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7일 (목)
(음 3월 20일, 丙辰)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신미록(辛未錄)
•
절(寺)
•
시경(詩經)
•
강천사(剛泉寺)
•
춘향전(春香傳)
•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
•
고전 문학(古典文學)
•
날개(-)
•
무정(無情)
•
6전(六典)
•
게티즈버그 연설
•
김홍도(金弘道)
•
조용조(租庸調)
•
매화전(梅花傳)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종로구(鍾路區)
•
천자문(千字文)
•
산해경(山海經)
•
난중일기(亂中日記)
▣
동국문헌비고 (東國文獻備考)
바로가기
조선 영조때 엮은 일종의 백과 전서. 영조의 명에 따라 홍봉한 등이 엮은 책으로 우리 나라의 문물 제도를 분류 정리한 내용이다. 1770년(영조 46년)에 완성되었는데, 모두 13부문으로 나뉘어 100권 40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품
:
유물 > 고도서
조선 영조때 엮은 일종의 백과 전서.
영조
의 명에 따라
홍봉한
등이 엮은 책으로 우리 나라의 문물 제도를 분류 정리한 내용이다.
1770년
(영조 46년)에 완성되었는데, 모두 13부문으로 나뉘어 100권 40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동국문헌비고
(東國文獻備考)
1770
1750
균역법
(均役法)
탕평책
(蕩平策)
1770년
1392
조선
(朝鮮)
18세기
(18世紀)
1770년대
1903년
1771년
1772년
1773년
1774년
1775년
1776년
1777년
1778년
1779년
1761년
1769년
1713
홍봉한
(洪鳳漢)
1724
영조
(英祖)
1650
최규서
(崔奎瑞)
1664
민진원
(閔鎭遠)
1667
홍치중
(洪致中)
1674
조선 숙종
(肅宗)
1674
이광좌
(李光佐)
1677
김흥경
(金興慶)
1682
김재로
(金在魯)
1687
인원 왕후
1691
유척기
(兪拓基)
1692
정성 왕후
(貞聖王后)
1692
이종성
(李宗城)
1694
김약로
(金若魯)
1702
김상로
(金尙魯)
1703
한익모
(韓翼謩)
1711
민백상
(閔百祥)
1712
김상철
(金尙喆)
1716
김치인
(金致仁)
1720
조선 경종
(景宗)
1722
홍인한
(洪麟漢)
1735
장헌 세자
(莊獻世子)
1735
혜경궁 홍씨
1736
김귀주
(金龜株)
1745
정순 왕후
(貞純王后)
1776
조선 정조
(正祖)
1849
박용대
(朴容大)
증보문헌비고
속대전
(續大典)
영조 어진
(英祖御眞)
1721
신임사화
(辛壬士禍)
1728
이인좌의 난
(李麟佐亂)
1755
나주 괘서 사건
1762
임오화변
(壬午禍變)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