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5월 5일을
명절로 이르는 말. 수리, 또는 수릿날, 중오절, 천중절이라고도 한다.
유래
단오의 ‘단(端)’은 `처음’을 뜻하고, ‘오(午)’는 다섯을 뜻하는 글자로서 첫째 번 5일이라는 뜻이다. 옛날 중국의 음양 철학에서 생긴 이름이다. 홀수를 ‘양(陽)’이라 하고 짝수를 ‘음(陰)’이라 하는데, 홀수가 겹치는 날은 생기가 왕성한 날이라 하여 이 날을 명절로 삼았다.
단옷날을 천중지가절, 천중가절, 천중절이라고도 하는데, 일년 중에서 좋은 명절이라는 뜻이다.
단오를 명절로 삼아 온 것은 중국의 한나라 때부터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 이후의 풍속이다.
세시 풍속
설,
한식,
추석과 함께 큰 명절의 하나인 단오에는 여러 가지 풍속이 전해 오고 있다. 옛날 단옷날에는 이른 아침에 여러 가지 음식을 사당에 차려 놓고 단오 차례를 지내어, 조상을 추모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잊지 않았다. 이 날은 남녀가 모두 새 옷을 입고 하루를 즐겼다.
부녀자들은 큰 나무에 그네를 매고 그네를 뛰었으며, 남자들은 잔디밭이나 모래밭에 모여서 씨름을 하였다. 그리고 창포를 삶아 그 물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에 윤이 나고 숱이 많아진다고 하여, 남성이나 여성이나 창포탕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었다. 또 아낙네들은 창포를 잘라 비녀삼아 머리에 꽂기도 했다. 그 비녀에는 ‘壽, 福’의 두 글자를 새기기도 하고, 그것으로 연지나 곤지를 찍기도 했는데, 이는 나쁜 귀신 을 물리치는데 효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단옷날 오시(午時)에 뜯은
쑥과
익모초는 약효가 크다고 해서 농가에서는 그것을 꼭 뜯었다. 쑥은 쌀가루와 버무려서 떡, 송편을 만들거나 약으로 쓰기도 하였다. 익모초는 날것으로 짓찧어서 그 물을 짜내어 마시는데, 그 맛이 매우 쓰지만 입맛을 돋우고 여름철에 더위를 막아 준다 하여 약으로 먹었다.
또 농촌에서는 이 날 오시에 도끼로 과실나무의 가지를 치고,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라 하여 대추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우는 풍습도 있었다. 그렇게 하면 그 해에 열매가 많이 열린다고 믿었다. 단오 때에는 만물이 무성할 뿐 아니라 더위가 시작되는 철이어서, 신록을 즐기면서 더위를 피하려는 여러 가지 일들이 세시 풍속으로 굳어져 생활화되었다.
단오절의 유래는 중국 초나라 때이며, 굴원이라는 신하가 간신의 모함을 받아 그 억울함을 호소하고, 자신의 누명을 벗기 위하여 '멱라수'라는 강에 몸을 던져 지조를 보였다. 이 날이 바로 음력 5월 5일이며, 이 후 해마다 굴원의 넋을 달래기 위해 제사를 지내게 되었는데, 이것이 우리 나라에 전해져 단옷날이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