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0일 (토)
(음 4월 13일, 己卯)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동몽선습(童蒙先習)
•
백련초해(百聯抄解)
•
이상(李箱)
•
네르친스크 조약
•
진경 산수화
•
장수도마뱀(將帥------)
•
성삼문(成三問)
•
옥소전(玉簫傳)
•
난중일기(亂中日記)
•
천변풍경(川邊風景)
•
태평천하(太平天下)
•
논어집주(論語集註)
•
봄봄( )
•
1520년
•
유몽인(柳夢寅)
•
별건곤(別乾坤)
•
홍루몽(紅樓夢)
•
중앙선 폐철도 노선
•
자경별곡(自警別曲)
•
고려 가요(高麗歌謠)
▣
보우 (普雨)
바로가기
[1515 ~ 1565] 조선 명종 때의 승려. 호는 허응당(虛應堂), 또는 나암(懶菴)이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인물
:
인물 > 한국
[1515 ~ 1565] 조선 명종 때의 승려. 호는 허응당(虛應堂), 또는 나암(懶菴)이다.
1530년에 금강산 마아연암에 들어가 경전을 연구하였다. 그 후
문정 왕후
의 신임을 받아 궁중에 살면서 승과(僧科)를 제정하고 전국의 절을 새롭게 하는 등 불교의 교세 부흥에 힘썼다.
그러나 1565년
문정 왕후
가 죽은 뒤 유학자들의 모함을 받아 제주도로 귀양갔다가 피살되었다.
저서로는 《허응당집》 《불사문답》 등이 있다.
[숨기기]
보우
(普雨)
[1515 ~ 1565] 조선 명종 때의 승려.
호는 허응당(虛應堂), 또는 나암(懶菴)이다.
1530년에 금강산 마아연암에 들어가 경전을 연구
문정 왕후
의 신임을 받아 궁중에 살면서
승과(僧科)를 제정하고
불교의 교세 부흥에 힘썼다.
1565년 문정 왕후가 죽은 뒤
유학자들의 모함을 받아 제주도로 귀양갔다가 피살되었다.
저서로는 《허응당집》 《불사문답》 등이 있다.
◈ 지식지도
관계
보우
(普雨)
1515
수렴청정
대윤
(大尹)
소윤
(小尹)
1392
조선
(朝鮮)
1545년
1501
문정 왕후
(文定王后)
1545
명종
(明宗)
1476
이기
(李芑)
1481
성세창
(成世昌)
1484
정순붕
(鄭順朋)
1487
윤임
(尹任)
1499
이준경
(李浚慶)
1503
권철
(權轍)
1506
조선 중종
(中宗)
1512
홍언필
(洪彦弼)
1515
윤원형
(尹元衡)
1532
인순왕후
(仁順王后)
1544
조선 인종
(仁宗)
1567
선조
(宣祖)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65
태강릉
(泰康陵)
•
오세암(五歲庵)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권념요록
勸念要錄
종교
보우(普雨)
(2)
◈ 최근등록순
궁인창의 지식창고
>
북한 사암 지상순례기
2024.07.04
◈
15. 황해도 서흥 귀진사를 찾아서
【문화】
오늘은 서울을 출발점으로 하여 금천군하(金川郡下)의 사암(寺庵)을 돌아보고, 다시 평산(平山)으로 갔다가 서흥군(瑞興郡)에 있는 귀진사(歸眞寺)를 찾기로 한다. 기차를 타고 문산(汶山)을 거쳐 개성(開城)에 도착하여 잠시 쉬었다가 토성을 지나서 금천역(金川驛)에 다달았다.
4 (+2)
|
대동강
,
복지겸
,
배현경
,
원효
,
신숭겸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