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2월 3일 (월)
(음 1월 6일, 癸卯)
집계기준 : 2025년 2월 3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파주시(坡州市)
•
박지원(朴趾源)
•
박태원(朴泰遠)
•
흥친왕(興親王)
•
안조환(安肇煥)
•
채만식(蔡萬植)
•
5교 9산(五敎九山)
•
둥가 타령(----打令)
•
구산 선문(九山禪門)
•
주역언해(周易諺解)
•
채식주의자
•
캐나다(Canada)
•
안확(安廓)
•
양사언(楊士彦)
•
천변풍경(川邊風景)
•
안후이성(安徽省)
•
국민 교육 헌장
•
안춘생(安椿生)
•
안중근(安重根)
•
경보(競步)
▣
김약연 (金躍淵)
[1868 ~ 1942] 독립 운동가·교육자. 호는 규암(圭巖)이다. 1963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로 대통령 표창, 1977년에 건국 훈장 국민장을 받았다.
[1868 ~ 1942] 독립 운동가·교육자. 호는 규암(圭巖)이다.
함북 회령에서 태어나 1899년(광무 3년)에 간도로 가서 동포들의 자치 활동을 위한 단체인 규암재를 세워 교육 사업에 힘썼다.
1908년
에
명동 서숙
을 세워 스스로 숙감이 되어 돌보는 한편, 크리스트교에 입교하여 명동 교회를 세웠다.
1919년에 임시 정부의 초청으로 상하이로 가던 중 중국 관헌에게 붙잡혀 2년 동안 옥살이를 하고, 석방된 뒤 계속 교육 사업에 힘썼다. 1929년에 평양 신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목사가 되었다.
1963년에 대한민국 건국공로로 대통령 표창, 1977년에 건국 훈장 국민장을 받았다.
[숨기기]
◈ 지식지도
비교
김약연
(金躍淵)
1868
한국의 독립운동
간도
(間島)
명동촌
(明東村)
1908년
1873
이동휘
(李東輝)
1908
명동학교
1906
서전 서숙
•
북간도 국민회
•
간도국민회(間島國民會)
•
구춘선(具春先)
◈ 최근등록순
이일걸의 지식창고
>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20.03.01
◈
간도개척과 항일투쟁의 중심지 용정을 가다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만주국 영역은 중국 한족 땅이 아니라 ‘한민족의 통치영역’
1
|
간도
,
김약연
,
백두산 정계비
,
룽징 시
,
명동학교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명동촌 개척과 명동학교 개교 - 영상한국사 (164)
[역사 > 한국역사] (0)
간민회, 간도 거주 한인 교육과 반일민족활동 - 영상한국사 (33)
[역사 > 한국역사] (0)
명동촌 개척과 명동학교 개교 - 영상한국사 (32)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