (수)
(음 3월 19일, 乙卯)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동파키스탄(東Pakistan)
•
북천가(北遷歌)
•
금오신화(金鰲新話)
•
염상섭(廉想涉)
•
토끼전(----傳)
•
불영사(佛影寺)
•
의상(義湘)
•
6·10 만세 운동
•
경복궁(景福宮)
•
춘향전(春香傳)
•
고전 문학(古典文學)
•
강천사(剛泉寺)
•
구운몽(九雲夢)
•
난중일기(亂中日記)
•
만세전(萬歲前)
•
시조(時調)
•
가사(歌辭)
•
종로구(鍾路區)
•
이매창(李梅窓)
▣
김교헌 (金敎獻)
바로가기
[1868 ~ 1923] 대종교(大倧敎)의 제2대 도사교(교주). 뒤에 이름을 김헌이라 하였다.
인물
:
인물 > 한국
[1868 ~ 1923]
대종교(大倧敎)
의 제2대 도사교(교주). 뒤에 이름을 김헌이라 하였다.
188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의, 대사성, 가선 대부에 올랐다. 1909년에 대종교 에 입교하여 1916년에
나철
의 뒤를 이어 교주가 되었다. 이듬해 일제의 탄압을 피하여 교단의 중심인 총본사를 중국 동북 지방으로 옮기고, 각지에 교당을 설립하여 독립 운동 에 적극 참여하였다.
저서에 《신단민사》 《신단실기》 《단기사고》 등이 있다.
[숨기기]
김교헌
(金敎獻)
[1868 ~ 1923]
대종교(大倧敎)
의 제2대 교주
188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의, 대사성, 가선 대부
1909년에 대종교에 입교
1916년에
나철
의 뒤를 이어 교주가 되었다
총본사를 중국 동북 지방으로 옮김
각지에 교당을 설립하여 독립 운동 에 적극 참여
◈ 지식지도
관계
김교헌
(金敎獻)
1868
1909
대종교
(大倧敎)
개천절
(開天節)
단군 신앙
1923년
1863
나철
(羅喆)
1884
윤세복
(尹世復)
1887
서상일
(徐相日)
1906
을사오적 암살단
1947
대동 청년단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
민족주의 사학
•
신단실기(神檀實記)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국가보훈처
2018.07.31
◈
2018년 8월의 독립운동가로 김교헌 선생 선정
【--】
- 신단실기와 신단민사를 저술, 민족주체역사관 정립 -【공훈관리과 - 이광현 (044-202-5771)】
0
|
국가보훈처
,
김교헌
,
대종교
,
독립 기념관
,
신단실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국가보훈처
2017.12.11
◈
2018년도 이달의 독립운동가 선정 결과 발표
【--】
2018년도 이달의 독립운동가 선정 결과 발표【공훈관리과 - 이광현 (044-202-5771)】
0
|
국가보훈처
,
광복군
,
최용덕
,
한인 애국단
,
조경환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