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날개(-)
•
광통관(廣通館)
•
정진사전(鄭進士傳)
•
시경(詩經)
•
가정 소설(家庭小說)
•
허생전(許生傳)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용부가(庸婦歌)
•
대학(大學)
•
박유전(朴裕全)
•
호질(虎叱)
•
홍길동전(洪吉童傳)
•
이날치(李捺致)
•
담양군(潭陽郡)
•
허브드 주(Khovd)
•
김유정(金裕貞)
•
바다(-)
•
황조가(黃鳥歌)
•
정지용(鄭芝溶)
▣
북한 산성 (北漢山城)
바로가기
경기도 고양시 북한동, 북한산의 서쪽 산허리에 둘려 있는 옛 성. 성벽 높이는 7m이고, 길이는 8km에 이른다. 14개의 성문 가운데 대남문, 대성문, 보국문, 용암문이 원형대로 남아 있다. 사적 제16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대가 북한산 국립 공원 안에 들어 있다.
문화/자연유산
:
유적 > 유적지 > 성
경기도 고양시 북한동, 북한산의 서쪽 산허리에 둘려 있는 옛 성. 성벽 높이는 7m이고, 길이는 8km에 이른다. 14개의 성문 가운데 대남문, 대성문, 보국문, 용암문이 원형대로 남아 있다.
이 성은
132년
(
개루왕
5년)에 백제가 도읍인 위례성을 지키기 위하여 쌓은 것이다. 고려 때에 여러 번 고쳐 쌓았고,
1711년
(조선 숙종 37년)에 임금의 명에 따라 대규모로 성을 다시 쌓았다.
사적 제16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대가 북한산 국립 공원 안에 들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북한 산성
(北漢山城)
산성
(山城)
고양시
(高陽市)
북한산
(北漢山)
북한산 국립 공원
왕검성
(王儉城)
위나암성
1711년
132년
18세기
(18世紀)
1710년대
2세기
130년대
1710년
1712년
1713년
1714년
1715년
1716년
1717년
1718년
1719년
470년
155년
130년
131년
133년
134년
135년
136년
137년
138년
139년
128
개루왕
(蓋婁王)
166
초고왕
(肖古王)
77
기루왕
(己婁王)
1711
신묘사행
삼년산성
•
홍지문(弘智門)
•
1674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옛 성 터에서
윤곤강
(0)
북한산성
北漢山城
최남선
(0)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04.09
◈
「탕춘대성」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수도성곽인 한양도성, 대피성인 북한산성과 함께 조선후기 도성 방어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화유산인 「탕춘대성」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하였다.【보존정책과】
0
|
문화재청
,
북한 산성
,
대한민국 사적
,
한양도성
,
탕춘대성
고재완의 지식창고
>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6.07.20
◈
북한산성 계곡 (2016. 7. 20)
【여행】
지난 일요일에 내리던 비가 그쳐 송추에 일이 있어 다녀오는 길에 북한산성 계곡과 노고산 흥국사에 다녀왔다. 구름이 끼어 무덥지 않아 걷기에 좋은 날씨였다. 북한산성 입구 제1주차장에 차를 세워 놓고 약 1시간 정도 백운대 방향으로 계곡을 다녀왔다. 비 온 후라 불어난 시원한 물소리를 들으며 나무 향도 맡으니 마냥 걷기 좋은 코스라 소개한다.
0
|
고양시
,
북한 산성
,
흥국사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