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6일 (일) (음 3월 9일, 乙巳 )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보물 제527호) 조선 후기의 화가 단원 김홍도가 그린 풍속 화첩. 종이 바탕에 엷은 먹물로 그린 수묵 담채이다. 크기는 세로 28㎝, 가로 24㎝로써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지식지도 관계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박물관 (博物館) 용산구 (龍山區) 1745 김홍도 (金弘道) 1758 신윤복 (申潤福) 1713 강세황 (姜世晃) 1726 신한평 (申漢枰) 1754 김득신 (金得臣) 1945 국립 중앙 박물관 1392 도화서 (圖化署) 1972 국립 공주 박물관 1975 국립 경주 박물관 1978 국립 광주 박물관 1978 국립전주박물관 1984 국립진주박물관 1987 국립청주박물관 1992 국립 민속 박물관 1993 국립 부여 박물관 1994 국립대구박물관 1997 국립김해박물관 1997 국립제주박물관 2002 국립춘천박물관 2013 국립 나주 박물관 2015 국립익산박물관 신윤복 필 미인도 1776 김홍도 필 군선도 병풍 1796 김홍도 필 병진년 화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단원풍속도첩 檀園風俗圖帖 어문/학습/예술 김홍도 (49)
◈ 참조 원문/전문
혜원풍속도첩 蕙園風俗圖帖 어문/학습/예술 신윤복 (77) 긍재풍속도첩 兢齋風俗圖帖 어문/학습/예술 김득신(金得臣) (23)
 
◈ 최근등록순
2020.05.12
【예술】 국립중앙박물관은 5월 6일 재개관을 기념하여 단원壇園 김홍도金弘道(1745~1806 이후)의 《단원풍속도첩》을 전시한다. 《단원풍속도첩》은 김홍도의 대표작으로, 잘 알려진 <씨름>, <무동>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미술부】
2015.08.24
김홍도의 풍속화 감상
【--】 조선의 3대 화가중 정조임금이 가장 총애한 화가는 단원 김홍도(金弘道,1745~ ?)입니다. 시민의 삶에 대한 그림뿐만 아니라 1795년 정조의 수원화성 행차를 그린 8폭 화성능행도(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에 행차한 모습을 그린 병풍그림)는 매우 사실적이며 꼼꼼하지요.그래서 화성능행도는 당대 촤고의 궁중화가인 김홍도(1745~ ?)가 주도하여 그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여 김홍도 풍속화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