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6일 (일)
(음 3월 9일, 乙巳 )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심청전(沈淸傳)
•
나겔점(Nagel點)
•
기재기이(企齋記異)
•
청산별곡(靑山別曲)
•
날개(-)
•
권섭(權燮)
•
연행가(燕行歌)
•
E.B. 타일러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논어집주(論語集註)
•
신흠(申欽)
•
서원(書院)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전라 북도(全羅北道)
•
최서해(崔曙海)
•
삼설기(三說記)
•
소북파(小北派)
•
이기영(李箕永)
•
삼국사기(三國史記)
▣
김인겸 (金仁謙)
바로가기
[1707 ~ 1772] 조선 중기의 문인. 본관 안동. 자는 사안(士安), 호는 퇴석(退石)이다. 1763년(영조 39년) 조엄을 정사로 한 일본 통신사의 삼방 서기로 수행하여, 일본 에도(지금의 도쿄) 등 여러 곳의 견문, 풍습, 감상을 읊은 《일동장유가》를 지었다.
인물
:
인물 > 한국
[1707 ~ 1772] 조선 중기의 문인. 본관 안동. 자는 사안(士安), 호는 퇴석(退石)이다. 1753년(영조 29)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었다.
1763년
(영조 39년)
조엄
을 정사(正使)로 한
일본 통신사(日本通信使)
의 삼방 서기(三房書記)로 수행하여, 일본 에도(江戶:지금의 도쿄東京) 등 여러 곳의 견문, 풍습, 감상을 읊은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를 지었다.
이 기행 가사는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숨기기]
김인겸
(金仁謙)
[1707 ~ 1772] 조선 중기의 문인. 본관 안동.
1753년(영조 29)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었다.
1763년(영조 39년)
조엄을 정사(正使)로 한 일본 통신사((日本通信使)의 삼방 서기(三房書記)로 수행
일본 에도(江戶) 등 여러 곳의 견문, 풍습, 감상 을 읊은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를 지었다.
이 기행 가사는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 지식지도
관계
김인겸
(金仁謙)
1707
조선 통신사
가사
(歌辭)
가사 문학
(歌辭文學)
기행가사
1763년
18세기
(18世紀)
1760년대
1760년
1761년
1762년
1764년
1765년
1766년
1767년
1768년
1769년
1719
조엄
(趙曮)
1635
윤지완
(尹趾完)
1667
홍치중
(洪致中)
1690
김수장
(金壽長)
1703
홍계희
(洪啓禧)
1716
서명응
(徐命膺)
1724
영조
(英祖)
1842
홍순학
(洪淳學)
1607
정미사행
1617
정사사행
1624
갑자사행
1637
병자사행
1643
계미사행(1643)
1655
을미사행
1682
임술사행
1711
신묘사행
1719
기해사행
1747
무진사행
1763
계미사행(1763)
1811
신미사행
1763
일동장유가
해행총재
(海行摠載)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1866
연행가
(燕行歌)
윌크스 사건
1756
7년 전쟁
(七年戰爭)
1763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
고구마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일동장유가
日東壯遊歌
가사
김인겸
(485)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