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 북도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산에 있는 절.
651년(진덕왕 5)
의상 대사가 창건하였다. 대한 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천축산이라는 지명은 절 부근의 산세가 인도의 천축산과 비슷해서 생긴 이름이다. 당우로는 대웅보전·근락전· 응진전·명부전·조사전·칠성각·관음전·영산전·황화당·설선당·범종루·응향각·칠령각 등이 있고, 창건 당시부터 있던 무영탑과 돌거북 2 기도 유명한 문화 유적이다.
유백유가 지은 《천축산불영사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절의 창건 동기가 전해진다. 어느 날 의상이 경주로부터 바닷길을 따라 단하동에 들어가서 해운봉을 바라보고 있었다. 이리저리 좋은 절터를 찾아 풍수를 감상하면서 북쪽을 바라보니, 인도의 천축산을 똑같이 본딴 듯한 지세가 보였다. 또한, 맑은 냇물 위로는 다섯 부처가 물살 위로 떠오르는 모습이 비쳤다고 한다. 신기하게 여긴 의상은 그 곳으로 내겨가서 모습 주위를 잘 살펴보니, 독룡이 살고 있었다. 의상은 독룡에게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고 그 곳에다가 절을 지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독룡은 의상의 말을 듣지 않고 훼방을 놓으려고만 하였다. 이에 의상은 신비로운 주문을 외워 독룡을 쫓아 낸 뒤 용이 있던 연못을 메워 절을 지었다고 한다. 또한, 서쪽에 있는 부처의 형상을 한 바위의 그림자가 항상 그 연못에 비친다고 한다. 그리하여 절의 이름은 천축산 불영사라 불리우게 되었다.
676년(문무왕 16)에는 의상이 불영사를 향해서 가다가 한 선사촌에 들르게 되었는데, 거기에서 한 노인이 부처가 왔다고 하면서 몹시 기뻐하며 반가움을 표시하였다. 이 때부터 그 마을 의 사람들은 부처님이 돌아오신 곳이라는 뜻으로 불귀사(佛歸寺)라고 불렀다고도 전하고 있다. 의상 대사는 이 절에서 9년간 머무르며 수행을 하였으며, 후에 원효 대사도 이 절에서 의상과 함께 생활하였다. 나중에 청련전과 무영탑료는 각기 환희료와 환생전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이문명이 지은 《환생전기》에 보면, 한 부인이 비명 횡사한 남편을 살리기 위해 관을 탑전에 옮겨 기도를 하였고, 지극한 정성으로 인해 남편이 환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그 때부터 그런 이름이 지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1397년(태조 6)에 화재 를 입었으나 소운이 중건하였다. 그 후 다시 소실되어 1500년(연산군 6) 양성 법사가 중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도 병화를 입어 모두 소실되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응진전만은 피해를 면하였다. 그 후 1609년(광해군 1) 진성 법사가 다시 재건한 바 있으며, 1721년에는 천옥에 의해 중건되었다. 계속해서 여러 승려들의 손에 의해 중수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는데, 혜능은 요사채를 신축하였으며, 재헌과 유일은 원통전을 중수하고 청련암을 이건하였다. 1899년, 1906년에 설운이 절을 다시 중수하였으며, 이 때 선방도 새로 지었다.
불영사의 동쪽으로는 삼각봉, 아래에는 좌망대와 오룡대, 서쪽으로는 부용성·학소대가 있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향로봉·청라봉·종암봉이 있으며 북쪽에는 금탑봉· 의상대·원효굴·용혈이 있다.