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7일 (목)
(음 3월 20일, 丙辰)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절(寺)
•
강천사(剛泉寺)
•
신미록(辛未錄)
•
시경(詩經)
•
정지용(鄭芝溶)
•
날개(-)
•
단군 신화(檀君神話)
•
조용조(租庸調)
•
6전(六典)
•
천자문(千字文)
•
매화전(梅花傳)
•
종로구(鍾路區)
•
산해경(山海經)
•
김홍도(金弘道)
•
무정(無情)
•
난중일기(亂中日記)
•
태종 무열왕
•
옹고집 타령
•
양성법사(養性法師)
▣
백광훈 (白光勳)
바로가기
[1537 ~ 1582] 조선 중기의 시인. 호는 옥봉(玉峰)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537 ~ 1582] 조선 중기의 시인. 호는 옥봉(玉峰)이다.
어려서부터 시재(詩才)가 있어, 13세 때 서울로 올라와 양응남·
노수신
에게서 배웠다. 1564년(명종19년)에 진사 가 되었으나 벼슬에 마음이 없어 과거 시험은 치르지 않았다.
1572년에 명나라 사신이 오자 스승인 노수신과 함께 사신 에게 시와 글을 지어 주어 그들을 감탄시켰다. 당시의
최경창
·
이달
과 함께 조선에서는 처음으로 성당(盛唐)의 시풍에 들어갔다 하여, 삼당(三唐) 시인으로 불렸다.
글씨도 잘 썼으며 특히 영화체에 뛰어났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백광훈
(白光勳)
1537
대윤 소윤
원주시
(原州市)
1515
노수신
(盧守愼)
1539
최경창
(崔慶昌)
1561
이달
(李澾)
1476
이기
(李芑)
1484
이연경
(李延慶)
1501
이황
(李滉)
1510
김인후
(金麟厚)
1520
휴정
(休靜)
1523
박순
(朴淳)
1527
기대승
(奇大升)
1534
송익필
(宋翼弼)
1536
이이
(李珥)
홍랑
(紅娘)
1537
이항
(李恒)
1539
정여립
(鄭汝立)
1569
허균
(許筠)
1582
팔봉서원
(八峰書院)
1622
화암서원
(花巖書院)
879
봉암사
(鳳巖寺)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47
정미사화
(丁未士禍)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
이순인(李純仁)
•
하응림(河應臨)
•
식영정(息影亭)
•
해남군(海南郡)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조룡대
釣龍臺
근/현대 수필
김동인
(1)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