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0일 (목)
(음 3월 13일, 己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전우치전(田禹治傳)
•
5교 9산(五敎九山)
•
시경(詩經)
•
한양도성(漢陽都城)
•
명심보감(明心寶鑑)
•
정진사전(鄭進士傳)
•
정극인(丁克仁)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가사(歌辭)
•
이옥(李鈺)
•
채만식(蔡萬植)
•
구운몽(九雲夢)
•
태평천하(太平天下)
•
오감도(烏瞰圖)
•
오륜가(五倫歌)
•
이상(李箱)
•
어부가(漁父歌)
•
현진건(玄鎭健)
•
귀토설화(龜兔說話)
•
두껍전(----傳)
▣
무신의 난 (武臣--亂)
바로가기
고려 때 무신들이 일으킨 변란. 문(文)을 숭상하고 무(武)를 천시하는 풍조와 무신에 대한 여러 가지 차별 대우에 대한 불만에서 일어났다. 좁은 뜻으로는 정중부의 난(1170년)을 말하나, 넓은 뜻으로는 고려 시대에 있었던 무신의 난 모두를 가리킨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사건
:
역사 > 한국사 > 사건
고려 때 무신들이 일으킨 변란. 문(文)을 숭상하고 무(武)를 천시하는 풍조와 무신에 대한 여러 가지 차별 대우에 대한 불만에서 일어났다. 좁은 뜻으로는
정중부의 난
(
1170년
)을 말하나, 넓은 뜻으로는 고려 시대에 있었던 무신의 난 모두를 가리킨다.
무신의 난이 처음 일어난 것은 현종 때의
김훈·최질의 난
(
1014
)이며, 그 뒤
정중부의 난
으로 본격화하여
경대승
,
이의민
,
최충헌
등이 잇달아 집권자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여
무신 정권 시대
를 이루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무신의 난
(武臣--亂)
1170
1170
무신 정권
(武臣政權)
1196
최씨 무신 정권
1170년
1014년
11세기
12세기
1170년대
1010년대
1171년
1172년
1173년
1174년
1175년
1177년
1178년
1179년
1135년
1010년
1011년
1013년
1015년
1016년
1017년
1018년
1019년
1146
이의민
(李義旼)
1149
최충헌
(崔忠獻)
1154
경대승
(慶大升)
1105
예종
(睿宗)
1106
정중부
(鄭仲夫)
1119
김돈중
(金敦中)
1123
김보당
(金甫當)
1123
고려 인종
(仁宗)
1168
이규보
(李奎報)
1170
명종
(明宗)
1197
고려 신종
(神宗)
1199
최우
(崔瑀)
1204
고려 희종
(熙宗)
1207
최항
(崔沆)
1208
최의
(崔竩)
1211
강종
(康宗)
1213
고려 고종
(高宗)
1218
김준
(金俊)
1220
임연
(林衍)
1220
임유무
(林惟茂)
12C초
이의방
(李義方)
984
왕가도
(王可道)
도방
(都房)
1014
김훈·최질의 난
1170
정중부의 난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
망소이(亡所伊)
•
황보항(皇甫抗)
•
정균(鄭筠)
•
고려(高麗)
•
최질(崔質)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