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날개(-)
•
광통관(廣通館)
•
정진사전(鄭進士傳)
•
시경(詩經)
•
가정 소설(家庭小說)
•
허생전(許生傳)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호질(虎叱)
•
대학(大學)
•
홍길동전(洪吉童傳)
•
이날치(李捺致)
•
용부가(庸婦歌)
•
박유전(朴裕全)
•
담양군(潭陽郡)
•
김유정(金裕貞)
•
허브드 주(Khovd)
•
바다(-)
•
황조가(黃鳥歌)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존 로크 (John Locke)
바로가기
[1632 ~ 1704] 영국의 철학자, 정치 사상가.
인물
:
인물 > 외국
[1632 ~ 1704] 영국의 철학자, 정치 사상가. 옥스퍼드 대학에서 철학· 정치· 종교를 배웠고, 그 뒤에 의학을 공부하였다.
샤프츠버리 백작의 전속 의사, 고문 등으로 백작의 정치 생활을 돕다가 함께 네덜란드로 망명하였다. 그 곳에서 뛰어난 학자들과 사귀면서 철학 을 연구하여
인식론
의 창시자,
계몽 철학
의 개척자가 되었다.
또 정치 사상에서는 의회주의적인 입법· 사법· 행정의 분립을 주장하여
몽테스키외
의 ‘
3권 분립론
’을 낳는 데 크게 영향을 끼쳤다.
저서에 《관용론》 《정치 이론》 《
인간 오성론
》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존 로크
(John Locke)
1632
계몽주의
(啓蒙主義)
영국 철학
인식론
(認識論)
서양철학
경험
(經驗)
경험론
(經驗論)
권력 분립
(權力分立)
그리스 철학
독일 관념론
산업 혁명
(産業革命)
스콜라 철학
스토아 학파
실용주의
(實用主義)
에피쿠로스 학파
윤리학
(倫理學)
중세 철학
(中世哲學)
지식
(知識)
진화
(進化)
철학
(哲學)
합리론
(合理論)
형이상학
신플라톤주의
변증법적 유물론
현대철학
1485
튜더 왕조
스튜어트 왕조
1689
몽테스키외
-384
아리스토텔레스
-427
플라톤
(Platon)
1285
윌리엄 오컴
1478
토머스 모어
1596
르네 데카르트
1639
장 라신
1646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1685
조지 버클리
1694
볼테르
(Voltaire)
1711
데이비드 흄
1712
장 자크 루소
1723
애덤 스미스
1724
이마누엘 칸트
1748
제러미 벤담
1770
헤겔
(Hegel)
1809
찰스 다윈
1859
존 듀이
1859
에드문트 후설
1873
조지 에드워드 무어
1651
리바이어던
1781
순수 이성 비판
1910
수학 원리
1688
명예 혁명
(名譽革命)
1789
프랑스 혁명
(미정의)
3권분립론
(미정의)
인간오성론
•
바제도(Basedow, Johannes Bernhard)
•
1690년
•
미학(美學)
•
사회 계약설
•
시민 사회(市民社會)
•
실재론(實在論, realism)
•
자연법(自然法)
•
천부 인권 사상
•
기호학(semiotics)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