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9일 (수)
(음 3월 12일, 戊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5교 9산(五敎九山)
•
토정비결(土亭秘訣)
•
조지 버클리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금오신화(金鰲新話)
•
서유기(西遊記)
•
향가(鄕歌)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오륜가(五倫歌)
•
시안 시(西安市)
•
유연(柔然)
•
이광수(李光洙)
•
태평사(太平詞)
•
윤한홍(尹漢洪)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정진사전(鄭進士傳)
•
조용조(租庸調)
•
여수 8경(麗水八景)
•
두껍전(----傳)
•
캉 유웨이([康有爲])
▣
대동법 (大同法)
바로가기
조선 중기에 각 지방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바치게 한 제도. 공납의 폐단을 없애기 위한 것이 대동법이었다.
지식
:
역사 > 한국사 > 제도(세제)
조선 중기에 각 지방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제도.
본래 특산물로 바치던
공납
은 그것을 바치는 시기와 지방에 따른 물품이 맞지 않아 여러 가지 폐단이 있었다. 또한 그것을 미끼로 한 관리들의 농간으로 백성들의 부담이 컸었는데, 그 폐단을 없애기 위한 것이 대동법이었다.
17세기 초
이원익
,
한백겸
의 적극적인 주장으로 경기도 에 먼저 실시되고, 점차 확대되어 숙종 때에는 함경도, 평안도를 제외한 전국에 실시되었다.
공물 대신 백성들로부터 쌀이나 베 또는 돈을 거두어 그것으로써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사 쓰도록 한 것이다.
대동법의 실시로 공물 청부업자인 공인(貢人)이 생겨 이들이 산업 자본가로 성장, 조선 후기의 상공업 발달에 커다란 구실을 하게 되었다.
[숨기기]
대동법
(大同法)
조선 중기에 각 지방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제도.
본래 특산물로 바치던
공납
은
그것을 바치는 시기와 지방에 따른 물품이 맞지 않아 여러 가지 폐단
이를 미끼로 한 관리들의 농간으로 백성들의 부담이 컸었는데,
그 폐단을 없애기 위한 것이 대동법이었다.
17세기 초
이원익
,
한백겸
의 주장으로
경기도에 먼저 실시되고,
점차 확대되어 숙종 때에는 함경도, 평안도를 제외한 전국에 실시
대동법의 실시로 공물 청부업자인 공인(貢人)이 생겨
이들이 산업 자본가로 성장,
조선 후기의 상공업 발달에 커다란 구실
◈ 지식지도
관계
대동법
(大同法)
공납
(貢納)
조세
(租稅)
조용조
(租庸調)
간접세
(間接稅)
국세
(國稅)
균전제
(均田制)
실학
(實學)
지방세
(地方稅)
직접세
(直接稅)
대북파
(大北派)
1575
동인
(東人)
1591
남인
(南人)
1604
호성 공신
1750
균역법
(均役法)
1608년
17세기
(17世紀)
1600년대
1600년
1601년
1602년
1603년
1604년
1605년
1606년
1607년
1609년
1547
이원익
(李元翼)
1552
한백겸
(韓百謙)
1501
이황
(李滉)
1519
민순
(閔純)
1536
이이
(李珥)
1539
정여립
(鄭汝立)
1543
정구
(鄭逑)
1545
이순신
(李舜臣)
1595
허목
(許穆)
1608
광해군
(光海君)
1617
윤휴
(尹鑴)
1608
선혜청
(宣惠廳)
균역청
(均役廳)
진휼청
(賑恤廳)
1510
비변사
(備邊司)
993
상평창
(常平倉)
동국지리지
고공답주인가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
김육(金堉)
•
이시백(李時白)
•
인조(仁祖)
•
조선 숙종(肅宗)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대동법 ? 가진 자는 많이, 없는 자는 적게 - 영상한국사 (236)
[역사 > 한국역사] (0)
공납의 대안 ‘대동법’, 지주들의 반발에 부딪히다 - 영상한국사 (235)
[역사 > 한국역사] (0)
방납의 폐단 - 영상한국사 (071)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